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방화벽해제 및 특정 프로그램 보안 비활성화
마이크로소프트의 운영체제인 윈도우는 시리즈는 지금까지 오랫동안 사랑받은 프로그램으로서 요즘같이 사이버범죄가 빈번히 일어나는 만큼 최신의 윈도우10 방화벽해제 시 보안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방화벽 활성화를 하는것을 추천합니다.
2020년 기준 출시된지 10년이 지난 윈도우7은 더 이상 유지보수를 지원하지 않는만큼 최신 운영체제인 윈도우8, 윈도우8.1. 윈도우10, 윈도우11 사용하는것을 권장합니다.
참고 : 윈도우7 지원종료 ESU 유지보수 3년 연장하는방법
그리고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보안시스템인 방화벽을 늘 활성화 시켜 외부 바이러스 및 해킹,랜섬웨어의 공격을 늘 방어해야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윈도우에 설치를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방화벽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지멘스에서 출시한 UG NX가 그 중 하나이며 그 외에도 윈도우 정품인증이나 Adobe CC 크랙등을 실행할때도 비슷한 오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잠시 프로그램을 설치할때만 방화벽을 해제하고서 다시 활성화하는방법도 있지만 만약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실행하는데 문제가 발생한다면 매번 방화벽을 비활성화를 해야할텐데요
참고 : 윈도우 실시간 보호 및 윈도우디펜더 해제
그렇게 되면 컴퓨터는 늘 외부공격에 취약해져 있기 때문에 이번에는 일부 특정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방화벽 비활성화 시키는 인바운드 / 아웃바운드 방법도 함게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10 방화벽해제 및 활성화
노랗 목차
- 윈도우 시작버튼을 눌러 Windows 보안을 실행합니다.
- 보안 공급자창에서 바이러스 백신인 윈도우디펜더 기능을 기본적으로 활성화하는것이 좋습니다.
- 하단에 Winodws 방화벽 앱 열기 실행합니다.
Windows Defender 기능 및 도메인 네트워크,개인 네트워크,공용 네트워크에 대한 방화벽을 각각 확인할 수 있으며 상단에 설정 복원을 눌러줍니다.
각각 네트워크에 대한 방화벽 활성화가 완료되었습니다.
특정 앱 방화벽 비활성화
다음은 특정한 프로그램에 대해서 윈도우디펜더 방화벽해제를 통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알아보겠습니다.
방화벽에서 앱 허용을 선택합니다.
그럼 기본적으로 윈도웨 설치된 알약이나 프토토콜 서버,호스트캐쉬 서버,클라이언트,mDNS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추가로 특정 실행파일등을 방화벽을 통과하고 싶다면 설정변경 -> 다른 앱 허용을 선택해서 원하는 경로를 지정해 주면 됩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특정 프로그램을 방화벽에 통과시키는 방법이며 아래는 고급 보안으로 인바운드 규칙 / 아웃바운드 규칙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급 보안이 포함된 Windows Defender 방화벽
윈도우10 방화벽 고급설정으로 들어가면 인바운드 규칙과 아웃바운드 규칙 두가지를 통해 포트 및 특정프로그램의 규칙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특정 방화벽등으로 라이센스 서버 “Lmtools“파일을 읽고 내보내거나 할때 복수의 컴퓨터에 라이센스 파일을 보내야 하는 서버등에 문제가 발생한다면 해당 기능을 이용해서 특정파일에 대한 포트를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4 Responses
[…] 윈도우는 자체적으로 윈도우 보안과 최적화를 위해 강제적으로 업데이트가 진행됩니다. 이를 잠시동안 […]
[…] 윈도우 방화벽 설정해제 […]
[…] 윈도우10 방화벽 설정 및 특정 프로그램 보안 비활성화 […]
[…] 윈도우 방화벽 해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