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탈영 처벌 및 벌금 공소시효 – 군인 현지탈영 미귀탈영

군인의 의무 저버림, 군무이탈죄의 경중 및 사례 분석

군대 탈영은 군인이 자신의 병영에서 무단으로 빠져나와 도망가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군인의 의무를 저버리는 행동으로, 군부대에서 도망치는 현지탈영과 휴가나 외박 시 복귀하지 않는 미귀탈영으로 구분됩니다. 군형법에 따르면 탈영 행위에는 다양한 처벌이 부과되며, 상황에 따라 경중에 따른 차등적인 처벌이 이루어집니다.

탈영 종류설명공소시효 기간처벌
근무 이탈죄의무를 기피하려는 목적으로 부대나 직무를 무단 이탈한 경우10년작전 중: 사형, 무기징역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
전시, 사변 시 및 계엄지역: 5년 이상의 유기징역
그 외: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
특수 군무이탈 죄위험한 임무를 기피하려는 목적으로 부대나 직무를 이탈한 경우10년근무 이탈죄와 동일한 처벌 적용
총기 휴대 근무 이탈죄근무 이탈과 총기 휴대를 결합한 죄로, 총기를 휴대하고 근무 이탈한 경우10년총기, 탄약, 폭발물: 사형, 무기징역 또는 5년 이상의 징역
그 외: 사형, 무기징역 또는 1년 이상의 징역
무단 이탈죄지휘관의 허가 없이 근무장소나 지정장소를 이탈한 경우10년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 원 이하의 벌금
수소 이탈죄초병이 정당한 이유 없이 근무지를 이탈하거나 정해진 시간까지 수소에 임하지 않은 경우10년적전 중: 사형, 무기징역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
전시, 사변 시 및 계엄지역: 1년 이상의 유기징역
그 외: 2년 이하의 징역
탈영 종류 및 공소시효 – 처벌

군대 탈영범을 검거하는 군인은 보통 ‘검거대원’ 또는 ‘탈영 검거대원’으로 불립니다. 이들은 군사 경찰이나 관련 부대에서 임무를 맡아 탈영한 군인을 찾아내고 체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군인들은 신속한 대응과 조사 역량을 발휘하여 병영 내 질서와 안전을 유지하고 군의 임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탈영 사례를 방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참고 : 2023년 군인월급 병장 상병 일병 이등병 직급별 인상폭 – 미래전망

특전사 지원자격 및 신체자격 연봉 복무기간

군대 탈영 군무 이탈죄 유형과 처벌

군대 탈영 처벌 및 벌금 현지탈영 미귀탈영 1

군무이탈죄는 군무를 기피하거나 근무 또는 휴가 지정장소에서 무단 이탈하는 행위로 정의됩니다. 이에 따라서 현지탈영과 미귀탈영으로 나뉘며, 각각의 경우에 따라 다른 처벌이 부과됩니다.

  • 현지탈영: 부대 내에서 허가 없이 빠져나가는 경우로, 군법 30조에 따라 앞진 전장 상황에서의 현지탈영은 무기징역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으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시 상황일 경우에는 최소 5년의 징역이 가능합니다.
  • 미귀탈영: 휴가나 외박 중에 복귀하지 않는 경우로, 30일 미만의 미귀탈영은 기소유예 혹은 선고&집행 유예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30일 이상의 장기탈영병은 실형을 받을 수 있으며, 실형이 1년 6개월 이상이면 군교도소로 이송됩니다.

보통 군대 탈여의 경우 외박이나 휴가 후 복귀하지 않는 경우, 종교활동 등을 이용해 도망침, 운전병이 차를 이용하여 외부로 나감 및 부대 내에서 관리 소홀한 곳으로 탈출, 대민지원을 나가서 몰래 도주하는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합니다.

군무이탈죄 법적처리 및 공소시효

군대 탈영 처벌 및 벌금 현지탈영 미귀탈영 6

군무이탈죄는 군형법에 따르면 탈영은 무기징역, 사형, 10년 이상의 징역 등의 형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시상황에서의 탈영은 최소 5년의 징역이 가능합니다. 또한, 군형법에 따르면 군인의 신분으로 남아있는 동안 범행한 경우 군사재판을 받게 됩니다.

  1. 적진의 앞에서 탈영하는 경우 무기징역,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
  2. 전쟁과 같은 큰 사건이 발생, 또는 계엄지역인 경우 5년 이상의 유기징역
  3. 그 밖의 경우는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만약 탈영을 하였을 때 아직 제대하지 않았다면, 만 40세까지 군인의 신분으로 남게 되며 군인이 휴가나 외박 후 복귀하지 않으면 명령에 불복종한 것으로 간주되어 명령위반죄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 처벌이 가능하며, 군대 탈영의 공소시효 기간은 군형법 제6장 규정에 따라 공소시효 기간은 10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탈영 행위로 인한 형사 처벌에 대한 공소를 제기할 수 있는 시간 제한을 나타냅니다.

