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전사 지원자격 및 신체자격 연봉 복무기간

특전사란? 특전사(특수전사령부, ROK Special Warfare Command)는 대한민국 육군의 최정예 특수부대로,

침투·정찰, 대테러, 공중강습, 비정규전, 구조 작전 등 다양한 특수임무를 수행합니다.
고강도 훈련을 통해 최상의 신체 능력과 정신력을 갖춘 병사들로 구성되며,
✅ 대한민국의 국가안보와 대외 군사작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 특히 공수작전(낙하산 강하), 해상·산악 전술, 게릴라전, 폭파·저격 등의 전문 기술을 필요로 하는 도전적인 직업입니다.

특전사는 강한 체력과 정신력을 바탕으로 최고의 전투력을 갖춘 병사만이 수행할 수 있는 직무로 만약 도전 정신강한 책임감을 가지고 있다면, 특전사는 당신에게 최고의 기회가 될 것입니다.

특전사 지원자격 및 신체자격 연봉 복무기간 2

그럼 지금부터 특전사 지원자격, 신체 조건, 연봉, 복무기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 군대 신체검사 신검 준비물 1급 ~ 6급 공익 및 면제판정

군대 면제조건 및 군면제 대상 10가지

특전사 지원자격

특전사 지원 신체자격

공통 자격조건

구분내용
연령지원서 접수년도 기준 18세 이상 28세 이하
(‘2025년도 기준: 1997.1.1. ~ 2007.12.31. 출생자)
신체 조건병역판정검사 결과 신체등급 14급으로 현역병 입영대상자

18세의 경우, 현역병 지원 신체검사에서 신체등급 14급인 자
신장 160cm 이상 190cm 미만
나안 시력 0.5 이상, 신체 건강한 자 (색약·색맹 지원 불가)
시력교정수술 관련시력교정수술(라식, 라섹, PRK, 렌즈삽입술 등) 후 3개월 미경과자는 지원 불가
(1차 합격 후에도 특수신검 및 체력평가 시 선발 제외)
수영 능력200m 이상 수영 가능자
기타 조건특수신체검사 및 체력평가(체력검정·수영검정) 후 적격자에 한해 선발
병역판정검사 미실시자는 현역병 지원 신체검사 별도 실시 (반드시 수험표 출력 확인)

군 복무기간 및 지원 가능 연령

  • 1) 임관일 기준 고졸 이상 학력 소지자 or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가진 자
    • 검정고시 합격자 포함
    • 중학교 졸업자는 국가 기술 자격증 취득자에 한하여 지원 가능
  • 남군
    • 군 미필자 – 18세 이상 27세 이하
    • 군 복무 1년 미만 – 18세 이상 28세 이하
    • 군복무 1년 이상 2년 미만 – 18세 이상 29세 이하
    • 군복무 2년 이상 – 18세 이상 30세 이하
  • 여군
    • 군미필자 – 18세 이상 27세 이하
    • 군 복무 1년 미만 – 18세 이상 28세 이하
    • 군복무 1년 이상 2년 미만 – 18세 이상 29세 이하
    • 군복무 2년 이상 – 18세 이상 30세 이하
군 복무기간지원 가능 연령생년월일
1년 미만만 18세 이상 28세 이하(‘2025년도 기준: 1997.1.1. ~ 2007.12.31. 출생자)
1년 이상 2년 미만만 18세 이상 29세 이하(‘2025년도 기준: 1997.1.1. ~ 2007.12.31. 출생자)
2년 이상만 18세 이상 30세 이하(‘2025년도 기준: 1997.1.1. ~ 2007.12.31. 출생자)

지원서 접수

구분내용
접수 기간특수훈련 일정상 매년 1회 모집
모집 일정은 해군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병무청 홈페이지에서 확인 필수)
접수 방법인터넷 접수
병무청 홈페이지 → 병무민원포털 → 군지원 → 지원서 작성 및 수정/취소
참고 사항지원서 접수 취소: 최종합격자 발표일 7일 전까지 가능
최종합격 후 부득이한 사유로 선발 취소 시, 병무청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지방병무청 확인 후 취소 가능)

