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EFI 시스템 파티션 삭제 MBR GPT 변경 초기화 방법

윈도우를 설치해서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드디스크나 SSD를 장착해서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파티션 설정을 통해 1개의 스토리지를 분할하여 나눠서 사용하느것이 활용성면에서 좋습니다.

그런데 간혹 파티션을 확인해보면 EFI 파티션이라고해서 파티션을 분할하거나 삭제,포맷,초기화등을 할수 없는 상태임을 볼 수 있습니다.

EFI 시스템 파티션이란 무엇인가요?

EFI 시스템 파티션(ESP, EFI System Partition)은 운영 체제의 부팅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파티션입니다.

주로 GPT(가이드 파티션 테이블) 형식을 사용하는 디스크에 존재하며, Windows와 같은 운영 체제가 부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트로더 파일 및 시스템 파일을 포함합니다. EFI 파티션은 기본적으로 100MB에서 500MB 크기이며, 디스크의 첫 번째 파티션으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EFI 시스템 파티션은 디스크가 UEFI(통합 확장 펌웨어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부팅될 때 필수적이며, 시스템의 부팅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다중 부팅 환경에서 다른 운영 체제를 설치하거나, 오래된 운영 체제를 삭제한 경우 불필요하게 남은 EFI 파티션을 삭제하여 디스크 공간을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디스크에 윈도우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선택한 디스크에 MBR 파티션 테이블이 있습니다.
EFI 시스템에서는 GPT 디스크에서만 Winodws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디스크에 MBR 파티션 테이블이 없습니다.

EFI 파티션은 우리가 윈도우를 설치할때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EFI 파티션이란 윈도우를 설치하고 부팅하기 위한 파티션으로서 해당 파티션을 삭제하게 되면 윈도우가 정상적으로 부팅이 될수 없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보호되어 있습니다.

GPTMBR 파티션 테이블

운영 체제를 설치하고 부팅하기 위한 파티션 테이블에는 GPTMBR이라는 두 가지 주요 형식이 있습니다. 각 형식은 디스크의 파티션 구조와 부팅 방식을 다르게 정의합니다.

MBR 파티션 테이블은 오래된 방식으로, 특히 BIOS 부팅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그러나 디스크 용량이 2TB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고, 파티션 수에도 제한이 있습니다. 반면, GPT 파티션 테이블은 UEFI 모드에서 부팅을 지원하며, 더 큰 용량의 디스크와 더 많은 파티션을 지원합니다. 또한 GPT는 파티션 정보를 여러 군데에 저장하여 데이터 복구에 유리합니다.

EFI 시스템 파티션은 GPT 방식의 파티션 테이블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이는 UEFI 모드에서 부팅하기 위한 필수적인 파티션입니다. 따라서 GPT 형식의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 EFI 파티션을 반드시 생성해야 하며, 이를 통해 운영 체제의 부팅 정보를 저장하고, 시스템을 부팅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특징MBR (Master Boot Record)GPT (GUID Partition Table)
지원 디스크 크기최대 2TB2TB 이상, 9.4ZB까지 가능
파티션 수최대 4개의 기본 파티션 (확장 파티션을 통해 더 많은 파티션 생성 가능)최대 128개의 파티션 가능
부팅 방식BIOS 모드에서 부팅UEFI 모드에서 부팅
부팅 가능 운영 체제Windows 7 이하에서는 MBR로 부팅, Windows 8 이상에서는 GPT 사용 가능최신 Windows 버전(Windows 8 이상), Linux 및 MacOS에서 GPT 지원
파티션 정보 저장부트 섹터에 파티션 정보를 저장GPT 헤더와 파티션 테이블에 정보를 저장
장점오래된 시스템에서 호환성 유지더 큰 디스크 지원, 더 많은 파티션 가능, 데이터 복구 용이
단점2TB 이상의 디스크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제한된 파티션 수구형 시스템에서는 호환되지 않음

윈도우를 설치하기 위한 파티션으로는 MBR “Master Booting Record“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GPT 파티션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참고 : MBR 파티션 GPT 파티션으로 변경방법

EFI 파티션 디스크번호 확인

하지만 C드라이브에도 윈도우를 설치하고 D드라이브에도 파티션을 설치하는등 다중 윈도우를 설치하거나 삭제한 경우에는 필요없는 파티션에 EFI 파티션이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경우에는 EFI 파티션 삭제해서 일반 파티션으로 활용하는것이 좋습니다.

내PC 마우스 우클릭 “관리“로 들어갑니다

윈도우10 EFI 파티션 초기화
ㅇ우윈윈ㄷ도동도우ㅇ

그럼 현재 EIF 시스템의 파티션이 디스크 몇번에 있는지 확인 후 수동으로 삭제해야합니다.

5
EFI 파티션 포맷 불가능

그 이유는 디스크관리에서는 EFI 파티션을 삭제할 수 없도록 보호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EFI 파티션 포맷 삭제 및 초기화

EFI 파티션 포맷 초기화 방법 13

윈도우키 + R을 눌러 실행창에서 CMD를 입력해 명령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EFI 파티션 포맷 초기화 방법 14 1
EFI 파티션 포맷 초기화 방법 15
EFI 파티션 포맷 초기화 방법 16
  1. DISKPART 입력 후 엔터
  2. Select Dsik 0 “뒤에숫자는 아까 EFI 디스크 넘버를 입력
  3. Clean 입력 후 엔터
EFI 파티션 포맷 삭제 및 초기화

그럼 해당 파티션이 초기화가 완료됩니다.

