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해외직구 Zip Code 집코드
해외에서 아마존이나 이베이 같은 사이트를 통해 한국으로 직구를 해본 분들이라면, 주소 입력 단계에서 ‘ZIP Code’ 때문에 잠깐 멈칫했던 경험이 있을 거예요. ZIP Code는 미국식 우편번호 개념으로, 한국의 우편번호와는 구조는 다르지만 실제 직구 과정에서는 거의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하지만 무심코 잘못 입력하면 배송이 지연되거나 주문 자체가 오류 나는 경우도 있어요. 그래서 한국 주소를 해외 사이트에 입력할 땐 영문주소 표기뿐 아니라 ZIP Code 입력 방식도 정확히 알아두는 게 필요합니다.
특히 배송대행지를 이용하거나, 직접 국내 주소로 받는 경우에는 한국 각 지역에 해당하는 집코드(KS 코드)나 우편번호를 정확히 확인해서 입력하는 게 필수예요. 이때 일부 사이트는 미국 형식을 강제하기도 하니, 한국 우편번호에 0000을 덧붙이는 팁도 유용하죠.
또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예를 들어 “ZIP Code가 오류라고 뜰 땐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집코드랑 우편번호는 뭐가 달라요?”, “리스트에서 내 지역 코드가 뭔지 모르겠어요” 같은 내용도 FAQ로 정리했으니, 이 글을 통해 처음부터 끝까지 꼼꼼하게 체크해보면 직구가 훨씬 수월해질 거예요.
ZIP Code는 단순한 숫자 몇 자리가 아니라, 해외직구 성공 여부를 좌우하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불필요한 배송 사고를 막기 위해, ZIP Code 입력부터 영문주소 작성법까지 제대로 확인해두면 좋겠죠.
ZIP Code는 Zip은 Zone Improvement의 약어로 지역 개선 계획이라는 의미로 공식5개의 수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해외에서 한국의 우편번호 보다는 미국의 우편공사에서 사용하는 번호로 보는것이 편하기 때문에 아마존이나 이베이등 해외에서 구입할때 배송정보에 해당지역의 ZIP CODE 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ㄱ ~ ㄴ 집코드
지역 한글 | 지역 영어 | 집코드 | 대륙 | 국가 |
강남구 | Gangman ku | KS013 | ASI | KR |
강릉시 | Kangnung | KS007 | ||
거제시 | Geoje | KS011 | ||
경산시 | Gyeongsan | KS011 | ||
경주시 | Kyong Ju | KSxx010 | ||
고성시 | Goseong | KS011 | ||
고양시 | Goyang | KS009 | ||
고흥시 | Goheung | KS005 | ||
공주시 | Gongju | KS002 | ||
과천시 | Gwacheon | KS009 | ||
광명시 | Gwangmyeong | KS009 | ||
광양시 | Gwangyang | KS005 | ||
광주광역시 | Kwangchu | KS008 | ||
괴산시 | Goesan | KS001 | ||
구리시 | Guri | KS013 | ||
구미시 | Gumi | KS010 | ||
군산시 | Kumsan | KS004 | ||
군포시 | Gunpo | KS013 | ||
김제시 | Gimje | KS004 | ||
김포시 | Kimpo | KS009 | ||
김해시 | Kimhae | KS011 | ||
나주시 | Naju | KS005 | ||
남양주시 | Namyangju | KS009 | ||
남원시 | Namwon | KS004 | ||
남해시 | Namhae | KS011 | ||
논산시 | Nonsan | KS002 |
ㄷ ~ ㅅ 집코드
지역 한글 | 지역 영어 | 집코드 | 대륙 | 국가 |
대구광역시 | Taegu | KS002 | ASI | KR |
대전광역시 | Daejeon | KS015 | ||
동두천시 | Dongducheon | KS009 | ||
동해시 | Donghae | KS007 | ||
마산시 | Masan | KS011 | ||
목포시 | Mokpo | KS005 | ||
무안시 | Muan | KS005 | ||
무주시 | Muju | KS004 | ||
문경시 | Mungyeong | KS010 | ||
밀양시 | Miryang | KS011 | ||
보령시 | Boryeong | KS002 | ||
보성시 | Boseong | KS005 | ||
부산광역시 | Pusan | KS012 | ||
부천시 | Bucheon | KS009 | ||
사천시 | Sacheon | KS011 | ||
삼척시 | Samcheok | KS007 | ||
삼주시 | Sangju | KS010 | ||
서귀포시 | Seogwi | KS003 | ||
서산시 | 서산 | KS002 | ||
서울특별시 | 서울 | KS013 | ||
서초구 | 서초 | KS013 | ||
성남시 | 성남 | KS009 | ||
속초시 | 속초 | KS007 | ||
송도신도시 | 송도 | KS000 | ||
수원시 | 수원 | KS002 | ||
순천시 | 순천 | KS005 |
ㅇ ~ㅈ 집코드
지역 한글 | 지역 영어 | 집코드 | 대륙 | 국가 |
아산시 | 쉬운 | KS002 | ASI | KR |
안동시 | 안동 | KS010 | ||
안산신 | 안산 | KS009 | ||
안성시 | 안성 | KS009 | ||
안양시 | 안양 | KS009 | ||
