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인터넷 연결 와이파이 설정 및 랜카드 설치방법

노트북을 사용하다 보면 갑자기 와이파이가 연결되지 않거나 유선 인터넷이 작동하지 않는 상황을 겪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랜카드 드라이버가 누락되었거나 공유기 설정 문제,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설정이 초기화되는 경우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최근 출시된 노트북은 대부분 자동으로 드라이버를 인식하지만, 구형 제품이거나 초기 설치 상태인 프리도스(FreeDOS) 노트북에서는 직접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브랜드별 공식 랜카드 드라이버 다운로드 링크와 설치 방법, 그리고 연결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팁들을 함께 알아봅니다.

오류 메시지 또는 증상 원인 해결 방법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무선랜 드라이버 오류 또는 비활성화 장치 관리자에서 무선랜 사용 확인 및 드라이버 재설치
무선 네트워크 아이콘이 사라짐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 오류 장치 관리자 드라이버 제거 후 재부팅 및 3DP Net 재설치
3DP Net 설치했는데도 인터넷 안됨 잘못된 드라이버 설치 또는 비호환 제조사 공식 드라이버 설치로 교체
네트워크 어댑터가 장치 관리자에 없음 BIOS 비활성화 / 드라이버 삭제됨 BIOS 초기화 후 무선 기능 활성화 확인
Wi-Fi가 꺼짐 / 비행기 모드 자동 실행 단축키 설정 오류 또는 설정 자동 변경 FN+F키 조합으로 비행기 모드 해제
IP 충돌로 인해 인터넷이 끊김 고정 IP 설정 또는 DHCP 문제 IP 자동 설정으로 변경 / 공유기 재부팅
Realtek 드라이버 설치 실패 운영체제와 드라이버 버전 불일치 공식 최신 드라이버로 수동 설치
공유기 연결은 되지만 인터넷 안됨 공유기 DNS 오류 또는 외부 회선 문제 공유기 DNS 수동 변경 (1.1.1.1 / 8.8.8.8 등)
DNS 서버 주소를 찾을 수 없음 수동 DNS 설정 오류 DNS 자동으로 받기 설정 변경
Wi-Fi 연결됨 / 인터넷 없음 라우터 문제 또는 네트워크 설정 오류 공유기 재부팅, 무선 연결 해제 후 재접속

3DP Net과 같은 오프라인 설치 도구부터, BIOS 무선랜 활성화 확인법, 공유기 설정까지 다양한 해결법을 통해 노트북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문제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노트북 인터넷 무선 와이파이 활성화 체크항목

노트북 와이파이 기능 켜기
노트북 와이파이 기능 켜기 단축키 : FN + F6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1. 모든 네트워크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2. 비행기 모드가 켜져 있는지 확인하세요
  3. 무선 스위치가 켜져 있는지 확인하세요
  4. 모바일 광대역에 연결할 수 있는지 확인하세요
  5. 라우터를 다시 확인하세요

우선 노트북에 설치된 윈도우 운영체제가 실수로 비행기모드등이 실행되어 인터넷 와이파이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단축키 : FN + F6 (와이파이 마크)를 클릭하면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Wireless On / Off) 실행 및 비활성화됩니다.

인터넷 네트워크 기능 체크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로 들어갑니다.

노트북 인터넷 연결 와이파이 설정 및 랜카드 설치방법 2

로컬 영역 연결 -> 속성으로 들어가 네트워킹 에 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을 제거 및 설치를 진행합니다.

