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 스위치를 오랜만에 사용하려고 했는데 전원이 켜지지 않아 당황스러우셨나요?
이런 현상은 특히 오랜 시간 방치된 닌텐도 스위치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인데 다행히도 닌텐도스위치 배터리 방전 문제는 간단한 방법으로 대부분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닌텐도 스위치가 방전되었을 때의 증상과 해결 방법, 그리고 예방 팁까지 자세히 알아보겟습니다.
닌텐도 스위치 방전 증상 3가지
닌텐도 스위치의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었을 때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원이 전혀 켜지지 않음
- 전원 버튼을 아무리 눌러도 화면이 검게 유지됩니다.
- 충전 중 미약한 반응
- 충전기를 연결해도 화면이 깜빡이거나, 왼쪽 상단에 희미한 배터리 아이콘(건전지 모양)이 뜰 뿐 정상적으로 부팅되지 않습니다.
- 충전 표시가 뜨는데 부팅이 안됨
- 충전 중임을 나타내는 번개 모양 아이콘이 화면에 뜨지만, 스위치가 여전히 작동하지 않습니다.
닌텐도 스위치 방전 문제 해결 방법 5가지
충전을 여유롭게 진행하세요
방전된 닌텐도 스위치는 즉시 부팅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우선 닌텐도스위치 충전을 해도 전원이 켜지지 않는다면 최소 1~2시간 동안 충전기를 연결해둔 상태로 기다리세요.
충전 중 화면에 반응이 없어도 기기가 내부적으로 충전 중일 수 있습니다. 너무 급하게 부팅을 시도하지 마세요.
전원 버튼을 12초 이상 길게 눌러 강제 재부팅
닌텐도스위치 충전기를 꽂아둔 상태에서 닌텐도 스위치 상단의 전원 버튼을 12초 이상 길게 눌러주세요.
이 작업은 기기를 강제로 껐다가 다시 켜는 효과가 있습니다.
닌텐도스위치 충전을 더 진행한 후 다시 부팅 시도
위 과정을 마친 뒤에도 기기가 켜지지 않는다면, 추가로 1~2시간 이상 충전을 진행한 후 다시 부팅을 시도합니다.
충전기와 케이블 점검하기
정품 충전기가 아닌 타사 충전기를 사용 중이라면, 충전 성능이 부족하여 스위치가 제대로 충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닌텐도 정품 충전기를 사용해 충전하세요.
어두운 곳에서 화면 확인
만약 기기가 완전히 방전된 경우 화면이 매우 어두운 상태로 미약한 불빛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닌텐도스위치가 충전 중이라면 어두운 환경에서 화면 왼쪽 상단의 배터리 아이콘을 확인해보세요.
참고 : 유주 류진X – 닌텐도스위치 윈도우 게임실행 키보드 게임패드 설정
방전 예방 및 배터리 관리 팁
닌텐도 스위치의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로, 적절한 관리가 필수입니다. 아래의 팁을 참고하여 방전을 예방하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세요.
- 기기를 완전히 끄는 습관 들이기
- 슬립 모드(Sleep Mode)는 편리하지만 배터리를 소모합니다.
- 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전원을 완전히 종료하세요.
- 정기적으로 충전하기
- 기기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더라도 최소 한 달에 한 번은 충전해주세요.
-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된 상태로 오랫동안 방치되면 배터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TV 독(Dock) 사용 시 주의
- TV 독에 연결된 상태로 장시간 보관하면 배터리가 과충전 상태로 유지되어 배터리 수명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 독에 연결해 사용할 때도 적절히 분리하여 배터리를 관리하세요.
- 적절한 온도에서 보관
- 닌텐도 스위치를 너무 뜨겁거나 차가운 환경에 보관하지 마세요.
- 배터리는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극한의 온도에서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배터리 충전 상태 유지
- 배터리를 0%까지 완전히 방전시키기보다, 40~80% 수준을 유지하며 사용하는 것이 배터리 수명에 유리합니다.
