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원드라이브 프로그램은 마이크소프트의 OS(운영체제)프로그램인 윈도우를 설치하게 되면 자동으로 설치가 되는 오피스 프로그램으로 원드라이브 삭제 방법을 알아보겠으며 별도의 모바일데이터를 사용하는 랩탑 태블릿 노브툭을 사용하는 경우 동기화를 해제하거나 사진 화면캡쳐시 저장되는 것을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원드라이브 삭제
- 원드라이브 자동 동기화 해제
- 원드라이브 화면캡쳐 자동저장 끄기
마이크로소프트 원드라이브 장점
노랗 목차
MS 회사 프로그램으로서 MS Office를 설치시 자동으로 설치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자사 프로그램을 활용하게 끔 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다양한 제품군이 자동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윈도우를 사용하면서 같이 원드라이브 자동 동기화 기능을 통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최신 데이터로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ONE Drive는 파일이나 사진을 저장하고 언제 어디서나 모든 장치에서 엑세스 할수 있는 매우 편리한 프로그램 입니만 사용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그저 짐 일수 밖에 없는 프로그램이기도 합니다.
원드라이브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처음에는 해당 아이콘이 조금씩 거슬리기 시작하다가 프린트 스크린을 찍게 되면 내가 원치 않는 알람창이 뜬다거나 귀찮아서 아무거나 누르다 보면 그 후 부턴 프린트 스크린 버튼만 누르면 자동으로 이미지가 저장이 되기 때문에 잘 사용하면 좋지만 이러한 자동저장 및 동기화가 싫다면 원드라이브 삭제해서 기능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당연히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윈도우 사용자간의 원할한 자료공유를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이지만 일반인들에겐 이마져도 문제가 되는 부분이 많아 윈도우10 OS에서는 자체적으로 원드라이브 삭제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8이나 윈도우 8.1 사용자분들은 삭제부분이 보이지 않아 눈에 거슬리는 분들이 계실텐데요 간단하게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OneDrive 원드라이브 동기화 해제
컴퓨터에 OneDrive가 설치되어 있고 사용 중 모바일데이터로 연결되는 설정에서 동기화 및 네트워크 업로드 다운로드 제한해 동기화 설정이 가능합니다.

작업표시줄 OneDrive 아이콘을 선택해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설정이서 컴퓨터 부팅 시 자동으로 온드라이브가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자동실행이 되지 않으면 파일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하더라도 동기화가 되지 않습니다.
태블릿 PC나 노트북등 해외로밍이나 모바일데이터로 사용 중이라면 하단의 이 장치가 데이터 통신 연결 네트워크 사용할 때 자동으로 동기화 일시중지되도록 설정 할 수 있습니다.
무료 와이파이이나 유선 인터넷이 아닌 데이터쉐어링과 같은 유심 인터넷 연결 중이라면 동기화가 해제됩니다.
업로드 및 다운로드에서는 원하는 속도를 제한 해 데이터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사진 및 동영상 화면캡쳐 자동저장 해제

원드라이브가 설치된 상태에서 스크린캡쳐 “화면캡쳐“를 사용 시 자동으로 사진 및 동영상 폴더에 저장되는게 싫은 분들은 백업에서 사진 및 동영상 스크린샷 체크해제합니다.
온드라이브 동기화 강제중지

- 원드라이브 동기화 설정이 되어 있으면 늘 최신의 정보를 업데이트 되며 온드라이브 삭제시 동기화가 자동으로 해제됩니다.
- 내컴퓨터에서 실행 시 좌측에 보이는 보입니다
- 이 기능을 이용하면 메일첨부파일 및 문서,바탕화면,사진등을 실시간으로 바로 백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하지만 용량이 적은 SSD를 사용하는 유저라면 이러한 백업 공유로 사용되는 용량이 아까울수 있습니다.
- 대략적으로 원드라이브에 포함된 용량은 100메가 정도로서 삭제한다면 100메가 정도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SSD는 기본적으로 빠른속도와 달리 대 용량은 비용이 많이 오르기 때문에 SSD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은 제한할 수 밖에없는 현실입니다.

- 키보드로 윈도우 버튼을 눌러 실행을 선택합니다.
- 실행창에 gpedit.msc 라고 입력 후 확인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가 실행되며 관리 탬플릿에서 One Drive를 선택합니다.
이 항목중에서” OneDrive를 파일 저장소로 사용금지“를 선택합니다.

파일 저장시 사용하는것을 방지하는것이기 때문에 사용으로 하는것이 방지하는것이기에 사용으로 눌러줍니다.
그러면 더 이상 프린트 스크린 “화면캡쳐 자동저장“을 눌러도 원드라이브가 활성화 되는것을 막을 수 있으며 그 외에 다른 기능들도 기능을 제어할수가 있으며 윈도우10의 경우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
윈도우10 원드라이브 삭제

- 윈도우키를 눌러 프로그램 추가 / 제거를 검색하여 들어갑니다.
- 그리고 앱 및 기능에서 잘 찾아보시면 Microsoft One Drive 찾을 원드라이브 삭제가 가능합니다.
- 제거버튼을 눌러주면 완전히 삭제 후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 그리고 윈도우10을 설치 후 용량 때문에 걱정인 분들은 윈도우10 최적화 컴퓨터 용량정리 방법 참고하세요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