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놀로지 나스 SSH 관리자 접속 활성화 방법 – 원격 및 초기화 각종 설정 Tip

노랗 목차 보이기

시놀로지 나스 DSM SSH 란?

시놀로지 NAS는 단순한 저장 장치를 넘어 다양한 서버 기능을 갖춘 강력한 개인용 네트워크 스토리지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DSM(DiskStation Manager)은 시놀로지 나스를 운영하는 핵심 시스템으로, 리눅스를 기반으로 한 웹 운영체제이며 웹 브라우저만으로도 손쉽게 설정과 관리를 할 수 있어 많은 사용자들에게 높은 만족도를 주고 있습니다.

모델명DSM 버전 지원SSH 기본 활성화 위치기본 계정명초기 접속 경로특이사항
DS220+DSM 6.2 / 7.x 이상제어판 → 터미널 및 SNMPadmin/rootssh admin@NAS_IPadmin 계정 비활성화 주의
DS920+DSM 6.2 / 7.x 이상제어판 → 터미널 및 SNMProotssh root@NAS_IPsudo 없이 root 접속 가능
DS218playDSM 6.x 이상제어판 → 터미널 및 SNMPadminssh admin@NAS_IP사양상 SSH 작업 제한 있음
DS1522+DSM 7.x 전용제어판 → 터미널 및 SNMP사용자 지정ssh 사용자명@NAS_IP관리자 그룹 권한 필요
DS720+DSM 6.2 / 7.x 이상제어판 → 터미널 및 SNMProot/adminssh root@NAS_IPsudo 사용 추천
DS218jDSM 6.x / 7.x 가능제어판 → 터미널 및 SNMPadminssh admin@NAS_IPRAM 부족 시 SSH 작업 제한
DS423+DSM 7.2 이상제어판 → 터미널 및 SNMP사용자 지정ssh 사용자명@NAS_IP기본 admin 계정 없음
DS1819+DSM 6.2 / 7.x 이상제어판 → 터미널 및 SNMPadmin/rootssh admin@NAS_IP엔터프라이즈 백업 작업 많음
DS1019+DSM 6.2 / 7.x 이상제어판 → 터미널 및 SNMPadmin/rootssh root@NAS_IP고급 사용자 작업에 적합
DS920+ (2023)DSM 7.x 최신제어판 → 터미널 및 SNMP사용자 지정ssh 사용자명@NAS_IPSSH Key 기반 로그인 가능

그중 SSH(Secure Shell)는 시놀로지 NAS에 원격으로 접속해 텍스트 기반의 명령어로 세밀한 제어와 고급 작업을 가능하게 해주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DSM 최신 버전(2025년 기준 DSM 7.2.x)에서도 여전히 OpenSSH 기반으로 안정적인 SSH 접속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터미널에서 직접 서버를 다룰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됩니다.

시놀로지 나스에서 SSH 접속을 활성화하고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기본부터 차근차근 정리해보려 합니다.

DSM 제어판에서 SSH 기능을 활성화하는 과정, 접속 시 주의할 보안 설정, 그리고 실제 터미널을 통해 어떻게 로그인하고 사용하는지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시놀로지 나스 관리자 설정페이지 접속

Administrator 접속을 위해서 나스 관리자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우선 나스 주소로 접속 로그인합니다.

시놀로지 나스 휴지통 비우기 2
시놀로지 나스 서버 제어판

시놀로지 나스 설정의 제어판으로 들어갑니다.

나스 SSH 관리자 활성화 방법

나스 SSH 관리자 접속
나스 SSH 관리자접속
  1. 제어판 목록중 터미널 및 SNMP 로 들어갑니다.
  2. 터미널 목록 중 Tenlent 서비스 활성화SSH 서비스 활성화 두개 모두 체크합니다.

이후 puTTY 실행합니다.

Host Name (IP 주소)를 입력해서 접속합니다.

IP 충돌 일어나는 컴퓨터 확인방법  윈도우 명령어 nbtstat

시놀로지 나스 SSH 관리자 접속방법 2
  • login as: admin (아이디 입력)
  • password : (패스워드 입력)
  • admin@ds716II: ~$ sudo -i 입력
  • password : (관리자 패스워드 입력)
  • root@DS716II: -#

이후 DSM에서 작업이 가능합니다.

FAQ

SSH를 통해 접속한 후 어떤 작업이 가능한가요?

SSH로 접속하면 DSM UI에서 제공하지 않는 저수준 시스템 설정이나 파일 권한 변경, 백업 스크립트 작성, 패키지 수동 설치 등 고급 작업이 가능합니다.