만약 닌텐도스위치 계속 전원버튼이 안눌리고 충전이 안된다면 최대한 빨리 AS를 진행해보시길 추천합니다.
참고 : 닌텐도 스위치 AS 신청 방법과 센터 위치, 무상 워런티 기간
닌텐도 스위치 자주 묻는 고장 및 해결 방법: Q&A 형식
닌텐도 스위치를 사용하다 보면 방전 외에도 다양한 문제를 겪을 수 있으며 닌텐도스위치 사용자들이 자주 묻는 질문과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정리한 Q&A입니다. 문제 발생 시 참고하여 간단히 해결해보세요!
1. 닌텐도 스위치 화면이 꺼진 채로 아무 반응이 없어요.
Q: 전원을 눌러도 화면이 켜지지 않고, 충전기를 연결해도 반응이 없어요.
A: 화면이 완전히 꺼진 상태라면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해결 방법
- 충전기를 연결한 상태로 1~2시간 동안 충전하세요.
- 충전 후에도 반응이 없다면 전원 버튼을 12초 이상 길게 눌러 강제 재부팅을 시도합니다.
- 위 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으면 충전기나 케이블의 상태를 점검하세요.
- 정품 충전기로 교체 후 다시 충전해보세요.
2. 조이콘(Joy-Con)이 연결되지 않아요.
Q: 스위치 본체에 조이콘을 장착했는데 작동하지 않거나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A: 조이콘 연결 문제는 보통 본체와 조이콘 간의 통신 문제로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 조이콘을 스위치 본체에서 분리한 후 다시 장착해보세요.
- **본체의 “설정 > 컨트롤러와 센서 > 컨트롤러 재설정”**을 실행합니다.
- 무선 연결이 안 될 경우, 조이콘을 본체에 물리적으로 장착해 연결을 시도합니다.
- 조이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수 있으니 충전 후 다시 테스트해보세요.
3. 스위치 화면이 멈추거나 오류 코드가 나타나요.
Q: 게임을 하다가 화면이 멈추거나 오류 코드가 뜹니다.
A: 닌텐도 스위치가 과부하 상태이거나 시스템 문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해결 방법
- 전원 버튼을 12초 이상 눌러 강제 종료한 후 다시 켜보세요.
- 최신 펌웨어 업데이트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설정 > 시스템 > 시스템 업데이트)
- 오류 코드가 뜰 경우 닌텐도 공식 홈페이지에서 해당 코드를 검색해 원인을 확인하세요.
- 게임 카트리지의 문제일 경우, 카트리지를 꺼내 먼지를 닦아낸 후 다시 삽입해보세요.
4. 스위치가 와이파이에 연결되지 않아요.
Q: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아 온라인 게임을 할 수 없습니다.
A: 스위치의 네트워크 설정 문제나 와이파이 환경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 설정 > 인터넷 > 인터넷 설정에서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를 삭제한 후, 다시 연결하세요.
- 라우터(공유기)를 재부팅한 뒤, 네트워크 상태를 점검합니다.
- 라우터와 닌텐도 스위치 간 거리가 너무 멀다면 가까이 이동해 연결을 시도하세요.
- 방화벽 또는 MAC 주소 필터링 설정이 되어 있다면 라우터 설정에서 해당 기능을 비활성화하세요.
5. 닌텐도 스위치 게임이 로드되지 않아요.
Q: 게임 카트리지를 삽입했지만 “게임을 인식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A: 게임 카트리지 또는 슬롯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해결 방법
- 카트리지의 접촉 부분(금속 단자)을 부드럽게 닦아냅니다.
- TIP: 마른 천이나 알코올 솜을 사용하세요.
- 카트리지를 뺐다가 다시 삽입하며 제대로 들어갔는지 확인합니다.
- 다른 게임 카트리지를 삽입하여 슬롯이 정상 작동하는지 테스트해보세요.
