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디스크 인식오류 외장하드 SSD 인식안될때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외장하드나 USB 그리고 SSD등등이 인식이 되지 않는등 하드디스크 인식오류가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만약 이렇게 인식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새로 구입한 제품이 인식이 되지 않는 것 인지 잘 사용하던 하드디스크가 인식이 되지 않는 것 인지에 따라 해결방법이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우선 처음 구입한 하드디스크의 경우는 파티션을 설정하고 활성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하드디스크 및 SSD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 아래 4가지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1. 새 제품의 경우 파티션 활성화 진행
  2. 기존 사용하던 하드디스크 인식이 안된다면 케이블 연결 다시 확인
    1. 하드디스크 3.4개 이상 장착되어 있다면 전력이 부족해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음
  3. 전력이 부족한 경우 최대한 컴퓨터에 꼽아둔 USB 제거 후 컴퓨터 재부팅 합니다.
노랗 목차 보이기

컴퓨터 하드디스크 장착 케이블 확인

IMG 20220919 210203

가장먼저 컴퓨터에 하드디스크 및 SSD가 인식이 되지 않는다면 2개의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1. 전원케이블
  2. SATA3 케이블

그리고 이 2개의 케이블이 하드디스크 외에도 메인보드에도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후 그래도 인식이 되지 않는다면 아래 파티션 활성화 및 초기화를 진행합니다.

SSD 하드디스크 장착 후 인식오류 파티션 활성화

외장하드 USB 하드디스크 인식오류 안되는 상황
외장하드 USB 하드디스크 인식오류 안되는 상황

새로 구입한 하드디스크나 외장하드, SSD 등의 경우는 파티션이 활성화되지 않아 인식이 되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디스크관리를 통해 파티션을 활성화하여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해줘야 합니다.

참고 : 디스크 초기화 하드디스크 SSD 구입 인식불가

하드디스크 인식오류 외장하드 SSD 인식안될때 2

내 컴퓨터 -> 내 PC를 마우스 우클릭 후 “관리“를 선택합니다.

드라이브 문자 및 경로변경
ㄷ드라이브 문자 및 경로변경
  1. 컴퓨터 관리 왼쪽 목록 중 저장소 -> 디스크관리를 선택합니다.
  2. 그럼 하단에 새로 구입한 “디스크“가 표시되며 정상적으로 온라인 상태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하지만 현재 파티션 드라이브를 활성화하지 않아 내 컴퓨터에 표시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하드디스크 인식오류 외장하드 SSD 인식안될때 5

새로 구입한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 “드라이브 문자 및 경로변경“을 선택합니다.

단순 볼륨디스크의 드라이브 문자와 경로를 추가합니다.

하드디스크 인식오류 외장하드 SSD 인식안될때 6

그리고 사용가능한 드라이브 문자를 선택 후 확인을 눌러줍니다.

외장하드 USB 하드디스크 인식오류 해결
외장하드 USB 하드디스크 인식오류 해결

그럼 해당파티션에 이름이 추가되면서 NTFS로 정상파티션이 활성화되었습니다.

외장하드 인식성공
외장하드 인식성공

내컴퓨터에 들어가면 새로 구입한 외장하드, SSD, 하드디스크가 활성화된것을 볼 수 있습니다.

SSD를 보다 오랫동안 사용하기 위한 SSD 최적화 방법이 궁금하다면 내용을 참고하세요

잘 사용하던 외장하드,SSD,하드디스크 인식오류 인식 안될 때

만약 기존에 잘 사용하던 외장하드나 USB 하드디스크 등이 갑자기 인식오류가 발생한 경우는 내부적 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배드섹터가 발생해서 인식이 되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이런 경우는 CHKDSK나 TESTDISK등을 이용해 인식되지 않는 하드디스크를 치료할 수 있습니다.