기능 구분설명권장 사용자 수준활용 예시
시스템 내부 파일 접근웹 UI에서 접근 불가능한 디렉터리나 시스템 파일 확인 및 수정중급 이상/etc, /var, /volume1/@appstore 등 접근
사용자 계정 및 권한 설정CLI 기반으로 사용자 추가, 그룹 설정, sudo 권한 변경 등고급adduser, usermod, chmod, chown 사용
자동화 스크립트 실행백업, 로그 정리, 앱 모니터링 등 자동화된 작업을 Bash 스크립트로 설정 가능중급 이상crontab 등록, .sh 파일 실행 등
패키지 수동 설치 및 수정DSM 패키지 외 타사 앱 설치, 수정 패치 적용 등고급ipkg, dpkg, synopkg 명령어 활용
외부 서버와의 연동SCP, Rsync 등을 이용한 외부 서버와의 파일 교환 및 동기화 가능중급 이상원격 백업, Git 서버와 연동 등
시스템 로그 분석DSM UI에서 볼 수 없는 상세 로그 직접 확인 가능중급 이상/var/log/auth.log, /var/log/messages 등 분석
포트 변경 및 보안 설정SSH 기본 포트 변경, 공개키 인증 설정 등 보안 강화 작업 가능중급/etc/ssh/sshd_config 수정, UFW 설정 등
패키지 프로세스 제어실행 중인 패키지 확인, 수동 종료 또는 재시작 가능고급ps, kill, synoservice 명령 사용
네트워크 진단 도구ping, netstat, traceroute, nslookup 등 사용 가능초급~중급네트워크 문제 원인 추적
NAS 복구 및 문제 해결UI 접근 불가 시 CLI로 설정 수정 또는 복구 시도 가능고급SSH 통한 수동 백업, 설정 초기화 등

단, 잘못된 명령 실행 시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보안을 위해 SSH 접속 시 꼭 해야 할 설정은 무엇인가요?

보안 강화를 위해 root 계정 직접 로그인을 비활성화하고, 포트 변경(기본 22번 → 다른 포트), 방화벽 설정, 그리고 공개키 인증 방식(loginkey)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정 항목설정 위치 (DSM 7.x 기준)권장 설정값 / 설명중요도
SSH 기능 활성화제어판 → 터미널 및 SNMPSSH 서비스 활성화 체크★★★★★
기본 포트 변경/etc/ssh/sshd_config (SSH 접속 필요)기본 포트 22 → 예: 2222, 22022 등 임의 포트로 변경★★★★☆
관리자 계정 설정제어판 → 사용자 및 그룹root 계정 사용 최소화, 필요시 sudo 권한 계정 생성★★★★★
공개키 인증 사용 설정사용자 홈디렉토리 내 ~/.ssh/authorized_keys 등록패스워드 로그인 대신 SSH 키 기반 인증 사용 권장★★★★★
방화벽 설정제어판 → 보안 → 방화벽SSH 포트만 열고 나머지는 차단 or 허용 IP만 설정★★★★☆
포트 포워딩 확인공유기 설정 페이지외부 접속 필요 시 변경된 SSH 포트로 포워딩 설정★★★★☆
SSH 로그인 로그 확인/var/log/auth.log 또는 DSM 로그 센터주기적으로 로그인 기록 확인하여 보안 위협 감지★★★☆☆
루트 로그인 차단/etc/ssh/sshd_configPermitRootLogin no 설정 (sudo 계정만 사용)★★★★★
자동화 작업 계정 분리 사용사용자 및 그룹 설정자동화 스크립트나 백업용 계정은 일반 계정으로 생성해 관리 분리★★★☆☆
DSM 자동 업데이트 후 확인제어판 → 업데이트 및 복원DSM 업데이트 후 SSH 설정이 초기화될 수 있으므로 재확인 필수★★★★☆

특히 외부 네트워크에서 접속할 경우 반드시 VPN과 함께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SSH 접속이 되지 않을 때 어떤 부분을 확인해야 하나요?

SSH 접속 오류가 발생할 경우 우선 DSM 제어판의 ‘터미널 및 SNMP’에서 SSH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방화벽 정책이나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이 올바른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연결 시도한 IP가 나스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는지도 중요합니다.

시놀로지 NAS의 SSH 로그 파일은 어디에 저장되나요?

접속 기록을 포함한 SSH 로그는 보통 /var/log/auth.log에 저장됩니다.

해당 파일을 통해 누가, 언제, 어떤 IP로 접속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보안 감시를 위해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SSH로 나스에 접속 시 사용 가능한 명령어 예시는 무엇이 있나요?

기본적인 리눅스 명령어는 대부분 사용 가능합니다.