양산시 | 양산 | KS011 | ||
양수리 | 양수리 | KS009 | ||
양양시 | 양양 | KS007 | ||
양주시 | 양주 | KS001 | ||
여수시 | Yosu | KS005 | ||
양양시 | 영양 | KS010 | ||
영주시 | 영주 | KS010 | ||
영천시 | 영천 | KS010 | ||
예산시 | 예잔 | KS002 | ||
예천시 | 예천 | KS010 | ||
오산시 | 부분 | KS009 | ||
온양시 | 온양 | KS002 | ||
완도시 | 완도 | KS005 | ||
용인시 | 용인 | KS009 | ||
울산광역시 | 울산 | KS016 | ||
울진시 | 울진 | KS010 | ||
원주시 | 원주 | KS007 | ||
의왕시 | 조심해. | KS010 | ||
의정부시 | Uljeongbu | KS009 | ||
익산시 | 익산 | KS004 | ||
인제시 | Inye | KS007 | ||
인천광역시 | 인천 | KS006 | ||
일산시 | 일산 | KS007 | ||
임실시 | 임실 | KS004 | ||
전주시 | 전주 | KS004 | ||
정읍시 | 정읍 | KS004 | ||
제주시 | 제주 | KS003 | ||
제천시 | 제천 | KS001 | ||
진도시 | 진도 | KS010 | ||
진주시 | 진주 | KS011 | ||
진해시 | 진해 | KS011 |
ㅊ ~ㅎ Zip Code
지역 한글 | 지역 영어 | 집코드 | 대륙 | 국가 |
천안시 | 천안 함 | KS022 | ASI | KR |
청주시 | 청주 | KS001 | ||
춘천시 | 춘천 | KS007 | ||
충주시 | 충주 | KS001 | ||
태백시 | 태백 | KS007 | ||
태안시 | 태안 | KS016 | ||
통영시 | 통영 | KS005 | ||
파주시 | 파주 | KS009 | ||
평창시 | 평창 | KS007 | ||
평택시 | 평택 | KS009 | ||
포천시 | 포천 | KS009 | ||
포항시 | 포항 | KS010 | ||
하남시 | 하남 | KS009 | ||
하동시 | 하동 | KS011 | ||
함안시 | 하만 | KS011 | ||
함양시 | 함양 | KS011 | ||
합천시 | Habcheon | KS011 | ||
해당시 | 해남 | KS005 | ||
화성시 | 화성 | KS009 | ||
화순시 | 화순 | KS005 | ||
화천시 | 화천 | KS007 |
이상 해외 직구 시에 정확한 배송 주소 정보와 ZIP Code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정확한 우편번호 입력하느것이 해외직구 시 원활한 상품 배송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ZIP Code를 정확하게 찾아 입력하면 상품을 신속하게 받을 수 있고, 누락된 배송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외 직구를 할 때, 주문 과정에서 ZIP Code를 확인하고 정확하게 입력하는 것을 잊지 않도록 합시다.
한국 해외직구 ZIP Code 관련 추가 FAQ
한국 주소인데 ZIP Code는 왜 미국 번호처럼 입력해야 하나요?
ZIP Code는 본래 미국의 우편번호 체계이지만, 해외 직구 사이트에서 주소 입력란에 ‘ZIP Code’만 표기되어 있을 때는 한국의 5자리 우편번호를 입력해도 무방합니다.
다만, 일부 사이트는 미국 형식의 ZIP Code(5자리 + 4자리)를 요구할 수 있어 오류가 생기기도 합니다. 이 경우 우편번호 뒤에 0000
을 붙이는 방식으로 대체 입력이 가능합니다.
집코드와 한국 우편번호는 다른 건가요?
엄밀히 말하면 같지는 않지만, **집코드(KS 코드)**는 국제 물류나 통관업체(예: 몰테일, 아이포터 등)에서 자체적으로 분류한 지역 코드입니다. 반면 한국 우편번호는 행정구역 기준의 공식 우편번호입니다. 해외 직구 시 대부분은 한국 우편번호만 입력하면 되며, 집코드는 특정 배송대행지에서만 활용됩니다.
영문 주소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나요?
해외 사이트에서 주소를 입력할 때는 한국어 주소를 영문 표기법에 맞게 변환해야 하며, 순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수취인 이름] / [도로명, 건물명, 동호수] / [구, 시] / [도] / [우편번호] / South Korea
예
홍길동
102, Teheran-ro, Gangnam-gu
Seoul, 06236
South Korea
도움되는 사이트: 대한민국 영문주소 변환기 (우체국)
ZIP Code가 안 맞는다고 뜰 때 어떻게 하나요?
일부 해외 쇼핑몰에서는 ZIP Code 형식 오류로 결제가 막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한국 우편번호 뒤에 -0000
을 붙이거나, 12345
처럼 미국 형식 임의 숫자를 넣고 배송대행지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우회가 가능합니다. 단, 반드시 배송대행지에서 지정한 코드와 주소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한국 ZIP Code는 몇 자리인가요?
현재 한국의 공식 우편번호는 5자리입니다. 예전에는 6자리였지만 2015년부터 국가주소체계 개편으로 5자리 체계로 전환되었습니다. 해외직구 시에는 반드시 새 체계를 기준으로 입력해야 하며, 과거 우편번호를 쓰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