동영상 녹화 검은화면 재생 해결방법 – 하드웨어 가속설정

요현재, 누구나 쉽게 화면을 녹화하고 편집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과거에는 반디캠처럼 유료 프로그램을 구입해야만 안정적인 화면 녹화가 가능했지만, 이제는 윈도우 자체 제공 기능부터 다양한 무료 녹화 프로그램까지 선택의 폭이 크게 넓어졌습니다.

특히 윈도우10과 윈도우11에서는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게임 바 기능으로 간단히 화면을 녹화할 수 있고, OBS Studio나 ShareX 같은 무료 소프트웨어도 고화질 녹화에 최적화되어 있어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영상 녹화 과정에서 여전히 예상치 못한 문제가 자주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증상이 바로 소리는 정상적으로 녹음되는데 화면은 검게 나오는 현상입니다. 이 문제는 하드웨어 가속,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비디오 코덱, 운영체제 설정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스트리밍 영상을 녹화하거나 고화질 영상 재생 중에 검은화면이 녹화되는 경우가 많아 초보자들이 당황하기 쉽습니다.


그럼 화면 녹화 시 발생하는 검은화면 오류의 원인과 해결법을 중심으로, 녹화 프로그램 설정 방법, 하드웨어 가속 해제 요령, 브라우저 설정 변경, 자주 발생하는 오류 증상별 점검 방법까지 자세히 다뤄보려 합니다.

또한 실제 수리 사례와 예상 수리비용까지 참고할 수 있도록 정리했으니, 화면 녹화 중 문제가 반복되어 고민이신 분들은 꼭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참고 : 무료 윈도우 동영상 녹화 프로그램 단축키 설정 및 저장위치

우선 보통 동영상을 재생시 화면이 나오지 않고 검은색 화면이 나온다면 비디오 코덱을 설치하거나 장착된 그래픽카드 드라이브를 업데이트 하는것으로 검은색 화면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참고 : 동영상 재생 시 검은색 화면 통합코덱 설치

노랗 목차 보이기

동영상 녹화시 검은화면 해결방법

동영상 녹화 검은화면 재생

하지만 동영상을 녹화시 검은색 화면이 나온다면 그래픽카드하드웨어 가속 설정을 낮게 설정하거나 끄기로 변경해야 합니다.

이는 윈도우xp에서 그래픽카드 설정을 통해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었으나 윈도우10으로 변경되면서 하드웨어 가속 활성화하거나 하드웨어 가속 끄기 설정방법이 조금은 번거롭게 변경되었습니다.

윈도우xp 하드웨어 가속 끄는방법

윈도우xp 하드웨어 가속 끄는방법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속성->설정->고급->”문제 해결”을 선택합니다.

비디오 가속 “하드웨어 가속“을 끄기 및 최소로 선택합니다.

윈도우10 하드웨어 가속 끄는방법

위 Directx 9.0 설정을 다운로드 후 압축을 해제합니다.

윈도우10 하드웨어 가속 끄는방법 1

DirectX.CPI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1. DirectX 속성이 실행되면 Direct3D 탭을 선택합니다.
  2. Allow Hardware Acceleration가 체크되어 있다면 하드웨어 가속이 켜져 있는 상태입니다.

Allow Hardware Acceleration를 체크해제 하면 하드웨어 가속이 꺼지며 동영상 녹화시 검은화면이 나오느것을 해결 할 수 있습니다.

무료 화면녹화 프로그램 참고

유튜브 넷플릭스 검은화면 가속끄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 시 화면이 검정색으로 나오거나 화면캡쳐 녹화 시에 검은색으로 나오는게 아닌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구글크롬, 사파리 등 인터넷 브라우저로 넷플릭스나 유튜브 동영상, 디즈니 플러스등을 시청하는 경우에는 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하드웨어가속을 꺼줘야 합니다.

인터넷 구글크롬 하드웨어가속 끄기 유튜브 넷플릭스 캡쳐 녹화 검은화면

구글크롬 실행합니다.

설정 -> 고급 -> 가능한 경우 하드웨어 가속 사용 체크해제합니다.

