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메모리 부족 – Steam Client WebHelper

스팀 게임을 실행하면서 메모리 부족 문제를 경험하는 사용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작업 관리자에서 확인되는 “Steam Client WebHelper” 프로세스가 과도한 메모리 점유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이 프로세스는 스팀 스토어, 커뮤니티, 게임 라이브러리 등 웹 기반 기능을 로드하는 데 사용되며, 스팀 클라이언트 내 다양한 서비스의 시각적 UI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시스템 자원을 상당히 소비하기도 합니다.

과거에는 스팀을 “-no-browser2” 옵션과 함께 소형 모드로 실행함으로써 WebHelper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이 방식은 미니멀한 게임 목록만을 보여주는 경량 클라이언트를 제공하여 많은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인 대안으로 활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클라이언트 업데이트 이후로는 이러한 설정에서도 WebHelper가 여전히 실행되어 메모리 자원을 점유하게 되면서, 이전 방식처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어려워졌습니다.

참고 : 노트북 컴퓨터 시스템 리소스 메모리 부족 해결방법

여전히 많은 사용자들이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으며, 일부는 스팀 설정 최적화나 실행 환경 변경을 통해 메모리 점유율을 일부 줄이는 데 성공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결정적인 해결책이 없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스팀 사용자라면 공식 포럼이나 사용자 커뮤니티를 통해 최신 이슈를 수시로 확인하고, 필요 시 스팀 고객지원 센터에 직접 문의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응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스팀 클라이언트 WebHelper와 같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문제는 단순한 오류가 아닌 구조적인 성능 이슈이기에, 시스템 리소스가 부족할 경우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의 메모리 증설이나 가상 메모리 설정 조정 등을 병행하여 안정적인 게임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team Client WebHelper 메모리 확인

스팀 메모리 부족 Steam Client WebHelper 1

Web Helper 프로세스가 많을수록 컴퓨터 메모리 소비뿐만 아니라 CPU 성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충분한 메모리가 없는 경우 장기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Steam Client WebHelper 프로세서를 제거합니다.

참고 : 스팀 게임 런쳐 – 다운로드 및 설치 – Steam Game

첫 번째 방법은 스팀 게임런처 오프라인 모드로 실행하는 것입니다. 스팀 클라이언트를 실행한 후 “Steam” 메뉴에서 “오프라인으로 전환” 옵션을 선택하면 내장 브라우저가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업데이트 다운로드나 온라인 연결이 필요한 게임 실행과 같은 제한 사항이 있습니다.

스팀 메모리 부족 최소 사용모드

두 번째 방법은 스팀 배치 파일을 생성하여 스팀 메모리 부족에 대한 메모리 사용량을 최소화 하도록 사용 모드로 실행하는 것으로 이 방법을 사용하면 매번 많은 명령을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합니다.

스팀 메모리 부족 Steam Client WebHelper 2

메모장을 실행합니다.

스팀 메모리 부족 Steam Client WebHelper 3

아래의 명령어를 복사하여 메모장에 붙여넣습니다.

"C:\Program Files (x86)\Steam\steam.exe" start -dev -console -nofriendsui -no-dwrite -nointro -nobigpicture -nofasthtml -nocrashmonitor -noshaders -no-shared-textures -disablehighdpi -cef-single-process -cef-in-process-gpu -single_core -cef -disable-d3d11 -cef-disable-sandbox -disable-winh264 -cef-force-32bit.

위에서 복사한 명령어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로에 “steam.bat“와 같은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C:\Steam” 폴더에 저장하려면 “C:\Steam\steam.bat”로 저장합니다.

스팀 메모리 부족 Steam Client WebHelper 5

저장한 “steam.bat”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이렇게 하면 스팀 클라이언트가 메모리 최소 사용 모드로 실행됩니다.

