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신혼가전을 구입하면서 핸드폰도 바꿀 때가 되어, 갤럭시 S25 자급제 모델을 구입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갤럭시 S10E는 액정과 뒷패널이 다 깨진 상태여서 교체가 시급했죠. 갤럭시 S25를 직접 개통하고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한 후기를 공유합니다.
갤럭시 S25 자급제 핸드폰 구입
이번 사전예약을 통해 갤럭시s25 자급제 핸드폰 구입은 생각보다 간단했습니다.

저같 은 경우 삼성전자 공식 홈페이지와 전자제품 매장, 그리고 다양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손쉽게 구매할 수 있었어요.
이때 중요한 점은 네트워크 잠금이 해제된 모델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다양한 이동통신사와 호환이 되기 때문에, 나중에 통신사를 바꾸더라도 문제가 없어요.

저는 256GB 모델을 신혼가전과 함께 구매했는데, 가격이 약 67만 원이었습니다. 중고보다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어서 만족스러웠습니다. 화이트 모델을 사고 싶었지만, 선택지가 없어 노란색 모델로 구입했습니다. 색상은 약간 누리끼리한 느낌이지만, 개인적으로 만족합니다.
기기 변경 및 셀프 개통 방법
갤럭시 S25 자급제 모델은 셀프 개통을 통해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선 두 가지 방법으로 셀프 개통이 가능했어요.
- 온라인 셀프 개통: 이동통신사 공식 홈페이지에 로그인하여 ‘기기변경’ 메뉴를 선택한 후, 갤럭시 S25의 IMEI 번호와 기타 정보를 입력하여 개통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인증 절차를 거치면 개통이 완료됩니다.
- 통신사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셀프 개통: 이동통신사의 공식 앱을 통해서도 간편하게 셀프 개통이 가능합니다. 앱에서 기기 변경을 신청하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 뒤 개통을 진행하면 됩니다.
셀이 개통 시 주의할 점은 IMEI 번호가 정확히 등록되어야 하며, 기존 SIM 카드가 새 기기에 맞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유심 카드가 호환되지 않을 경우, 이동통신사 매장이나 고객센터에서 새로운 USIM 카드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갤럭시 S25 유심 교체 및 스마트 스위치를 통한 데이터 전송
구입한 갤럭시 S25 자급제 모델에는 유심 핀과 USB-C to C 케이블이 포함되어 있었고, 충전 어댑터는 별도로 구입해야 했습니다.
먼저 기존 갤럭시 S10E의 유심을 제거한 후, 새 기기에 유심을 장착했습니다.
갤럭시 S10E는 유심과 마이크로SD 카드를 넣을 수 있는 슬롯이 있었지만, 갤럭시 S25는 마이크로SD 슬롯이 없어서 유심만 넣을 수 있었습니다.
유심을 장착한 후 갤럭시 S24의 전원을 켜고, 모바일 데이터를 활성화했습니다.
기존 핸드폰의 사진, 연락처 등을 새로운 기기로 옮기기 위해 스마트 스위치를 사용하면 안드로이드 핸드폰뿐만 아니라 아이폰, 아이패드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요.
스마트스위치를 사용하기 위해 기존 핸드폰에 앱을 설치했으며 설치 후 QR 코드를 통해 두 기기를 연결하고,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합니다.
전송 방법에는 케이블 연결과 블루투스 연결이 있는데, 저는 블루투스를 사용했어요. 데이터 용량이 100GB가 넘어서 약 1시간 30분~2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데이터 용량이 크다면 USB-C to C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사진, 동영상, 카카오톡 대화 내용 등이 가장 많은 용량을 차지했지만, 기존 폰에 설치된 앱들도 모두 그대로 설치되었습니다.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에는 갤럭시 S25의 개통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약 1시간 40분 정도 걸려 모든 데이터를 동기화하고, 핸드폰 앱도 최신으로 업데이트가 되었습니다.
데이터 전송 후 주의 사항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완료한 후에는 기존 핸드폰을 공장 초기화하여 데이터 유출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새로운 기기로의 데이터 전송은 스마트 스위치 외에도 샤오미의 Mi Mover, 애플의 에어드롭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각 기기에서 제공하는 전송 방법을 참고하여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세요.
One UI 7 기능 | 기능 이름 | 기능 설명 |
---|---|---|
일상 패턴 인식 | 나우 브리프(Now Brief) | 사용자의 일상 패턴을 학습하여 아침 기상 후 날씨, 일정, 뉴스 요약 등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공. |
멀티모달 AI 통합 | 멀티모달 AI | 텍스트, 음성, 이미지 등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직관적인 명령 처리 가능. |
카메라 업그레이드 | 프로 비주얼 엔진 | 저조도 환경에서도 뛰어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AI 기반 보정 기능 강화. |
하드웨어 최적화 | 최신 프로세서 탑재 | 퀄컴 스냅드래곤 8 엘리트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AI 연산 성능과 배터리 효율성 개선. |
사용자 인터페이스 | 실시간 적응형 UI | 사용자 습관에 따라 인터페이스가 최적화되어 자주 사용하는 앱이 상단에 배치되거나 추천 기능이 활성화됨. |
보안 강화 | 녹스볼트(Knox Vault) | 사용자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보안성을 극대화하는 기술 적용. |
지속적인 업데이트 | 장기 지원 | 7년간의 OS 업그레이드 및 보안 업데이트 지원. |
이번에 갤럭시S25자급제 핸드폰을 셀프 개통하고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면서 생각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스마트 스위치를 활용하면 별다른 어려움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