그럼 넷플릭스나 유튜브 등 동영상이 검은색으로 나오는것이 해결되며 그 외에도 인터넷 웹페이지 열리는 속도도 빨라집니다.

FAQ

동영상 녹화 시 소리는 녹음되지만 화면만 검은색이 나오는 이유는 뭔가요?

이 현상은 대부분 하드웨어 가속 기능과 녹화 프로그램 간의 충돌 때문에 발생합니다.

특히 GPU 가속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일부 녹화 프로그램이 화면 렌더링 정보를 받아오지 못하면서 검은 화면으로 녹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브라우저, 플레이어, 운영체제의 하드웨어 가속 설정을 점검하고 필요시 비활성화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녹화 프로그램 설정만으로 검은화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나요?

일부 녹화 프로그램은 자체적으로 ‘하드웨어 가속 우회’ 또는 ‘화면 캡처 호환 모드’라는 설정을 제공합니다.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하드웨어 가속을 끄지 않고도 화면 녹화가 정상적으로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프로그램마다 용어는 다르지만 대부분 고급 설정에 위치합니다.

하드웨어 가속을 꺼도 영상 재생 성능에 문제가 없나요?

하드웨어 가속을 끄면 일부 고해상도 영상이나 4K 스트리밍에서 CPU 부하가 다소 증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FHD 환경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며, 오히려 일부 시스템에서는 안정성이 더 올라가기도 합니다. 특히 화면녹화 목적이라면 일시적으로 하드웨어 가속을 끄는 것이 권장됩니다.

코덱을 설치하는 것이 왜 검은화면 오류에 영향을 주나요?

영상 재생은 비디오 코덱을 통해 압축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코덱이 손상되었거나, 설치되지 않은 경우 정상적인 디코딩이 이뤄지지 않아 검은화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통합코덱(K-Lite Codec Pack 등)을 설치하면 대부분의 재생 문제가 해결됩니다.

윈도우 자체 녹화 기능(Game Bar)에서도 검은화면이 발생할 수 있나요?

네, 윈도우 Game Bar로 녹화할 때도 동일하게 하드웨어 가속 충돌로 인해 검은 화면이 기록되는 사례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설정이나 드라이버 업데이트, 그래픽 설정을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글 크롬 외 다른 브라우저에서도 하드웨어 가속 설정이 가능한가요?

물론입니다. 엣지, 파이어폭스, 오페라 등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도 ‘설정 > 시스템 > 하드웨어 가속’ 메뉴가 존재합니다.

크롬과 마찬가지로 이 기능을 비활성화하면 스트리밍 영상 녹화 시 검은화면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외장 그래픽카드와 내장 그래픽카드 환경에서 문제가 다르게 발생하나요?

일부 노트북의 경우 듀얼 그래픽 시스템(내장+외장)이 사용됩니다. 녹화 프로그램이 외장 GPU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전환이 원활하지 않을 때 검은화면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녹화 프로그램의 GPU 사용 설정을 수동으로 지정하는 방법이 도움이 됩니다.

화면녹화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요?

녹화 품질, 지원 코덱, 시스템 자원 사용량, 하드웨어 가속 우회 기능, 실시간 미리보기 지원 등이 주요 선택 기준입니다.

무료 프로그램 중에서는 OBS Studio, ShareX가 가장 안정적이고 설정도 다양합니다.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최신으로 유지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요?

드라이버는 하드웨어의 소프트웨어적 인터페이스입니다. 드라이버가 오래되면 하드웨어 가속 기능 충돌, 영상 디코딩 오류, 녹화 프로그램 호환성 문제 등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유지하는 것이 검은화면 오류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화면 녹화 프로그램으로 넷플릭스나 유튜브 영상 녹화가 안 되는 이유는 뭔가요?

스트리밍 서비스들은 DRM 보호 기술을 적용해 화면녹화나 캡처를 차단합니다.

녹화 프로그램이 하드웨어 가속으로 렌더링되는 콘텐츠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보안 장치입니다. 이 경우 브라우저의 하드웨어 가속을 끄거나 DRM 우회 기능이 있는 일부 전문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합니다. 단, 이는 저작권법 위반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녹화 시작 자체가 되지 않고 프로그램이 멈추거나 종료되는 경우는 왜 발생하나요?