스팀 메모리 부족 Steam Client WebHelper 6

이 방법을 사용하면 Web Helper 프로세스가 실행되지 않으므로 메모리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단, 이 모드에서는 일부 기능이 제한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외에도 스팀 클라이언트 설정에서 일부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스팀 클라이언트를 실행하고 “Steam” 메뉴에서 “설정“을 선택한 후 “인터페이스” 탭으로 이동합니다.

스팀 메모리 부족 Steam Client WebHelper 7

거기서 “웹 브라우저” 섹션을 찾아 “내장 웹 브라우저를 사용합니다.” 옵션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내장 웹 브라우저가 비활성화되어 Steam Client WebHelper 프로세스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위에서 소개한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면 스팀 클라이언트의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상 스팀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성능 저하나 시스템 충돌 등을 방지하기 위해 메모리 사용량을 체크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 스팀 환불 – 게임구입 14일 플레이 2시간 미만 전액환불

스팀 게임 조이스틱 패드 인식 안될때 오류 해결방법

스팀과 같은 큰 플랫폼에서도 때때로 발생하는 기술적인 문제들은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문제는 몇 가지 기본적인 해결 방법으로 극복될 수 있습니다. 문제에 직면했을 때 중요한 것은 당황하지 않고, 체계적으로 원인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스팀게임 메모리 부족과 CPU, GPU 점유율 문제 관련 FAQ

스팀 게임 실행 시 “메모리 부족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메모리 부족 오류는 시스템의 물리적 RAM이 부족하거나 가상 메모리(페이징 파일)가 제대로 설정되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게임이 요구하는 최소 RAM 용량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가상 메모리 설정을 시스템 권장 값 이상으로 설정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제어판의 고급 시스템 설정 → 성능 옵션 → 고급 탭 → 가상 메모리 항목에서 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Steam Client WebHelper가 여러 개 실행되고 있는데 정상인가요?

스팀 클라이언트는 기본적으로 다중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안정성을 높입니다.

그러나 너무 많은 WebHelper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어 CPU와 메모리 점유율이 급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정상적인 현상이지만, 시스템 성능에 부담을 준다면 작업관리자에서 불필요한 WebHelper 프로세스를 직접 종료하거나 스팀 설정에서 WebHelper 실행 수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스팀 게임 실행 시 CPU 사용량이 급격히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CPU 사용량이 급격히 높아지는 것은 스팀 클라이언트 또는 게임 자체가 최적화되지 않았거나, 백그라운드에서 불필요한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 스팀의 오버레이 기능을 비활성화하거나 백그라운드 실행 앱을 최소화하면 CPU 점유율을 낮출 수 있습니다. 또한 게임 자체의 그래픽 설정을 낮추면 부하가 줄어들어 CPU 사용량이 안정될 수 있습니다.

스팀 게임 플레이 중 GPU 점유율이 100%까지 올라가는데 정상인가요?

GPU 점유율이 높게 유지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게임이 GPU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그래픽 성능을 끌어올리기 때문이며,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과열이나 게임 프레임 저하가 발생하면,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거나 게임 내 수직 동기화(V-Sync)를 활성화하여 GPU 점유율을 안정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그래픽카드 팬 설정을 자동에서 수동으로 전환하여 발열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Steam Client WebHelper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하면 스팀에 문제가 생기나요?

Steam Client WebHelper는 친구 목록, 커뮤니티 기능 및 웹 콘텐츠 표시 등의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면 일부 스팀 기능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거나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단, 게임 플레이 자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클라이언트를 재시작하면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다시 실행됩니다.

스팀 게임 실행 시 “GPU 장치가 응답을 중지했습니다”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요.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요?

이 오류는 GPU 과열, 드라이버 충돌, 오버클럭 등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그래픽 드라이버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DDU(Driver Display Uninstaller)를 사용해 완전히 드라이버를 삭제한 후 최신 드라이버를 재설치합니다.