현역부사관 및 특전사 임기제부사관

특전사 지원자격 2
구분내용
선발 전형면접, 체력검정, 수영평가, 특수신체검사, 범죄경력 조회
선발 기준실기(체력·수영) 평가 점수를 우선하여 선발
체력/수영 능력이 일정 수준 미달 시 모집인원과 관계없이 불합격 가능
선발 배점 (총 200점)체력평가(50점) + 수영평가(50점) + 면접(100점)
평가 장소해군 특수전여단(경남 진해)
집결 장소 및 시간진해역 광장 오전 08:00 (부대 사정에 따라 변경 가능)
검사 항목특수신검: 압력내성검사, 청력, 호흡기능, 뇨검사, 배근력, 혈압, X-RAY 촬영, 피하지방 검사, 혈액, 시력
수영 평가: 입영(물에서 떠 있는 능력), 종합영법
체력검정: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턱걸이, 3km 달리기, 부상자 운반
면접 평가: 태도, 표현력, 학교생활, 의지/정신력, 성품 등 5개 항목
개인 준비물신분증, 수험표, 체육복, 운동화, 수영복(수경, 모자), 수건, 점심값

실격 및 불합격 기준

구분내용
면접평가 항목 중 1개 이상 0점을 받거나
면접 평가 총점 50점 미만일 경우
신체검사신체검사 또는 특수신체검사 불합격자
체력·수영검정체력 및 수영검정 합산 점수 70점 미만
평가(면접, 신체검사, 체력검정 등) 불참자
시력교정수술시력교정수술(라식, 라섹, PRK, 렌즈삽입술 등) 후 3개월 미경과자
범죄경력징역 또는 금고형(집행유예 포함) 선고자
수사 또는 재판 중인 사람
처분 미상 통보된 사람
기타구비 서류 미제출자
선발 관련 서류 위조 확인 시 선발 취소
대체역 편입원을 제출한 경우

특전사 신체자격 및 평가항목

신체검사

항목기준
기간/장소6. 19. ~ 30. / 국군병원 및 육군 민간지정병원 (지역별 지정)
신체등위국군병원에서 실시하는 특전부사관 선발 신체검사 결과 신체등위 2급 이상
BMI등위BMI등위 2급 이상자 선발
신장/체중남: 161cm 이상, 46kg 이상 / 여: 155cm 이상, 44kg 이상
시력남: 나안 시력 양안 0.6 이상, 여: 나안 시력 양안 0.6 이상
특전사 지원 신체검사 자격
  • 기간 / 장소: 6. 19. ~ 30. / 국군병원 및 육군 민간지정병원
  • 국군병원에서 실시하는 특전부사관 선발 신체검사 결과 신체등위 2급 / BMI등위 2급 이상자 선발
  • 신장, 체중, 시력 등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 고소공포증, 폐쇄공포증, 문신자는 지원 제한이 있습니다.

선발 기준을 충족해야 신체검사를 통과할 수 있으며, 고소공포증, 폐쇄공포증, 문신자는 지원 제한이 있습니다. 민간병원에서도 신체검사를 실시하고 싶은 경우 사전 문의와 검사결과 등기 발송이 가능합니다. 결과는 군 병원에서 판정되며, 불합격자는 개별 통보 후 재검사 기회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필기평가

항목기준
일시/장소’23. 8. 5.(토), 09:00 ~ 13:00 / 2개 지역 고사장(중부, 남부)
점수20점 (평가 결과 8점 미만자는 불합격)
한국사 점수한국사 능력검증 시험 증빙서류 필기 평가장에서 제출

필기평가는 ’23. 8. 5.에 진행되며, 점수가 8점 미만인 경우 불합격 처리됩니다. 또한 한국사 능력검증 시험 증빙서류를 제출할 경우 추가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특전사 체력기준 2

체력평가는 8. 28. ~ 9. 8.에 실시되며, 평가 항목에 따라 점수가 부여됩니다. 50(60)점 이상이어야 체력평가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

특전사 체력기준 3

특전사 지원자들은 신체검사, 필기평가, 체력평가를 모두 응시하여 훌륭한 신체 능력과 학습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야 합니다. 자세한 평가 방법과 절차는 특전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최고의 준비를 갖추고 특전사의 꿈을 향해 도전해보세요!

특전사 체력기준
  • 평가시간 및 과목: ’23. 8. 5.(토), 09:00 ~ 13:00 / 2개 지역 고사장(중부, 남부)
  • 필기평가 점수가 8점 미만인 경우 불합격 처리됩니다.

