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전력(계약용량) 이해하기
계약전력은 전기공급사업자, 예를 들어 한국전력공사(한전)가 일반 소비자 또는 기업에게 공급하기로 동의한 최대 전력의 양입니다. 이는 고객의 전기 사용 설비를 전력으로 환산한 값이며, 전기 요금의 기본 요금 계산 및 고객 부담 공사비 중에서 기본 시설 부담금을 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전기 사용 장소의 이해
- 전기 사용 장소는 전기를 공급받는 구체적 위치를 의미하며, 원칙적으로 건물이나 토지를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건물이나 여러 건물이 함께 한 구내를 형성하는 경우, 각각 별도의 전기 사용 장소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상업과 주거 공간이 분리된 건물에서는 각각 다른 전기 사용 장소로 구분할 수 있으며, 법률적 변경(예: 매매, 상속)이 있을 때에도 기존 전기 사용 장소를 유지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습니다.
계약전력(계약용량)이란 무엇인가?

계약전력(계약용량)은 전기공급사업자인 한국전력(이하 한전)이 고객에게 공급하기로 약속한 최대 전력 용량을 의미합니다.
이 수치는 고객의 전기사용설비를 전력 단위(kW)로 환산하여 결정되며,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전기요금의 기본요금을 산정하는 기준
- 한전에 납부하는 기본시설부담금 계산 기준
즉, 계약전력은 단순히 전기 사용량을 넘어서, 효율적인 전기 설비 운영과 비용 관리를 좌우하는 중요한 값입니다.
계약전력이 왜 중요한가?
적절한 계약전력 설정은 전기 안전과 비용 효율성을 모두 보장합니다.
- 적절한 계약전력 설정의 장점
- ⚡ 안정적인 전력 공급
- 🔧 전기 설비의 과부하 방지로 안전성 확보
- 💰 전기요금 절감 (불필요한 비용 방지)
만약 계약전력이 실제 사용량보다 낮으면, 전기 과부하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높으면, 불필요한 기본요금이 부과되어 경제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계약전력의 결정 방법
계약전력은 고객이 사용하는 전기 설비와 한전과의 협의를 통해 결정됩니다. 이를 위해 다음 단계를 거칩니다.
- 전력 사용량 측정 및 분석
고객의 전기사용설비 용량을 파악하여 필요한 전력 수준을 산정합니다. - 계약전력 산정 방식
- 사용설비 기준
사용설비의 개별 입력 값 합계에 계약전력 환산율(아래 표 참고)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 변압기 기준
변압기 용량(1kVA = 1kW)을 기준으로 결정합니다.
(단, 154kV 이상 초고압의 경우 최대수요전력 기준)
- 사용설비 기준
전기 사용 계약 단위 및 환산율
구분 | 계약전력 환산율 |
---|---|
처음 75kW까지 | 100% |
다음 75kW까지 | 85% |
그다음 75kW까지 | 75% |
그다음 75kW까지 | 65% |
300kW 초과분 | 60% |
예를 들어, 100kW 설비를 사용하는 경우 처음 75kW에 100%를 적용하고, 나머지 25kW에 85%를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한전은 원칙적으로 한 전기 사용 장소에 하나의 전기 사용 계약을 체결합니다. 그러나 특정 조건하에서는 여러 계약을 체결할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 충전용 설비 같은 특별한 경우에는 세칙에 따라 별도의 전기 사용 계약 기준이 적용됩니다.
계약전력 초과 시 최대수요전력 관리
계약전력은 소비자와 전력 공급사인 한국전력공사(한전) 사이에 합의된 최대 전력 사용량입니다. 이 계약은 전기 사용 설비의 총 용량을 기준으로 설정되며, 전기 요금의 기본 요금과 기본 시설 부담금 산정의 기준이 됩니다.