이 증상은 대부분 시스템 사양 부족, 저장공간 부족,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충돌, 윈도우 권한 문제에서 발생합니다.

특히 저장 드라이브의 여유 공간이 부족할 경우 녹화 시작 전에 프로그램이 강제 종료되기도 합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거나 저장 위치를 외장 드라이브로 변경하면 문제가 개선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화면 녹화 도중 소리가 간헐적으로 끊기는 현상은 어떻게 해결하나요?

사운드 드라이버 손상, 오디오 장치 설정 오류, CPU 과부하 등이 원인입니다.

이 경우 최신 사운드 드라이버를 재설치하고, 오디오 장치 속성에서 샘플 속도를 48kHz로 통일하면 대부분의 끊김 문제가 해결됩니다. OBS나 Bandicam 같은 경우 오디오 비트레이트 설정을 160kbps 이상으로 높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화면녹화 프로그램에서 저장된 영상이 열리지 않거나 재생 불가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뭔가요?

녹화 중 프로그램이 비정상 종료되었거나, 저장 매체 오류로 인해 파일 헤더가 손상되었을 수 있습니다.

파일 복구 프로그램을 이용해 헤더를 복구하거나, 일부 전문 동영상 복구 프로그램으로 손상된 녹화 영상을 복원할 수 있습니다. 단, 완전 복구는 보장되지 않습니다.

그래픽카드 고장으로 인한 녹화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나요?

네, 그래픽카드가 부분적으로 손상될 경우 하드웨어 가속을 이용하는 녹화 프로그램에서 빈번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녹화 중단, 녹화 화면 왜곡, 색상 깨짐 등이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이 경우 그래픽카드 테스트 프로그램(GPU-Z, FurMark 등)으로 하드웨어 상태를 점검해야 하며, 필요시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합니다. 보통 국내 그래픽카드 수리비용은 10~30만 원대가 일반적입니다.

저장공간 오류로 녹화 파일 용량이 갑자기 0KB로 저장될 때 원인은 뭔가요?

저장장치 불량, 파일 시스템 오류, 쓰기 권한 부족 등이 원인입니다. 외장 SSD나 외장 HDD 사용 시 케이블 접촉불량이나 컨트롤러 오류도 흔한 원인입니다. 파일 시스템을 NTFS로 포맷하거나 디스크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사전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신 윈도우 11 업데이트 이후 화면녹화 오류가 더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뭔가요?

윈도우 11에서는 그래픽 시스템이 다소 변경되어 구버전 녹화 프로그램과 호환성 문제가 간헐적으로 발생합니다.

특히 DirectX 12 기반 프로그램에서 충돌이 잦습니다. 최신 윈도우용 패치된 버전의 녹화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그래픽 드라이버 역시 윈도우 11 호환 최신 드라이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노트북 화면 녹화 중 배터리가 급격히 닳거나 발열이 심한 이유는 뭔가요?

화면 녹화는 CPU, GPU, 디스크, 메모리 모두를 동시에 사용하는 고부하 작업입니다.

노트북에서는 특히 내장 GPU가 과부하로 발열이 올라가고, 배터리 소모가 급격히 증가합니다. 이 경우 냉각패드 사용, 전원 연결 상태 유지, 배터리 설정을 ‘최고 성능’으로 전환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화면녹화 프로그램 설치 후 부팅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는 왜 그런가요?

일부 프로그램은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어 메모리와 CPU 자원을 차지합니다.

프로그램 설정에서 자동실행 기능을 끄거나, 작업관리자 → 시작프로그램 탭에서 비활성화하면 부팅 속도가 개선됩니다.

구형 PC에서도 화면녹화가 가능한가요?

가능은 하지만 제한이 많습니다. 최소 i5 4세대, RAM 8GB, SSD 저장장치, GTX750급 이상 그래픽카드 정도가 Full HD 화면녹화의 안정적 기준으로 추천됩니다. 구형 시스템에서는 하드웨어 가속 우회 모드를 반드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