체력평가 기준 (총 50점)

특전사 지원자격 및 신체자격 연봉 복무기간 1

UDT/SEAL 선발을 위한 체력평가는 3km 달리기, 팔굽혀펴기, 턱걸이, 윗몸일으키기, 부상자 운반의 다섯 가지 항목으로 진행됩니다.
각 항목별 점수를 합산하여 총 50점 만점으로 평가하며, 체력 및 수영 평가 합산 점수가 70점 미만이면 불합격 처리됩니다.

① 체력검정 기준 및 배점 (총 50점)

평가 항목배점 (50점)기준 (점수별 조건)
3km 달리기최대 12점12분 10초 이내 12점
12분 11초부터 12분 12초 11.88점
12분 13초부터 12분 14초 11.76점
13분 30초 초과 과락 (실격)
팔굽혀펴기최대 10점70회 10점
69회 9.9점
68회 9.8점
60회 미만 과락 (실격)
턱걸이최대 10점18회 10점
17회 9.5점
16회 9점
10회 이하 과락 (실격)
윗몸일으키기최대 10점85회 10점
84회 9.9점
83회 9.8점
45회 미만 과락 (실격)
부상자 운반최대 8점30초 이내 8점
30초 초과 과락 (실격)

② 체력평가 세부 규정

팔굽혀펴기
  • 평지에서 신호음이 울릴 때 내려가 팔을 90도 각도로 만든 후, 다음 신호음에 맞춰 올라오는 동작을 반복
  • 신호음보다 늦게 동작을 수행하거나 정확한 자세를 취하지 못하면 평가 종료
턱걸이
  • 신호음이 울릴 때 철봉에 올라 턱을 걸고, 다음 신호음에 맞춰 내려오는 동작을 반복
  •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하지 못하면 평가 종료
윗몸일으키기
  • 누운 상태에서 신호음이 울릴 때 상체를 일으켜 무릎을 터치한 후, 다음 신호음에 맞춰 내려가는 동작을 반복
  • 정확한 자세를 취하지 못하면 평가 종료
부상자 운반
  • 60kg 더미 인형을 어깨 위로 짊어지고 20m 이동
  • 더미가 바닥에 닿거나 30초 이내에 통과하지 못할 경우 과락

면접평가 (총 50점)

인성검사와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하며 면접 평가 항목 중 한 개라도 0점을 받거나, 총점이 50점 미만이면 불합격 처리됩니다.

① 면접평가 항목 및 배점 (총 100점)

평가 항목배점 (100점)평가 기준
면접 태도최대 20점복장 및 용모 단정성, 태도, 예의, 자세
표현력최대 20점질문에 대한 논리적 사고 및 언어 구사 능력
학교생활최대 20점학업 성취도, 교우 관계, 성실성, 리더십
의지 및 정신력최대 20점지원 동기, 도전 정신, 위기 상황 대처 능력
성품 및 인성최대 20점책임감, 정직성, 협동심, 조직 적응력

② 면접 진행 방식 및 평가 세부 내용

면접 방식
  • 개별 면접으로 진행
  • 면접관이 지원자의 태도, 의지, 정신력, 인성을 종합적으로 평가
면접 평가 세부 기준
  1. 면접 태도 (20점)
    • 단정한 용모 및 복장 착용
    • 면접관과의 원활한 아이 컨택 및 바른 자세 유지
    • 지원 동기 및 질문에 대한 성실한 응답
  2. 표현력 (20점)
    • 질문에 대한 논리적 사고 및 체계적인 답변 가능 여부
    • 정확한 언어 구사력 및 전달력
    • 목소리 크기 및 발음의 명확성
  3. 학교생활 (20점)
    • 성실한 학업 태도 및 기본적인 학업 성취도
    • 교우 관계 및 협동심, 단체 활동 참여 경험
    • 리더십 및 적극적인 학교생활 태도
  4. 의지 및 정신력 (20점)
    • UDT/SEAL에 지원한 이유 및 목표의 명확성
    • 힘든 상황에서의 인내력과 도전 정신
    • 위기 상황에서의 대처 능력 및 해결 방안
  5. 성품 및 인성 (20점)
    • 조직 생활에서의 협동심 및 소통 능력
    • 정직성 및 도덕성
    • 책임감 및 신뢰성