또한 그래픽카드가 과열되지 않도록 본체 청소와 냉각 솔루션을 점검하거나, 오버클럭 설정을 해제하여 GPU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스팀 게임 다운로드 속도가 매우 느린데, 속도 개선 방법은 무엇인가요?

다운로드 속도가 느릴 경우, 스팀 설정에서 다운로드 지역을 가까운 지역이나 다른 서버로 변경해 볼 수 있습니다.

스팀 설정 → 다운로드 → 다운로드 지역에서 변경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 캐시를 지우는 방법도 효과적입니다. 스팀 설정 → 다운로드 → 다운로드 캐시 지우기를 선택하여 캐시를 초기화하고 재시작하면 속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스팀 클라이언트 실행 시 빈 화면이 나타나고 응답 없음 상태입니다. 원인은 무엇인가요?

스팀 클라이언트가 빈 화면이나 응답 없음 상태로 나타난다면, 클라이언트 설정 파일 손상이나 WebHelper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스팀 설치 폴더 내 appcache 폴더를 삭제한 후 다시 실행하거나, 클라이언트 단축키 우클릭 → 속성 → 호환성 탭에서 ‘관리자 권한으로 이 프로그램 실행’ 옵션을 체크하여 클라이언트를 다시 실행하면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스팀 클라이언트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을 때 수동으로 업데이트하는 방법은?

스팀 클라이언트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을 경우, 먼저 클라이언트를 완전히 종료한 후 설치 폴더에 있는 Steam.exe를 직접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최신 업데이트 파일을 확인하고 다운로드합니다. 만약 수동 실행 시에도 실패할 경우, 공식 스팀 웹사이트에서 최신 설치 프로그램을 받아 덮어쓰기로 설치하면 간편하게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게임 성능 향상을 위한 Nvidia Geforce Experience 최적화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Geforce Experience를 실행하여 ‘게임 최적화’ 항목에서 자동 최적화를 선택하면 Nvidia가 제공하는 최적의 그래픽 설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성능 튜닝’ 메뉴에서 GPU 오버클럭 및 팬 속도 조정을 통해 더욱 세부적인 성능 향상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지나친 오버클럭은 GPU의 수명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적정선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 위에서 제시된 방법들은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며, 그래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 전문가나 커뮤니티의 도움을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게임은 우리에게 재미와 휴식을 제공하는 도구이니, 불편함 없이 즐길 수 있기를 바랍니다.

  1. Steam Client WebHelper는 스팀 클라이언트에서 웹 콘텐츠를 렌더링하고 표시하기 위한 프로세스입니다. 스팀 클라이언트는 많은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팀 스토어, 커뮤니티 페이지, 사용자 프로필, 게임 라이브러리의 상세 정보 페이지 등은 모두 웹 기반의 콘텐츠입니다.
    Steam Client WebHelper는 이러한 웹 페이지와 웹 기반의 UI 요소를 렌더링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기본적으로 스팀 클라이언트와 함께 실행되며,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내의 웹 페이지나 인터페이스를 탐색할 때 작동합니다.
    일부 사용자들은 Steam Client WebHelper가 과도한 시스템 리소스 (특히 메모리)를 사용한다는 불만을 가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최적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제안되곤 합니다. 그러나 Steam Client WebHelper는 스팀 클라이언트의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그대로 둘 것을 권장합니다.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공식 스팀 지원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2. -no-browser는 스팀 클라이언트의 실행 옵션 중 하나로, 스팀을 시작할 때 내장 브라우저와 관련된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스팀의 ‘Steam Client WebHelper’는 웹 페이지를 렌더링하거나 스팀 스토어, 커뮤니티, 프로필 페이지와 같은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로드하기 위한 프로세스입니다. 일부 사용자는 이 프로세스가 과도한 메모리나 CPU를 사용한다고 보고했습니다.
    -no-browser 옵션을 사용하면 스팀 클라이언트는 이러한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로드하지 않게 되므로, 메모리 사용량이나 CPU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