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계식 커스텀 키보드가 인기를 끌면서 다양한 키보드 배열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키보드 배열은 크게 풀배열(100%), 텐키리스(80%), 75%, 70%, 65%, 60% 등으로 나뉘는데요. 각 배열은 키 개수와 기능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사용자의 목적과 환경에 따라 최적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기계식 키보드 배열별 특징과 어떤 사용자에게 적합한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풀배열 키보드 (100%)
✅ 키 개수: 104키 또는 106키
✅ 구성: 숫자 키패드(NumPad), 기능키(F1~F12), 방향키, 편집키(Insert, Delete 등) 포함
✅ 추천 사용자: 사무직, 회계 업무, 숫자 입력이 많은 사용자
📌 특징 및 장점
✔️ 익숙한 키 배열로 누구나 쉽게 사용 가능
✔️ 숫자 키패드가 있어 엑셀, 데이터 입력 등 업무에 적합
✔️ 완전한 기능을 제공하여 별도의 키 조합이 필요 없음
📌 단점
❌ 크기가 커서 책상 공간을 많이 차지함
❌ 마우스와의 거리가 멀어 손목 부담이 증가할 수 있음
💡 추천 대상: 회사 업무, 데이터 입력이 많은 직장인, 전통적인 키 배열을 선호하는 사용자
🔹 텐키리스 키보드 (80%)
✅ 키 개수: 약 87키
✅ 구성: 숫자 키패드를 제외한 풀배열 키보드와 동일
✅ 추천 사용자: 게이머, 책상 공간을 절약하고 싶은 사용자
📌 특징 및 장점
✔️ 숫자 키패드가 없는 대신 크기가 작아 공간 활용성이 높음
✔️ 마우스와의 거리가 가까워 손목 피로가 적고, 빠른 반응이 필요한 게임에 유리함
✔️ 다양한 브랜드에서 기본 모델로 제공하여 선택지가 많음
📌 단점
❌ 숫자 키패드가 없어 데이터 입력이 불편함
❌ 숫자 입력이 많은 작업에서는 비효율적
💡 추천 대상: FPS·MOBA 게임 유저, 책상이 좁은 환경에서 사용하려는 사람
🔹 75% 배열 키보드
✅ 키 개수: 약 84~85키
✅ 구성: 텐키리스에서 편집 키(Insert, Delete 등)를 최소화하여 더 작은 크기로 압축
✅ 추천 사용자: 미니멀한 디자인을 선호하는 사람, 노트북과 유사한 배열을 원하는 사용자
📌 특징 및 장점
✔️ 기능키(F1~F12)와 방향키가 포함되어 텐키리스와 유사한 사용감 제공
✔️ 크기가 작아 휴대성이 뛰어나며, 무선 키보드로 출시되는 경우가 많음
✔️ 마우스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음
📌 단점
❌ 일부 편집키가 없어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필요함
❌ 대중적인 배열이 아니므로 키캡 호환성이 낮음
💡 추천 대상: 컴팩트한 키보드를 원하는 직장인, 휴대성을 중시하는 사용자
🔹 70% 배열 키보드
✅ 키 개수: 약 70~75키
✅ 구성: 75% 배열에서 기능키(F1~F12)를 제거한 형태
✅ 추천 사용자: 방향키는 필수지만 최상의 컴팩트함을 원하는 사용자
📌 특징 및 장점
✔️ 75%보다 더 작지만 방향키를 유지해 실용성이 좋음
✔️ 마우스와 가까워 손목 부담이 적음
✔️ 노트북 사용자에게 익숙한 레이아웃
📌 단점
❌ F1~F12가 없어 일부 프로그램 단축키 사용이 어려움
❌ 맞춤형 키 매핑이 필요할 수도 있음
💡 추천 대상: 노트북과 같은 배열을 선호하는 사람, 방향키는 필수지만 공간 절약이 필요한 사용자
🔹 65% 배열 키보드
✅ 키 개수: 약 68키
✅ 구성: 방향키는 포함하되, 기능키(F1~F12)와 일부 편집 키 제거
✅ 추천 사용자: 극한의 공간 절약을 원하면서도 방향키는 필요한 사용자
📌 특징 및 장점
✔️ 70%보다도 더 작은 크기로 공간 활용도 최상
✔️ 기본적인 타이핑과 웹서핑 등 일반적인 사용에 적합
✔️ 기계식 키보드 커뮤니티에서 가장 인기 있는 크기 중 하나
📌 단점
❌ 기능키가 없어 Fn 조합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 많음
❌ 일부 키가 축약되어 초반 적응이 필요함
💡 추천 대상: 키보드 공간을 줄이고 싶은 사용자, 휴대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원하는 사람