③ 면접 유의 사항

  • 면접 평가 항목 중 한 개라도 0점을 받으면 불합격
  • 면접 총점이 50점 미만일 경우 불합격
  • 면접 태도 불량(불성실한 답변, 불손한 태도 등) 시 감점 또는 불합격 처리 가능
  • 예상 질문에 대한 답변을 미리 준비하여 논리적으로 답변하는 것이 중요

특전사 의무복무기간 및 복무환경

의무복무기간

  • 특전사 복무기간은 임관 후 4년입니다. 현역부사관 및 특전사 임기제부사관의 경우는 복무기간이 연계됩니다.
  • 군 가산 복무지원금을 받는 부사관의 경우는 임관 후 5년의 복무기간이 적용됩니다.

복무환경

복무지원금 및 부사관 등 선발 관련 자료는 비공개 처리됩니다.

특전사 지원일정 및 문의

1. 2025년 지원 일정

구분일정 (2025년 기준)비고
지원서 접수 기간2025년 1월 1일 ~ 1월 31일병무청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접수
1차 합격자 발표2025년 2월 10일서류 및 기본 자격 심사 결과 발표
특수신체검사 및 체력평가2025년 2월 20일 ~ 2월 25일UDT/SEAL 체력·수영 평가 포함
면접 평가2025년 3월 5일 ~ 3월 7일면접장소 및 세부 일정 개별 안내
최종 합격자 발표2025년 3월 15일병무청 및 해군 특수전여단 홈페이지 공지
입영 예정일2025년 4월 중순특수전 교육훈련 시작

※ 위 일정은 해군 특수전여단 및 병무청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정확한 일정은 병무청 홈페이지 “이달의 모집계획” 확인 필수

2. 문의사항 및 지원 방법

구분연락처 및 지원 방법
병무청 지원 관련 문의병무청 홈페이지 (https://www.mma.go.kr/)
병무민원포털 → 군지원 → 모집 안내
해군 특수전여단 문의055-907-4107 (해군 특수전여단)
지원서 접수 방법병무청 홈페이지 → 병무민원포털 → 군지원 → 지원서 작성 및 수정/취소
최종 합격 후 입영 관련 문의지방 병무청 또는 해군 인사 담당 부서

참고 : 2023년 군인월급 – 병장 상병 일병 이병

국가유공자 혜택 – 가산점 및 가족 자녀 군대면제 장애인

더 자세한 사항은 특전사 지원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거나 문의처로 연락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특전사(특수전사령부) 월급, 연봉 및 복지·수당 정리 (2025년 기준)

1. 특전사 월급 및 연봉 (2025년 기준)

계급월급 (원)연봉 (원)비고
이병1,100,000약 13,200,000입대 후 3개월간
일병1,200,000약 14,400,000입대 3개월 후 진급
상병1,300,000약 15,600,000입대 9개월 후 진급
병장1,500,000약 18,000,000입대 15개월 후 진급
부사관(하사)약 2,000,000 ~ 2,500,000약 24,000,000 ~ 30,000,000직업군인 선택 시 (수당 포함)
부사관(중사 이상)약 2,800,000 ~ 3,500,000약 33,600,000 ~ 42,000,000경력 및 직책에 따라 차등

※ 상기 월급은 2025년 군인 월급 인상 기준을 반영한 예상치이며, 변동될 수 있음.
※ 부사관은 기본급 외에 다양한 수당 및 추가 혜택이 지급됨.


2. 특전사 복지 및 추가 수당

항목금액(원)비고
특수근무수당150,000 ~ 400,000임무 및 직책에 따라 차등 지급
위험근무수당100,000 ~ 250,000특수작전, 폭파, 낙하산 강하 등 수행 시 지급
공수(강하)수당100,000 ~ 200,000강하 훈련 및 공수작전 참여 시 지급
잠수수당100,000 ~ 250,000수중작전 수행 시 지급
특전사 추가 수당100,000 ~ 300,000특전사 소속 병사 및 부사관에 한해 지급
정착지원금 (전역 시)1,000,000 ~ 5,000,000복무기간에 따라 차등 지급
전역 후 취업 지원최대 5년간군무원, 방위산업체 취업 지원
숙소 및 식사 제공무료군 내 숙소 및 급식 제공
휴가 및 외박연 30~50일정기휴가 및 포상휴가 포함

※ 특수작전 수행 시 추가 인센티브포상휴가 지급 가능
※ 부사관 이상 지원 시 군인연금, 공무원 혜택, 주택 대출 지원 등 추가 혜택 제공

특전사는 우수한 자격과 열정을 가진 분들을 기다리고 있으니 지원서 접수와 평가일정을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국가를 위해 무한한 가능성과 도전을 즐길 준비가 되셨다면 지금 바로 지원해보세요!