- 슬롯에 문제가 있는 경우, 서비스 센터에 문의하세요.
- 카트리지의 접촉 부분(금속 단자)을 부드럽게 닦아냅니다.
6. 화면 터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요.
Q: 화면을 터치해도 반응이 없거나 정확히 눌리지 않습니다.
A: 화면 터치 문제가 발생할 경우, 보통 디스플레이 설정이나 하드웨어 이상이 원인입니다.
- 해결 방법
- 스위치 본체를 재부팅한 후 다시 터치를 시도합니다.
- 설정 > 컨트롤러와 센서 > 터치 화면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터치 정확도를 조정합니다.
- 화면이 더러울 경우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주세요.
- 문제가 지속된다면 하드웨어 결함 가능성이 있으니 수리점에 문의하세요.
7. TV 모드로 전환되지 않아요.
Q: 닌텐도 스위치를 TV에 연결했는데 화면이 출력되지 않습니다.
A: 닌텐도 독(Dock) 또는 HDMI 연결 문제일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 HDMI 케이블이 올바르게 연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독(Dock) 전원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 닌텐도 스위치를 독에서 뺐다가 다시 연결합니다.
- 다른 HDMI 포트나 케이블을 사용해 테스트해보세요.
- TV 설정에서 입력 소스가 닌텐도 스위치로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8. 팬 소음이 크고 발열이 심해요.
Q: 게임을 하다 보면 기기가 매우 뜨거워지고 팬 소음이 크게 들립니다.
A:발열과 팬 소음은 과부하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 닌텐도 스위치를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서 사용하세요.
- 기기 내부에 먼지가 쌓였을 가능성이 있으니 에어 스프레이로 먼지를 제거합니다.
- 장시간 고사양 게임을 플레이할 경우, 잠시 휴식을 취하며 기기를 식혀주세요.
- 지속적인 발열 문제는 하드웨어 결함일 수 있으니 점검을 받아보세요.
9. 프로컨트롤러(Pro Controller)가 연결되지 않아요.
Q: 프로컨트롤러가 스위치와 연결되지 않습니다.
A: 해결 방법
- 컨트롤러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페어링을 다시 시도합니다.
- 컨트롤러의 배터리를 충전한 후 무선 연결을 시도합니다.
- 본체에서 “설정 > 컨트롤러와 센서 > 컨트롤러 연결 끊기”를 실행한 뒤 다시 페어링하세요.
10. 시스템 업데이트가 안 돼요.
Q: 닌텐도 스위치가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못합니다.
A:인터넷 연결 문제나 시스템 오류일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 와이파이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 충분한 저장 공간이 남아 있는지 확인합니다. (설정 > 데이터 관리)
- 시스템을 재부팅한 후 업데이트를 다시 시도하세요.
- 여전히 업데이트가 되지 않을 경우, 닌텐도 공식 홈페이지를 방문해 수동으로 업데이트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추가적인 참고 사항
- 방전 문제가 해결된 후에도, 배터리 관리에 신경 쓰지 않으면 같은 문제가 반복될 수 있습니다.
- 장기 보관 시 배터리를 적정 수준으로 충전한 뒤 전원을 완전히 끄는 것이 좋습니다.
- 닌텐도 스위치가 구형 모델일 경우, 신형 모델보다 배터리 용량이 작아 방전이 더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점을 유의하며 사용하세요.
이제 닌텐도 스위치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를 바랍라며 배터리 방전 문제는 대부분 간단한 충전과 재부팅으로 해결되며, 배터리 관리를 통해 이런 상황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위의 가이드를 참고하여 문제를 해결하시고, 즐거운 게임 라이프를 즐기세요! 🎮
참고 : 닌텐도스위치 셀프수리 분해 조이콘쏠림 AS 후기
참고 : 닌텐도스위치2 2025년 3월 출시 대망의 후속작 및 가격
참고 : 닌텐도스위치2 젤다와 포켓몬도 그대로! 스위치1 하위 호환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