배드섹터 치료 CHKDSK 인식오류 복구

CHKDSK는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으로 별도의 설치 없이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내 외부적인 충격을 받아 발생한 배드섹터를 치료하여 손상된 데이터를 복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명령 프롬프트 CMD 관리자 권한 실행방법
명령 프롬프트 CMD 관리자 권한 실행방법

윈도우키를 눌러 CMD를 입력 후 명령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외장하드 인식불가 포맷창 뜰시 해결방법 CHKDSK 4
CHKDSK 명령어

CHKDSK (인식되지 않는 외장하드, 하드디스크, USB, 드라이브) :/F/R 입력합니다.

만약 인식되지 않는 드라이브가 A 드라이브라면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CHKDSK A:/F/R

여기서 입력한 F와 R은 디스크에 대한 오류를 고치고 손상된 섹터를 찾아 치료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외장하드 인식불가 포맷창 뜰시 해결방법 CHKDSK 5
CHKDSK 기능
  1. 데이터를 치료하는 데는 용량과 컴퓨터 사양에 따라 시간이 크게 차이 납니다.
  2. 그리고 이렇게 인식이 되지 않던 F드라이브가 활성화되어 인식 오류가 해결되었습니다.
  3. 만약 해당 방법으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TESTDISK를 이용해 인식되지 않는 하드디스크를 치료할 수 있습니다.

TESTDISK 배드섹터 손상 치료방법

동봉된 testdisk 파일은 홈페이지를 통해 다운로드 압축을 해제합니다.

TESTDISK 배드섹터 외장하드 하드디스크 인식오류 치료
TESTDISK 배드섹터 외장하드 하드디스크 인식오류 치료

그리고 testdisk_win.exe 파일을 실행합니다.

최상단에 있는 Create를 선택해 새로운 로그파일을 생성합니다.

testdisk 외장하드 파티션 손상 배드섹터 복구방법 3

인식이 되지 않는 손상된 섹터의 하드디스크나 외장하드 등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하단에 Proceed를 선택합니다.

testdisk 외장하드 파티션 손상 배드섹터 복구방법 4

현재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장비 타입을 선택합니다.

윈도우 사용자라면 Intel을 선택하면 되고 애플의 맥북이나 모하비, 카탈리나 등을 사용한다면 MAC을 선택합니다.

testdisk 외장하드 파티션 손상 배드섹터 복구방법 5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가장 상단에 있는 Analyse를 선택해 파티션을 검사합니다.

testdisk 외장하드 파티션 손상 배드섹터 복구방법 6
  1. 현재 파티션의 상태가 NTFS로 용량 및 세션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하단에 A를 둘러주면 파티션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3. L을 눌러주면 백업이 가능
  4. T를 눌러주면 타입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5. 우선 하드디스크의 데이터가 무사한지 확인하기 위해 P를 눌러 파일리스트를 확인합니다.
testdisk 외장하드 파티션 손상 배드섹터 복구방법 7

그럼 현재 인식되지 않는 하드디스크나 외장하드 등 폴더가 정상적으로 모두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testdisk 외장하드 파티션 손상 배드섹터 복구방법 8
  1. 저는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인식되기 때문에 Write를 통해 쓰기를 선택합니다.
  2. 만약 저처럼 파일리스트가 정상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면 Deeper Seatch를 눌러 좀 더 자세히 분석을 진행합니다.
  3. 이후 모든 데이터 복구가 완료되면 컴퓨터가 재부팅됩니다.
TESTDISK 배드섹터 외장하드 하드디스크 인식오류 복구
TESTDISK 배드섹터 외장하드 하드디스크 인식오류 복구

재부팅되면서 인식되지 않던 하드디스크, 외장하드, USB, SSD 등의 드라이브를 검사 및 복구가 자동 진행됩니다.

만약 이후에도 하드디스크가 인식이 되지 않는다면 컴퓨터에 연결 된 전력케이블 및 SATA 케이블이 고장난건 아닌지 다른 하드디스크에 연결된 케이블을 꼽아 확인해봅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데이터 복구 및 파티션 설정방법이 궁금하다면 아래포스팅을 참고하세요

하드디스크 외장하드 USB 인식 오류 자주 묻는 질문

윈도우에서는 인식이 안 되는데 BIOS에서는 보입니다. 왜 그런가요?

BIOS에서 장치는 인식되지만 윈도우에서 보이지 않는다면 대부분 파티션 손상 또는 드라이브 문자 미할당 상태입니다.