이후 랜카드가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무선 유선 랜카드 설치 확인

컴퓨터에 따라 이미 메인보드에 랜카드가 내장돼 있을 수 있습니다. 데스크탑이라면 유선 랜 포트가 있는지 확인하고, 노트북이라면 보통 무선랜카드가 기본 탑재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고장이나 성능 개선을 위해 별도 랜카드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랜카드 종류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유선 랜카드 (Ethernet)
  2. 무선 랜카드 (Wi-Fi / Bluetooth 포함)

랜카드가 USB 타입인지 PCIe 타입인지에 따라 설치 방법이 달라지니, 구입 전 사용 환경에 맞는 형태인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노트북 인터넷 연결 와이파이 설정 및 랜카드 설치방법 3

시작 -> 장치관리자 -> 네트워크 어댑터를 선택했을때 랜카드가 인식되는지 확인합니다.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을 펼치면 설치된 랜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느낌표(⚠️)가 표시되어 있다면 드라이버가 없거나 충돌이 있다는 뜻입니다.

리얼택 무선 랜카드 사용안함
리얼택 무선 랜카드 사용안함

정상적으로 네트워크 인터넷 랜카드가 정상적으로 컴퓨터에 장착되어 인식되고 있다면 랜카드 속성으로 들어가 현재 이 장치가 올바르게 작동하고 있습니다. 작동하고 있느지 확인합니다.

마우스 우클릭을 했을때 사용안함이 뜬다는 것은 현재 랜카드가 정상적으로 사용중임을 뜻합니다.

노트북 인터넷 와이파이 연결안됨
노트북 인터넷 와이파이 연결안됨

잠시 랜카드를 사용중지 다시 랜카드를 사용해서 인터넷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메뉴로 가서 연결 상태를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유선은 케이블이 연결돼 있어야 자동으로 연결되고, 무선은 와이파이를 선택해서 비밀번호 입력 후 접속하면 됩니다.

이후에도 노트북 와이파이유선인터넷이 안된다면 랜카드 드라이브를 최신으로 설치하기 위해 3DP NET을 설치합니다.

설치 후 인터넷 연결이 안 될 때 확인할 점

  • 랜 케이블 불량 여부 확인
  • 공유기 문제 여부 확인
  • IP 주소 자동 설정이 되어 있는지 확인 (고정 IP 설정 문제 등)
  • 윈도우 네트워크 문제 해결 도구 사용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상태 > 네트워크 문제 해결사 실행을 이용하면 자동 진단 및 간단한 복구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노트북 인터넷 랜카드 설치 3DP NET

3dp net 네이버에서 무료 다운로드 가능
3dp net 네이버에서 무료 다운로드 가능

네이버나 다음등에서 무료러 설치가 가능한 3DP NET은 용량이 100MB정도 차지합니다.

핸드폰 LTE로 데이터를 다운로드시 요금이 많이 과금될 수 있으니 데이터양을 체크하시고 다운로드 후 핸드폰을 컴퓨터에 연결해서 해당파일을 복사합니다.

3dp net 와이파이 및 랜카드 드라이브 설치
3dp net 와이파이 및 랜카드 드라이브 설치

현재 재 상태를 보면 Realtek RTL811DL 모델에 대해 노란색 황달이 뜬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참고 : 노트북 무선 랜카드 설치 와이파이 아이콘 안보임 해결

이는 랜카드에 현재 문제가 있다는 뜻으로 클릭해서 랜카드를 새로 설치해줍니다.

그럼 기존에 노트북에서 와이파이 기능이 사라졌거나 인터넷이 되지 않았던분들은 정상적으로 활성화된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노트북 및 컴퓨터의 와이파이 인터넷 연결 안되는 문제 해결방법이였으며 이후에도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사용중인 공유기 초기화 하거나 재부팅,재설정 해보시길 권장합니다.

FAQ

노트북 와이파이 아이콘이 아예 보이지 않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작업 표시줄에서 와이파이 아이콘이 보이지 않는 경우, ‘작업 표시줄 설정’에서 시스템 아이콘을 켜거나 Windows + I → 개인 설정 → 작업 표시줄 → 알림 영역에서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또한 무선 랜카드가 비활성화되어 있으면 장치 관리자에서 다시 활성화해야 합니다.