  • 탈영을 하면 공소시효가 적용되며, 40세 이상이면 병역의무가 종료되나, 참모총장이 군무이탈자의 복귀 명령을 내려서 공소시효를 갱신해 3년이 추가됨.
  • 병사의 경우 공소시효: 40세 + 3년, 간부의 경우 공소시효: 계급정년 + 3년.
  • 만 40세가 되더라도 3년 추가되어 만 45세에 공소시효 만료, 실질적으로 처벌을 받지 않게 됨.

군대 탈영은 군사법상의 특수성으로 인해 공소시효 기간이 민간 범죄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군의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군사 환경에서, 군인들의 의무를 저버리는 행위는 심각한 범죄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탈영 사건의 공소시효 기간은 군의 목적과 특성을 고려하여 적용됩니다.

  • 가족, 친구와 연락을 못하고 개인카드 사용이 어려워 정상적인 생활이 어려움, 대부분 중간에 자수하며 처벌을 받음.
  • 글쓴이는 복무하던 부대에서 큰 화재 발생 시 중대 말년 병장이 나타나지 않아 난리가 났던 기억을 언급.

군대 탈영의 경우에도 범죄 사건에 대한 공소시효가 적용되며 탈영 공소시효 기간은 군형법에 근거하여 결정되며, 군의 특수성과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적용됩니다. 이를 통해 군사 환경에서의 질서와 안전을 유지하고 범죄 행위에 대한 적절한 처벌을 확보합니다.

탈영 사례와 주의사항

군대 탈영 처벌 및 벌금 현지탈영 미귀탈영 8

실제로는 다양한 이유로 탈영 사례가 발생하며, 일부 사례는 상당히 사소한 이유로 인한 것도 있습니다. 휴가나 외출 후 복귀하지 않거나 PC방에서 시간을 보내다가 복귀를 미뤄 탈영 사건에 휘말릴 수도 있습니다. 군사 기피, 부적응, 처벌 우려, 경제 및 가정 문제 등의 다양한 이유로 탈영이 발생하며, 이에 따른 처벌 및 후속조치가 이루어지며 군인 탈영범을 잡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노력이 이루어집니다.

  1. 교육 및 교육 강화: 군인에게 병영 규칙과 의무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탈영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2. 정보 수집 및 분석: 군사 경찰과 관련 기관은 정보 수집 및 분석을 통해 탈영 가능성이 높은 개인을 사전에 파악하려고 노력합니다.
  3. 모니터링 및 감시: 병영 내 CCTV 및 다양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군인들의 움직임을 감시하고 이상 행동을 조기에 감지합니다.
  4. 신고 및 제보 시스템: 병사들은 익명으로 탈영에 대한 정보를 신고하거나 제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여 군내의 안전을 증진합니다.
  5. 협력과 연대: 다양한 부대, 군사 경찰, 군 지휘부 및 관련 기관들 간의 협력과 연대가 강화되어 탈영 사건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정리하자면, 군대 탈영은 심각한 군법 위반으로 다양한 처벌이 부과됩니다. 군형법에 따라서 현지탈영과 미귀탈영이 다르게 처리되며, 범행 상황 및 이유에 따라 다양한 처벌이 이루어집니다. 군무이탈죄에 대한 법적 처리와 후속조치는 군인의 의무와 군사규정을 준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탈영 후 재복무 의사가 없는경우 빨간줄

아래는 주어진 내용을 정리한 요약입니다:

  • 재복무 의사가 있는 경우:
    • 탈영은 대부분 초범으로 끝나므로 집행유예로 끝날 수 있음.
    • 한 달 미만으로 자수한 경우, 재복무 의사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침.
    • 진심어린 반성으로 기소유예 형으로 처벌 가능.
    • 장기 탈영이나 재탈영의 경우 집행유예가 아닌 집행 선고 받음.
  • 재복무 의사가 없는 경우:
    • 탈영 후 잡히고 재복무 의사가 없다고 밝히면 1년 6개월 정도의 징역형과 함께 병역법에 따라 전시근로역으로 편입.
    • 국군 교도소에 수감됨.
    • 군사재판을 받으면 전과(빨간줄)가 남고 병영 내에서의 생활이 어려워짐.
  • 기타 사항:
    • 병영 부조리 때문에 재복무 의사가 없는 경우, 전출 요청이나 최고 지휘관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고려.
    • 군기 교육대나 영창에 들어가면 내부 징계로 끝나나 형사처벌 대상이 되면 전과(빨간줄) 기록이 남음.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