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여름, 장마철이었어요. 와이프랑 제주도 한라산을 오르던 날이었죠. 갑자기 비가 쏟아졌는데요, 그 와중에도 사진은 찍어야겠다며 갤럭시 노트10을 꺼냈다가 큰일 날 뻔했어요. 산에서 내려와 숙소에서 충전을 하려고 했더니… 갑자기 ‘USB 포트에 물기가 감지되었습니다’라는 알림이 딱 뜨더라고요. 처음엔 무슨 말인지 몰라서 당황했죠.
이 메시지, 한 번쯤 보신 분들 있을 거예요. 특히 요즘 나오는 갤럭시나 아이폰 같은 스마트폰은 충전 단자에 물기나 습기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충전을 막고 경고 메시지를 띄우게 돼 있어요. 내부 회로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장치죠.
그날 저도 덕분에 이 ‘물기 감지 오류’ 해결법을 몸소 체험했는데요, 알고 보면 그렇게 복잡한 것도 아니고 누구나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더라고요. 휴지로 살살 닦아주거나, 찬 바람으로 건조시키는 것만으로도 대부분 해결됩니다. 다만 뜨거운 바람은 절대 금물이에요. 오히려 기기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까요.
혹시 이런 알림을 처음 마주하셨거나, 충전이 안 돼서 당황하신 분들이 계시다면 오늘 영상 끝까지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실제로 어떤 상황에서 물기 감지 알림이 뜨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하면 되는지 하나씩 알려드릴게요. 무선 충전으로 우회하는 방법부터, 간단한 청소와 건조 팁, 그리고 놓치기 쉬운 포인트까지 전부 다 정리해봤습니다.
영상 보시고 나면 괜히 센터 가서 시간 낭비하거나 쓸데없이 기기 교체할 일도 없을 거예요. 그럼 본격적으로 시작해볼게요.
휴대폰 물기감지 알림이 뜨는 이유
스마트폰을 욕조나 수영장과 같은 물 속에 빠트린 경우, 핸드폰 충전 단자에 수분이 묻은 경우, 충전기 충전 단자에 물이 묻은 경우, 습기가 높은 곳에서 장기간 사용한 경우, 시스템 오류로 인해서 발생한 경우 등 다양한 이유로 스마트폰 물기감지 알림이 뜰 수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문구표시 외에는 특별히 작동에 이상이 없었지만 옜날에 핸드폰이 침수 후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것이 걱정이였는데요 제가 알기로는 갤럭시노트와 갤럭시S 시리즈등 최근에 출시된 제품은 IP86 등급의 방수가 되는것으로 알고잇는데 좀 의아했습니다.
과연 “USB 포트에 물기가 감지되었습니다” 라고 뜰때 확인해야 하는 부분으로서 알림이 뜬는 원인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핸드폰 usb 포트 물기 감지 오류 원인
- 스마트폰을 욕조나 수영장과 같은 물 속에 빠트린 경우
- 핸드폰 충전 단자에 수분이 묻은 경우
- 충전기 충전 단자에 물이 묻은 경우
- 습기가 높은 곳에서 장기간 사용한 경우
- 시스템 오류로 인해서 발생한 경우
USB 포트에 물기가 감지되었습니다 오류 문구
기본적으로 두가지 문구가 표시가 됩니다.
충전기 / USB 포트확인
충전기 / USB 포트에 물기가 감지되었어요,휴대전화를 충전하기 전에 다시 확인해 주세요
수건에 털어서 물기와 이물질 제거
휴지로 스마트폰 충전 단자 물기제거
선풍기나 드라이기 찬 바람으로 usb포트 물기 말리기
휴대폰 물기감지 알림 설정 초기화 설정
무선 충전으로 핸드폰 충전하기
충전기 분리
- 물기가 감지되었습니다 충전기를 분리한 후 충전기와 USB 포트가 완전히 마르면 다시 시도해 주세요
- 보는것과 같이 메시지가 표시되면 상단바를 터치해서 자세한 내용을 살펴 볼 수 있습니다.
핸드폰에 물이 들어갔을때 해결방법
- 수건으로 털어내기: 먼저 스마트폰을 깨끗한 수건으로 부드럽게 닦아내어 물기와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이렇게 하면 충전 단자 주변의 습기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 휴지로 닦기: 충전 단자 주변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휴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충전 단자에 휴지를 덮어 물기를 부드럽게 닦아내어 충전 오류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바람으로 말리기: 스마트폰에 물기가 남아있을 때, 드라이어나 손으로 부는 바람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건조시킬 수 있습니다. 단, 높은 온도로 바람을 피하고 부드러운 바람을 사용해야 합니다.
- 물기 감지 알림 초기화: 스마트폰 설정 메뉴로 이동하여 물기 감지 알림을 잠시 해제한 다음 다시 활성화합니다. 이렇게 하면 가끔씩 발생하는 물기 감지 오류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무선 충전 사용: 물기 감지 오류가 발생한 경우, 무선 충전을 사용하는 것이 한 가지 해결책일 수 있습니다. 무선 충전은 충전 단자를 직접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물기에 민감하지 않습니다.