계약전력과 최대수요전력의 관계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사용은 최대수요전력에 영향을 줍니다. 최대수요전력이란 특정 15분 간격 동안 사용된 최대 전력을 말하며, 이는 계약된 전력을 초과할 수 있습니다. 만약 소비자가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을 사용한다면, 최대수요전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추가 요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대수요전력 초과 시 요금 부과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최대수요전력 사용은 두 가지 주요 결과를 초래합니다:
- 추가 요금 부과: 한전은 최대수요전력이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 요금을 부과합니다. 이 요금은 계약전력 초과량과 사용된 최대 전력 기간에 따라 다르게 계산됩니다.
- 전기 설비의 안전 문제: 지속적으로 계약전력을 초과하여 사용하면 전기 설비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전기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최대수요전력 관리 방법
적절한 계약전력 설정과 더불어 최대수요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최대수요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입니다:
- 전력 관리 시스템 도입: 고급 전력 관리 시스템을 설치하여 전력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피크 시간대의 사용을 최소화합니다.
- 피크 쉐이빙 전략: 전력 사용이 증가하는 시간대를 파악하고, 이 시간대에 전력 사용을 줄이거나 연기함으로써 최대수요전력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전력 효율 개선: 전기 사용 효율을 높이는 장비를 설치하거나 업그레이드하여 전체적인 전력 수요를 줄입니다.
계약전력 결정 기준
- 계약전력은 고객이 신청한 사용 설비의 총 입력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계약전력 환산율은 처음 75kW는 100%, 그 다음 각 75kW 단위는 점차 감소하는 비율을 적용받습니다.
- 주거용 고객의 경우 계약전력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변압기 설비가 기준이 될 수도 있습니다.
계약전력의 필요성 및 중요성
계약전력은 전기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계약전력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은 전기 과부하를 방지하고, 전기 설비의 안전한 운영을 보장합니다. 또한, 계약전력이 과도하게 높지 않도록 설정하여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계약전력 결정 및 관리
적절한 계약전력 결정을 위해서는 전력 사용량의 정확한 측정과 분석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필요한 전기증설을 결정하고, 전기 공사를 진행하여 전기 시설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전기증설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보장하며, 전기 요금 절감과 에너지 효율성 증가 등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모든 시설은 전문가와 상담하여 최적의 계약전력 계획과 관리를 수행해야 합니다.
Q&A 계약전력(계약용량)
Q1: 계약전력 변경은 어떻게 하나요?
A1: 계약전력 변경을 원할 경우, 한국전력공사(한전) 또는 해당 전기공급사업자에게 신청해야 합니다. 변경 신청은 전기 사용 설비의 변경, 실제 사용 전력량의 변동 등을 기반으로 할 수 있으며, 전기 공급사와 상의하여 적절한 절차에 따라야 합니다.
Q2: 계약전력 증설의 비용은 어떻게 산정되나요?
A2: 계약전력 증설 비용은 증설하려는 전력 용량과 설치해야 할 전기 설비의 종류, 설치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증설 비용에는 설비비, 공사비, 기본 시설 부담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비용은 한전 또는 전기공급사업자의 세부 정책에 따릅니다.
Q3: 계약전력과 최대수요전력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3: 계약전력은 고객과 전기공급사업자가 합의한 최대 전력 용량이며, 주로 전기 요금 산정의 기준이 됩니다. 최대수요전력은 실제로 어느 시간대에 사용된 최대 전력을 의미하며, 이 수치가 계약전력을 초과할 경우 초과수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Q4: 계약전력 초과 시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인가요?
A4: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을 사용할 경우 전기 공급사업자로부터 초과 사용에 대한 추가 요금을 부과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전기 설비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전기 안전사고의 위험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Q5: 임대 건물의 계약전력은 누가 결정하나요?
A5: 일반적으로 임대 건물의 계약전력은 건물의 소유주(임대인)가 결정합니다. 임차인은 입주 시 계약전력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임대인과 협의하여 조정할 수 있습니다. 변경이 필요한 경우, 임대인과 임차인이 협력하여 전기공급사업자에게 적절한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