3DP Net 없이도 랜카드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브랜드 (한글) 공식 드라이버 링크 설치 안내
ASUS (에이수스) ASUS 공식 지원 모델명 검색 후 LAN 드라이버 선택
HP (휴렛팩커드) HP 공식 지원 일련번호 또는 모델명으로 검색
Lenovo (레노버) Lenovo 공식 지원 모델명 검색 또는 자동 감지 설치
Dell (델) Dell 공식 지원 서비스 태그 또는 제품명 입력
Acer (에이서) Acer 공식 지원 시리즈 및 모델 선택 후 다운로드
MSI (엠에스아이) MSI 공식 지원 카테고리 → 모델 선택 후 설치
Samsung (삼성전자) 삼성 공식 지원 모델명 입력 후 네트워크 드라이버
LG전자 (LG) LG전자 공식 지원 제품명 검색 후 유선/무선 드라이버

드라이버 CD나 제조사 공식 홈페이지(예: Dell, HP, ASUS 등)에서 노트북 모델명을 검색한 후 수동으로 최신 LAN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USB로 복사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노트북 모델명을 정확히 모르는데 드라이버는 어떻게 찾나요?

윈도우에서 시작 > 실행 (Win + R)을 눌러 msinfo32 입력하면 시스템 정보 창이 열립니다.

여기서 ‘시스템 모델’을 확인해 해당 브랜드 공식 사이트에서 검색하면 드라이버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와이파이는 되는데 유선 인터넷만 안 될 경우 원인은?

이 경우는 LAN 케이블 단선, 포트 불량, 또는 유선 랜카드 자체가 비활성화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이 장치가 정상 작동 중입니다” 문구를 확인하고, 다른 포트나 케이블로 교체해보세요.

IP 충돌이 일어나면 인터넷이 끊기나요?

네, 동일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IP가 두 개 이상 할당되면 충돌이 발생해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끊길 수 있습니다.

cmd에서 ipconfig /releaseipconfig /renew를 입력하거나, 공유기 설정에서 DHCP 자동할당을 재설정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공유기 설정 화면(ipTIME 등)에 접속이 안 될 때는?

브라우저에 192.168.0.1 또는 192.168.1.1 입력 시 접속되지 않는다면,

  • 컴퓨터가 해당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 공유기의 IP가 변경되었거나
  • 방화벽/보안 설정이 차단 중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cmd 창에서 ipconfig 입력 후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찾아 그 주소로 접속하면 됩니다.

노트북에서 비행기 모드를 해제했는데도 와이파이가 안 될 때는?

비행기 모드를 해제했더라도 무선 서비스가 강제로 꺼져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서비스 관리자(services.msc)에서 “WLAN AutoConfig” 서비스가 실행 중인지 확인하고, 꺼져 있다면 시작(자동)으로 변경하세요.

컴퓨터를 초기화한 이후 와이파이 연결이 안 될 경우는?

운영체제를 재설치하거나 초기화하면 대부분 기본 드라이버가 누락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네트워크 어댑터가 장치 관리자에 표시되지 않거나 느낌표가 있는지 확인하고, 3DP Net이나 제조사 드라이버를 재설치해주어야 합니다.

와이파이 연결은 되어 있는데 인터넷이 안 되는 경우는?

이는 DNS 문제일 수 있습니다. DNS 설정을 수동으로 변경해보세요.

제어판 → 네트워크 연결 → Wi-Fi 속성 → IPv4 → DNS 서버에 8.8.8.8, 8.8.4.4 입력 후 저장하고 다시 연결 시도합니다.

와이파이 신호는 뜨는데 연결 불가일 때 해결법은?

라우터가 과부하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유기를 재부팅하거나, 특정 MAC 주소만 허용하는 보안 필터가 걸려 있는지 관리자 페이지에서 확인해보세요. WPA2 비밀번호가 변경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핫스팟은 되는데 와이파이는 연결이 안 되는 이유는?

핫스팟은 USB 또는 블루투스를 통한 직접 연결이므로, 무선 랜카드 문제가 있어도 동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트북 무선 랜카드가 물리적으로 고장 났거나, 드라이버가 손상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