- 물기 감지 알림 끄기: 물기 감지 알림을 끄고 충전하면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때는 조심하여 스마트폰이 너무 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당연히 A/S센터에 방문해서 점검을 받는것을 권장하지만 이거 때문에 방문한다느게 쉬운일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뜨거운 바람보다는 차가운 바람에 말리느게 좋으며 기판쪽이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마르는데는 1주일이상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갤럭시핸드폰의 USB 포트 물기가 감지되었습니다 라고 뜬다면 특히 주의해서 사용하느것이 좋습니다.
될 수있다면 차가운 바람이 나오는 선풍기나 드라이기를 이용해 USB 포트쪽을 건조시켜주는것이 가장 간단한 방법이지만 이 방법으로도 1.2시간만에 마르지 않기 때문에 인내심이 많이 필요합니다.
핸드폰 물기를 깨끗하게 제거합니다.
갤럭시 USB 포트 물기감지 문제 해결방법 8가지
- USB 포트의 건조 여부 확인
- 먼저 핸드폰 충전 USB 포트가 충분히 말랐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충전을 하기 전에 USB 포트가 습기나 물기로 인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티슈로 물기 확인
- 티슈나 부드러운 천을 사용하여 USB 포트가 망가지지 않을 정도로 물기가 묻어있는지 확인합니다. 물기가 묻어나온다면 이를 깔끔하게 닦아내야 합니다.
- 자연 건조
- USB 포트에 물기가 묻어있다면 선풍기나 드라이기의 찬 바람을 사용하여 자연 건조를 진행합니다.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몇 분 동안 건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USB 포트 연결 시 주의
- USB 포트가 아직 충분히 건조하지 않은 상태에서 USB 케이블을 연결할 때 주의가 필요합니다. USB 케이블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물기가 옮겨 묻을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 USB 케이블 확인
- USB 케이블 연결 부분도 확인합니다. USB 케이블 자체에 물기나 이물질이 묻어있을 수 있으므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 핸드폰 종료 후 충전 확인
- 핸드폰을 완전히 종료한 후 충전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종료 상태에서 충전이 잘 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해결된 것일 수 있습니다.
- 부팅 후 충전기 분리 메시지 확인
- 스마트폰을 부팅한 후 충전기를 분리하면서 충전기 분리 메시지가 나타나는지 확인합니다. 이 메시지가 뜨면 USB 포트의 물기 감지 기능이 정상 동작하고 있는 것입니다.
- 조심하여 사용
- 핸드폰 USB 포트에 물기가 감지 알림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몇 일 동안은 핸드폰 충전 시 조심하고 USB 포트와 케이블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기 감지 오류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갤럭시 스마트폰의 USB 포트 물기 감지 문제는 핸드폰의 정상 작동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물기를 철저히 관리하고 정기적으로 청소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로 최근에 나오는 핸드폰의 경우 무선충전을 지원하기 때문에 핸드폰에 물이 들어간 경우에는 가급적 USB포트로 충전을 하지 말고 무선충전으로 핸드폰을 충전하느것이 좋습니다.
✅ FAQ
물기에 노출된 스마트폰, rice(쌀) 속에 넣어두면 효과가 있나요?
일부 사용자들이 쌀에 넣어두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이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건조 방식이 아닙니다. 오히려 쌀가루나 먼지가 USB 포트 안으로 들어가 오염될 수 있으므로, 선풍기 또는 드라이기의 찬 바람을 이용한 건조 방법이 더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물기 감지 알림이 사라졌는데도 충전이 되지 않아요. 왜 그런가요?
알림이 사라졌더라도 충전 포트 내부에 잔여 습기 또는 이물질, USB 포트가 산화되어 접촉 불량이 생긴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부드러운 솔이나 면봉을 이용해 청소하고 여전히 문제가 지속되면 서비스센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드라이기나 히터를 가까이서 쬐어도 괜찮을까요?
절대 고온 바람은 사용하지 마세요. 스마트폰 내부 기판이나 배터리는 열에 민감하기 때문에 고온 바람을 가까이 쐬면 오히려 회로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찬 바람 혹은 자연 건조를 권장합니다.
시스템 오류로 인해 물기 감지 오류가 계속 뜰 때는 어떻게 하나요?
물기에 노출된 적이 없는데도 오류가 반복된다면 일시적인 센서 오작동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땐:
- 기기를 완전히 종료 후 재부팅
- 캐시 파티션 삭제(갤럭시: 복구모드 진입 후 wipe cache partition)
- 설정 초기화를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갤럭시에서 물기 감지 알림을 끌 수 있나요?
일부 안드로이드 기기는 개발자 옵션 또는 특정 앱을 통해 물기 감지 기능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할 수 있으나, 기기 손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충전이 급한 경우에는 무선 충전을 대체로 사용하세요.
무선 충전도 안 되면 어떻게 하나요?
- 무선 충전기가 정상 작동하는지 다른 기기로 확인해보세요.
- 스마트폰 케이스나 후면에 금속이 있다면 제거 후 다시 시도하세요.
- 그래도 안 되면 배터리 손상이나 시스템 충전 회로 고장 가능성이 있으므로 AS센터 점검이 필요합니다.
핸드폰 참고포스팅
- 핸드폰 고속충전 기술 및 단점 및 구입시 체크포인트
- 핸드폰 구입 알아두면 좋은 정보 및 통신사별 결합할인 정보
- 갤럭시노트 컴퓨터 연결방법 4기가 이상 옮기는 방법
- 갤럭시F 플랙시블 기업별 디자인 스펙
- 아이폰 핫스팟 연결 이름변경 비밀번호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