EFI 파티션 포맷 초기화 방법 18

이후 다시 디스크관리로 들어가 파티션을 활성화하면 해당 파티션이 EFI 파티션 -> NTFS 주 파티션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상 EFI 파티션 포맷방법을 알아보았으며 파티션 초기화 및 활성화 방법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FAQ

Q1. “선택한 디스크에 MBR 파티션 테이블이 없습니다.” 오류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A1. 이 오류는 윈도우 설치 중 디스크가 MBR(마스터 부트 레코드) 대신 GPT(가이드 파티션 테이블) 형식을 사용해야 한다는 메시지입니다. 윈도우 설치 시 MBR 파티션 테이블에서는 EFI 부팅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GPT로 변경해야 합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diskpart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 초기화를 GPT 형식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디스크 초기화 방법

  1. 윈도우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엽니다.
  2.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엽니다.
  3. diskpart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4. list disk를 입력하여 연결된 디스크 목록을 확인합니다.
  5. select disk X (X는 원하는 디스크 번호) 입력 후 엔터를 칩니다.
  6. clean을 입력하여 디스크를 초기화합니다.
  7. convert gpt 명령어를 입력하여 GPT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8. 디스크 관리에서 해당 디스크를 확인하고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Q2. “EFI 파티션이 삭제되지 않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나요?

A2. EFI 파티션은 디스크 관리에서 삭제할 수 없도록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삭제되지 않습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diskpart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명령어는 EFI 파티션을 포함한 파티션을 직접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게 해줍니다.

EFI 파티션 삭제 방법

  1. 윈도우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엽니다.
  2. diskpart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3. list disk 명령어로 연결된 디스크 목록을 확인합니다.
  4. select disk X (X는 EFI 파티션이 있는 디스크 번호)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5. list partition 명령어로 파티션 목록을 확인한 후, EFI 파티션을 선택합니다.
  6. select partition X (X는 EFI 파티션 번호)를 입력합니다.
  7. delete partition override 명령어를 입력하여 EFI 파티션을 삭제합니다.

Q3. “디스크를 초기화할 수 없습니다. 디스크에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오류 해결 방법은 무엇인가요?
A3. 이 오류는 디스크가 물리적으로 손상되었거나, 파티션 테이블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합니다. 이 경우 디스크 상태를 점검하고, diskpart를 통해 디스크 초기화를 시도해야 합니다. 만약 물리적 문제로 인한 오류라면, 디스크 교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 초기화 방법

  1. 윈도우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엽니다.
  2. diskpart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3. list disk 명령어로 디스크 목록을 확인한 후, select disk X를 입력하여 문제가 발생한 디스크를 선택합니다.
  4. clean 명령어를 입력하여 디스크를 초기화합니다.
  5. convert gpt 또는 convert mbr을 입력하여 디스크를 GPT 또는 MBR 형식으로 변경합니다.

Q4. “윈도우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선택한 디스크에는 GPT 파티션 테이블이 필요합니다.” 오류 해결 방법은 무엇인가요?

A4. 이 오류는 MBR 파티션 테이블에서 윈도우를 설치하려고 할 때 발생합니다. EFI 부팅 방식을 사용하려면 디스크를 GPT 형식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diskpart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를 GPT 형식으로 초기화해야 합니다.

디스크를 GPT로 변경하는 방법

  1. 윈도우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2. diskpart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3. list disk 명령어로 디스크 목록을 확인하고 select disk X를 입력하여 디스크를 선택합니다.
  4. clean 명령어를 입력하여 디스크를 초기화합니다.
  5. convert gpt를 입력하여 GPT로 변경합니다.

Q5. EFI 파티션 삭제 후 Windows 부팅에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해결하나요?

A5. EFI 파티션을 삭제하면 시스템 부팅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복구 도구를 통해 부트로더를 재설치하거나 복구해야 합니다. Windows 복구 환경을 통해 부트로더를 재설치하거나, bootrec 명령어를 사용하여 부팅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부트로더 복구 방법

  1. Windows 복구 USB나 Windows 설치 디스크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부팅합니다.
  2. 고급 시작 옵션에서 명령 프롬프트를 선택합니다.
  3. bootrec /fixmbrbootrec /fixboot 명령어를 입력하여 부트로더를 복구합니다.
  4. bootrec /rebuildbcd 명령어를 사용하여 부트 레코드를 재구성합니다.

Q6. “디스크 초기화 실패” 오류 발생 시 해결 방법은 무엇인가요?

A6. 디스크 초기화 실패는 하드웨어 문제, 드라이버 문제, 또는 파티션 테이블 오류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 관리에서 디스크 상태를 확인하고, diskpart 명령어를 통해 디스크 초기화를 다시 시도해야 합니다. 또한, 디스크가 손상된 경우에는 데이터 복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디스크 교체를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디스크 초기화 방법 (재시도)

  1. 윈도우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2. diskpart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3. list disk 명령어로 디스크 목록을 확인하고 select disk X를 입력하여 디스크를 선택합니다.
  4. clean을 입력하여 디스크를 초기화합니다.
  5. convert gpt 또는 convert mbr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티션 형식을 설정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