🔹 60% 배열 키보드
✅ 키 개수: 약 61키
✅ 구성: 방향키, 기능키, 편집키 모두 제거된 가장 작은 표준 배열
✅ 추천 사용자: 미니멀리스트, 프로그래머, 커스텀 키보드를 좋아하는 유저
📌 특징 및 장점
✔️ 극도로 작은 크기로 휴대성이 뛰어남
✔️ 미니멀한 디자인을 선호하는 사용자에게 적합
✔️ 커스텀 키보드 시장에서 가장 인기 있는 레이아웃
📌 단점
❌ 방향키마저 없어 Fn 조합을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함
❌ 초반 적응이 어렵고, 일부 키가 없어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필요함
💡 추천 대상: 프로그램 단축키를 적극 활용하는 개발자,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싶은 사람
🔹 키보드 배열 비교 요약 표
배열 | 키 개수 | 숫자 키패드 | 방향키 | 기능키 (F1~F12) | 추천 사용자 |
---|---|---|---|---|---|
풀배열 (100%) | 104~106 | ✅ | ✅ | ✅ | 사무직, 데이터 입력이 많은 사용자 |
텐키리스 (80%) | 87 | ❌ | ✅ | ✅ | 게이머, 공간 절약을 원하는 사용자 |
75% 배열 | 84~85 | ❌ | ✅ | ✅ | 노트북과 유사한 배열을 원하는 사용자 |
70% 배열 | 70~75 | ❌ | ✅ | ❌ | 방향키는 필수지만 컴팩트한 키보드를 원하는 사용자 |
65% 배열 | 68 | ❌ | ✅ | ❌ | 휴대성과 공간 활용을 원하는 사용자 |
60% 배열 | 61 | ❌ | ❌ | ❌ | 프로그래머, 미니멀리스트 |
💡 어떤 키보드를 선택해야 할까?
🔹 대표적인 키보드 배열별 추천 모델 (가격대별 정리)
✔️ 가격 기준
- 💰 가성비 (10만 원 이하)
- 💎 중급형 (10만 원~20만 원대)
- 🔥 고급형 (20만 원 이상, 커스텀 포함)
배열 | 💰 가성비 (10만 원 이하) | 💎 중급형 (10만~20만 원대) | 🔥 고급형 (20만 원 이상) |
---|---|---|---|
풀배열 (100%) | 🔹 앱코 K660 (기계식) 🔹 로지텍 K120 (멤브레인) | 🔹 로지텍 G813 🔹 레오폴드 FC900R | 🔹 커세어 K100 RGB 🔹 덱 헤븐 |
텐키리스 (80%) | 🔹 한성 TFG ART (적축) 🔹 로지텍 G413 | 🔹 레오폴드 FC750R 🔹 덱 프랑슘 | 🔹 커세어 K70 TKL 🔹 필코 마제스터치 |
75% 배열 | 🔹 RK84 (로열클루지) 🔹 엠스톤 그루브 T | 🔹 키크론 K2 🔹 닌자87 V3 | 🔹 아키야마 모디 007 🔹 GMMK PRO |
70% 배열 | 🔹 레이저 블랙위도우 V3 미니 | 🔹 로지텍 MX Keys Mini | 🔹 아키야마 아르야 🔹 커스텀 DIY 키보드 |
65% 배열 | 🔹 RK68 (로열클루지) 🔹 키크론 K6 | 🔹 바밀로 VA68M 🔹 레오폴드 FC660M | 🔹 Mode Envoy 🔹 RAMA M65-A |
60% 배열 | 🔹 RK61 🔹 레이저 헌츠맨 미니 | 🔹 듀키 One 2 Mini 🔹 HHKB Pro Hybrid | 🔹 Wooting 60HE 🔹 커스텀 키보드 (GMK, Mode 등) |
가성비를 중시한다면? → RK 시리즈, 키크론, 한성 제품 추천
입문용으로 적절한 제품? → 레오폴드 FC 시리즈, 듀키 제품 추천
커스텀 및 프리미엄 키보드가 필요하다면? → RAMA, Mode, GMMK PRO 추천
✔️ 사무용 & 데이터 입력 많다면? → 풀배열 (100%)
✔️ 게임을 주로 하고 공간 활용이 중요하다면? → 텐키리스 (80%)
✔️ 최대한 작은 크기에 기능을 유지하고 싶다면? → 75% / 70%
✔️ 방향키는 꼭 필요하지만 최소 크기를 원한다면? → 65%
✔️ 최대의 공간 절약과 미니멀리즘을 추구한다면? → 60%
여러분의 사용 환경과 목적에 맞는 최적의 키보드를 찾아보세요! 😊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참고 : 기계식키보드 스위치 종류 – 리니어 택타일 클릭 청축 갈축 적축 흑축
참고 : 무접점 키보드란? 기계식 키보드 차이점 및 장단점
참고 : 크라이톡스 205 & 슈퍼루브 키보드 윤활제 사용후기
추가 윈도우키 리스 및 해피해킹이란?