[특전사 홈페이지 바로가기]
[특전사 지원자격 및 평가항목 전체 내용]
[문의처 및 전화번호]

특전사 모집 안내 – 추가 Q&A

특전사는 고위험 특수임무를 수행하는 만큼 훈련 중 사고 또는 작전 중 사망 시 다음과 같은 보상이 이루어집니다.

① 훈련 중 부상 및 사고 발생 시

상황보상 내용
경미한 부상군 병원 치료 제공, 치료 기간 복무 인정
중상 (수술 필요)전역 후까지 치료 지원, 장애 발생 시 보훈대상자 선정 가능
훈련 중 영구적 장애국가유공자 신청 가능, 연금 지급
정신적 충격/PTSD군 병원 및 전문 심리 상담 지원

② 작전 중 사망 시

상황보상 내용
훈련 중 사망유족연금, 군인 사망보상금 지급 (약 2억~3억 원)
작전 중 전사국가유공자로 지정, 유족에게 보상금 지급 (최대 5억 원)
순직 판정 시가족에게 국가유공자 혜택 부여 (학비 지원, 취업 지원 등)

특전사 부사관 이상은 전사·순직 시 국립묘지 안장 가능

3. 특전사 자주 묻는 질문 (Q&A)

① 지원 관련

🔹 Q1. 특전사는 군필자만 지원할 수 있나요?

👉 아닙니다. 군 미필자도 지원 가능하며, 부사관 과정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 Q2. 특전사 지원 시 필요한 학력은?

👉 고등학교 졸업 이상이어야 하며, 중졸자는 국가기술자격증 보유 시 가능합니다.

🔹 Q3. 여군도 특전사에 지원할 수 있나요?

👉 네, 여군 특전사 모집이 매년 진행되며, 지원 기준은 남군과 동일합니다.

🔹 Q4. 군 복무 중에도 특전사 지원이 가능한가요?

👉 네, 현역 군인(일반 보병 등)도 특전사 선발에 지원 가능합니다.
👉 단, 부대장의 허가가 필요하며 지원 가능 연령이 다릅니다.

② 훈련 및 생활 관련

🔹 Q5. 특전사 훈련은 얼마나 힘든가요?

👉 특전사는 대한민국 육군에서 가장 강도 높은 훈련을 받는 부대입니다.
👉 대표적인 훈련:
공수 훈련 (낙하산 강하)
유격 훈련 (산악 훈련)
전술 훈련 (시가전, 저격, 폭파)
심해 잠수 훈련 (수중 침투 작전)

🔹 Q6. 특전사 생활 중 외박이나 휴가는 가능한가요?

👉 일반 육군 병사와 동일하게 정기 휴가(연 30일 이상) 및 포상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특전사 작전 수행 시 추가 포상휴가 지급 가능

🔹 Q7. 특전사는 일반 병사보다 월급이 더 많은가요?

👉 네, 특전병 및 특전부사관은 추가 수당이 지급되므로 일반 육군보다 월급이 많습니다.
👉 공수(강하)수당, 특수근무수당, 위험근무수당 등이 추가 지급됩니다.

③ 전역 후 진로 관련

🔹 Q8. 특전사를 전역하면 어떤 직업을 가질 수 있나요?

👉 전역 후 군무원, 경찰특공대, 소방특수구조대, 경호원, 국정원 요원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 Q9. 특전사 출신은 경찰특공대(SSAT)나 UDT로 전환 가능하나요?

👉 네, 특전사 출신은 전역 후 경찰특공대(SSAT), 해군 UDT, 해양경찰특공대 등으로 전환 지원이 가능합니다.

🔹 Q10. 전역 후 국가유공자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 전투·훈련 중 부상을 입으면 국가유공자 신청 가능, 군 가산점 및 학비 지원 혜택이 주어집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