  • 디스크 관리로 진입해 새 볼륨을 생성하거나 드라이브 문자를 수동으로 할당해주면 해결됩니다.
  • 만약 회색으로 ‘할당되지 않음’으로 표시된다면, 새 단순 볼륨을 만들어야 합니다.

외장하드가 윈도우10에서는 인식되는데 윈도우11에서는 안됩니다

윈도우11에서 특정 장치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드라이버 호환성이나 보안 정책 차이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 장치 관리자에서 USB 저장장치 드라이버를 제거한 뒤 재부팅
  • 윈도우 업데이트 또는 제조사에서 최신 드라이버 설치
  • BitLocker 등 보안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는 잠금 해제 후 연결

하드디스크 소리(딸깍거림)는 들리는데 인식이 안 됩니다

**딸깍거리는 소리(CLICK OF DEATH)**는 물리적 손상으로 인한 헤드 오류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이 경우는 자가 복구보다 데이터 복구 전문 업체 의뢰를 권장
  • 손상된 하드디스크를 계속 연결하면 내부 플래터에 추가 손상이 갈 수 있으므로 주의
  • 복구 비용: 논리 손상 10만 원대 / 물리 손상 30~100만 원 이상

외장하드가 연결되면 컴퓨터가 멈춥니다

외장하드의 펌웨어 손상, 불량 섹터 폭증, 또는 전력 과부하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 USB 포트를 변경하거나 전원 공급이 충분한 포트(데스크탑 후면)로 재연결
  • 다른 PC나 OS(Linux, macOS 등)에서 시도
  • 그래도 동일하다면 TestDisk 이전에 HDD Low Level Format Tool로 초기화 시도

인식되다가 갑자기 연결 해제되는 외장하드, 왜 이런가요?

이 증상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USB 케이블의 노후 및 불량
  • 전력이 부족한 USB 포트 사용
  • 외장하드 컨트롤러 칩셋 이상
    → 짧은 고급형 USB 케이블 교체, Y자 USB 케이블 사용, 또는 HDD 케이스 교체로 해결될 수 있음

Mac에서 인식되는 하드디스크가 윈도우에서 보이지 않아요

macOS에서 사용하던 하드디스크는 기본적으로 HFS+ 또는 APFS 포맷입니다.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이를 읽을 수 없습니다.

  • HFSExplorer, Paragon APFS for Windows 등의 프로그램으로 읽기 가능
  • 단, 읽기 전용이므로 윈도우에서 쓰기 작업은 제한됨

GPT 디스크로 포맷된 드라이브가 인식되지 않아요

MBR 방식의 구형 BIOS를 사용하는 PC에서는 GPT 파티션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최신 UEFI 지원 메인보드인지 확인
  • 디스크를 MBR로 변환하려면 데이터가 삭제되므로 백업 필수
  • diskpart를 통해 MBR <-> GPT 변환 가능

USB 메모리는 인식되는데 하드디스크만 인식이 안 돼요

이 경우 전력 소모가 큰 3.5인치 외장하드의 경우 전원 어댑터가 필수입니다.

  • 2.5인치 외장하드도 일부는 USB 3.0 이상 포트에서만 안정적으로 동작
  • 가능한 경우 데스크탑 후면 포트 사용, 또는 자체 전원 어댑터 있는 모델 사용 권장

하드디스크가 부팅은 되지만 ‘디스크 초기화 필요’ 메시지가 뜹니다

이 오류는 보통 MBR 손상, 파티션 테이블 손상, 또는 OS간 포맷 방식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 데이터 손상이 의심될 경우 TestDisk로 복구 시도
  • 데이터가 중요하지 않으면 디스크 관리에서 디스크 초기화 > 새 볼륨 생성

데이터 복구 비용: 논리 손상 기준 10만~25만 원

USB는 장치 관리자에는 보이는데 드라이브로는 인식되지 않아요

이는 드라이브 문자 미할당 또는 포맷 문제로 인한 현상입니다.