기계식 키보드를 살펴보면 WK (Winkey) / WKL (Winkeyless) / HHKB (Happy Hacking Keyboard) 배열이라는 용어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이들은 키보드 하단의 모디파이어 키 배열 차이에서 비롯된 개념입니다.
🔹 1. WK (Winkey) 배열
✅ 특징:
✔️ 일반적인 풀배열 및 텐키리스 키보드에서 볼 수 있는 배열
✔️ 윈도우 키(Win Key) 포함
✔️ 대부분의 사용자가 익숙한 키보드 레이아웃
✅ 장점:
✔️ Windows 환경에서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 (윈도우 키 활용 가능)
✔️ 익숙한 배열로 누구나 쉽게 적응 가능
✔️ 키캡 호환성이 높아 교체가 용이
✅ 단점:
❌ 커스텀 키보드에서는 비교적 흔한 배열이라 개성이 떨어질 수 있음
✅ 대표적인 키보드:
🔹 레오폴드 FC750R, 바밀로 VA87M, 로지텍 G Pro X
🔹 2. WKL (Winkeyless) 배열
✅ 특징:
✔️ 윈도우 키가 없음, 대신 Ctrl 키와 Alt 키 사이에 빈 공간이 있거나 FN 키가 배치됨
✔️ 보통 7U(7단위) 스페이스바를 사용
✔️ 예전 기계식 키보드(IBM 모델M)에서 유래
✅ 장점:
✔️ 커스텀 키보드에서 선호되는 디자인 (클래식한 느낌)
✔️ 실수로 윈도우 키를 눌러 게임이나 작업이 방해되는 일이 없음
✔️ 넓은 스페이스바로 타건감이 향상됨
✅ 단점:
❌ Windows 단축키(Winkey + D, Winkey + Tab 등) 사용이 불편함
❌ 일부 키캡 세트(특히 기본적인 키캡)는 호환이 어려울 수 있음
✅ 대표적인 키보드:
🔹 필코 마제스터치 WKL, 커스텀 키보드 (Mode Envoy, RAMA Works 등)
🔹 3. HHKB (Happy Hacking Keyboard) 배열
✅ 특징:
✔️ 일본 개발자가 설계한 배열로, 윈도우 키 및 Fn 키를 활용한 특수한 레이아웃
✔️ 방향키가 없고, Fn 조합을 통해 방향키 사용
✔️ 컨트롤 키(CTRL)가 A 키 왼쪽에 위치 (전통적인 UNIX 배열)
✅ 장점:
✔️ 프로그래머 및 타이핑을 많이 하는 사용자에게 최적화
✔️ 독특한 디자인과 인체공학적인 레이아웃
✔️ 정전용량 무접점 방식으로 부드러운 타건감 제공
✅ 단점:
❌ 일반적인 키보드 배열과 달라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필요함
❌ 가격이 비쌈 (HHKB Pro 시리즈는 30만 원 이상)
❌ 방향키가 없어 불편할 수 있음
✅ 대표적인 키보드:
🔹 HHKB Pro Hybrid, HHKB Type-S
🔹 WK / WKL / HHKB 비교 요약 표
배열 | 특징 | 윈도우 키 | 스페이스바 크기 | 방향키 유무 | 추천 사용자 |
---|---|---|---|---|---|
WK (Winkey) | 일반적인 키보드 배열 | ✅ 있음 | 6.25U | ✅ 있음 | 일반 사용자, 게이머, 사무용 |
WKL (Winkeyless) | 윈도우 키 제거, 클래식한 디자인 | ❌ 없음 | 7U | ✅ 있음 | 커스텀 키보드 유저, 클래식 키보드 선호자 |
HHKB | 컨트롤 키 위치 변경, Fn 조합 필수 | ❌ 없음 | 6U | ❌ 없음 | 프로그래머, UNIX 환경 사용자 |
어떤 배열을 선택해야 할까?
✔️ 일반적인 키 배열이 필요하다면? → WK 배열
✔️ 윈도우 키를 사용하지 않고 클래식한 디자인을 원한다면? → WKL 배열
✔️ 프로그래머이며 UNIX 스타일 배열이 익숙하다면? → HHKB 배열
📢 키보드 선택에 고민이 있으신가요? 댓글로 남겨주시면 맞춤 추천해드릴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