  • 컴퓨터 관리 > 디스크 관리 진입 후 해당 드라이브에 문자 할당 또는 볼륨 새로 만들기
  • 간혹 드라이버 충돌로 인식이 안 될 수도 있어 USB Root Hub 드라이버 재설치도 병행

외장하드가 연결되면 ‘장치 인식 실패’ 팝업이 뜹니다

이 경우는 USB 컨트롤러 칩셋 고장, PCB 손상, 또는 파워 공급 부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다른 케이블이나 다른 포트에 연결
  • 전력 공급이 부족한 경우 Y자 USB 케이블 또는 외부 전원 어댑터 필요

수리비용: USB 컨트롤러 교체 시 5만~12만 원

하드디스크가 ‘계속 연결되고 해제됨’을 반복합니다

이 증상은 대부분 SATA 케이블 불량이나 포트 접촉 불량, 또는 펌웨어 오류로 발생합니다.

  • SATA 케이블을 교체하거나 다른 포트에 장착
  • BIOS에서 SMART 체크 결과 확인
  • 외장형이라면 펌웨어 재설치 가능한 제조사 소프트웨어 확인

수리비용: 단순 케이블 교체 시 5천~1만 원

외장 SSD가 느려지거나 간헐적으로 끊깁니다

외장 SSD는 열 축적 또는 컨트롤러 병목현상으로 인해 속도 저하가 자주 발생합니다.

  • 방열 패드 부착 또는 팬이 달린 케이스로 교체
  • USB 3.0 이상 포트 연결 확인
  • CrystalDiskMark 또는 SSD-Z 등으로 상태 점검

교체 비용: 외장 SSD 512GB 기준 6~10만 원

HDD에서 ‘딸깍딸깍’ 소리가 나고 아무 반응이 없습니다

이는 하드디스크 내부 헤드 불량 또는 물리적 손상의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 자가 수리 불가능, 즉시 전원 차단 후 복구 전문업체 의뢰
  • 손상 상태에 따라 플래터 개방 후 클린룸 작업 필요

복구 비용: 일반적 물리 손상 기준 30~80만 원, 심하면 100만 원 이상이기 때문에 중요한 파일이 있느게 아니라면 새로 구입하는것이 좋으며 중요한 데이터는 늘 백업을 해두세요

하드디스크가 CMOS(BIOS)에는 보이지만 윈도우에서 아예 안 뜹니다

이 경우는 파일시스템 손상 또는 드라이버 비호환 문제가 주 원인입니다.

  • 윈도우 내에서 DISKPART > LIST DISK로 확인 가능
  • 보이지만 할당되지 않으면 FORMAT 또는 Recovery Software로 복구 시도
  • 드라이버 충돌 시, Safe Mode 진입 후 인식 여부 확인 권장

하드디스크가 ‘RAW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RAW’는 파일 시스템이 인식되지 않음을 의미하며 포맷을 요구하게 됩니다.

  • chkdsk X: /f는 이 경우 작동하지 않으며, 데이터 손실 가능성 있음
  • Recuva, EaseUS Data Recovery, GetDataBack 등의 프로그램으로 우선 복구
    복구 비용: 자가 복구로 실패 시 20~30만 원 내외 업체 의뢰

외장하드를 포맷했는데도 읽기 전용으로만 작동합니다

보통은 레지스트리 제한 또는 외장 저장장치 정책 설정이 원인입니다.

  • 명령어: diskpart > list disk > select disk n > attributes disk clear readonly
  • 외장 장치 정책 설정에서 ‘쿼드 세이프 제거’ 모드 확인 후 변경
    드라이버 충돌의 경우 장치 관리자에서 초기화 후 재부팅

SSD가 BIOS에도 안 보입니다. 완전 고장인가요?

SSD는 내부 전원 회로나 컨트롤러가 손상되면 완전히 인식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펌웨어 업데이트 실패, 낙하 충격, 컨트롤러 칩 과열이 주요 원인
  • 전문 업체에서 전용 장비를 이용한 인식 회복 작업 가능
    복구 비용: SSD 고장 데이터 추출 시 25~50만 원 이상 (M.2 NVMe는 추가 비용)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