명령어용도 / 설명예시 또는 참고사항권한 필요
ls, ls -al디렉토리 내 파일 목록 확인ls -al /volume1일반
cd디렉토리 이동cd /volume1/homes일반
cp, mv, rm파일 복사, 이동, 삭제rm -rf /volume1/temp일반~sudo
df -h디스크 사용량 확인용량 부족 문제 진단에 활용일반
du -sh특정 폴더의 전체 용량 확인du -sh /volume1/photo일반
top, htop실시간 리소스 사용량 확인htop은 별도 설치 필요일반
ps -aux, kill PID실행 중인 프로세스 확인 및 강제 종료kill 12345sudo
chmod, chown파일/디렉토리 권한 및 소유자 변경chmod 755, chown admin:userssudo
nano, vi파일 내용 편집vi /etc/ssh/sshd_configsudo
sudo -i루트 권한으로 전환관리자 명령 실행 시 필요sudo
crontab -e자동 실행 스케줄 설정백업 자동화, 로그 정리 등일반~sudo
scpNAS와 외부 서버 간 파일 전송 (보안 복사)scp file.txt user@ip:/folder일반
rsync폴더 동기화 및 백업rsync -av /data /backup일반~sudo
netstat -an열려 있는 포트 및 연결 상태 확인SSH 연결 문제 진단일반
iptables, ufw방화벽 설정 (DSM에서 직접 관리하는 경우는 사용 금지)SSH 접근 IP 제한 설정sudo
logread, cat /var/log/...시스템 로그 확인cat /var/log/auth.log일반~sudo
synoservice시놀로지 패키지 서비스 시작/중지/재시작synoservice --restart pkgctl-SynoFindersudo
synouser사용자 관리용 시놀로지 자체 명령어synouser --add, --del, --setpwsudo

예를 들어 cd, ls, mv, rm, chmod, chown, scp, rsync 등을 활용해 파일 이동이나 권한 설정, 외부 서버와의 동기화 작업 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참고 팁

  • 루트 권한이 필요한 명령어는 sudo를 앞에 붙이거나 sudo -i로 먼저 루트 전환 후 실행합니다.
  • DSM은 일반 리눅스와 달리 시놀로지 특화 명령어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synoservice, synouser 등).
  • vi, nano 등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할 땐 SSH 환경에 익숙하지 않으면 백업 후 수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DSM 업데이트 시 SSH 설정이 초기화되나요?

DSM 주요 업데이트(특히 메이저 버전 업데이트) 시 SSH 설정이 초기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초기화 방식설명데이터 영향적용 상황 예시
1단계 초기화 (Reset 버튼 4초)관리자 로그인 정보만 초기화 (계정/비밀번호 재설정)❌ 데이터 유지비밀번호 분실, QuickConnect 오류 등
2단계 초기화 (Reset 버튼 10초)모든 설정값 초기화 + 패키지 제거 (공장 초기화, 데이터는 유지됨)⭕ 설정만 삭제시스템 오류, 네트워크 설정 복구 필요 시
3단계 초기화 (스토리지 매니저 초기화)DSM + 저장소 완전 삭제 (볼륨, 데이터 포함 전부 삭제)⛔ 모든 데이터 삭제NAS 완전 초기화, 중고 판매, 재설치 전

나스 업데이트 후 반드시 SSH 설정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DSM에서 SSH 접속 기록을 웹UI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DSM 시스템 로그 센터를 통해 SSH 접속 및 로그인 실패 기록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상세 로그는 SSH 접속 후 리눅스 명령어로 접근해야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외부에서 SSH 접속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외부 네트워크에서 접속하려면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이 필요하며, 외부 IP 또는 DDNS 주소를 통해 접속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반드시 강력한 패스워드, 포트 변경, VPN 사용 등 보안 설정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비밀번호 입력 없이 SSH 접속이 가능한가요?

네, 가능하며 이를 위해 공개키 기반 인증(Public Key Authentication)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로컬에서 생성한 SSH 키를 시놀로지의 ~/.ssh/authorized_keys 파일에 등록하면 비밀번호 없이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SSH 외에도 나스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나요?

SSH 외에도 Synology의 QuickConnect, OpenVPN, WebDAV, Synology Drive 등 다양한 방법으로 원격 제어 및 접근이 가능합니다.

원격 제어 방식설명보안 수준설정 난이도주요 활용 목적특징 / 제한 사항
QuickConnect시놀로지 계정 연동으로 외부에서도 브라우저로 DSM 접속 가능중간매우 쉬움DSM 접속, 파일 관리, 패키지 접근포트 포워딩 불필요, 속도 느릴 수 있음
DDNS + 포트포워딩고정 도메인 주소를 통해 외부 접속,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필요중간~높음중간SSH, DSM, WebDAV 등 외부 접속 전반DDNS 설정과 공유기 포트포워딩 필요
OpenVPNVPN 서버 기능 내장, 외부에서 NAS 네트워크로 안전하게 접속 가능높음중간외부 DSM 접속, SMB/NFS, 내부 서비스 전체 이용NAS 및 클라이언트 설정 필요, 속도 영향 있음
Synology Drive전용 클라이언트로 파일 동기화 및 NAS 파일 원격 접근높음쉬움문서 작업, 버전 관리, 백업 등전용 앱 설치 필요, 포트포워딩 필요할 수 있음
WebDAV/FTP파일 전송 전용, 외부 클라이언트에서 연결 가능낮음~중간중간외부 FTP 접근, NAS 폴더 마운트보안 취약, SSL 설정 권장
SSH 원격 접속텍스트 기반 원격 제어 (CLI), 고급 설정 및 서버 제어 가능높음높음고급 사용자용 작업 (스크립트, 패키지, 복구 등)명령어 숙련도 필요, 잘못된 설정 위험 있음
모바일 앱 (DS 앱)DS File, DS Video 등 전용 앱으로 원격 파일 및 서비스 관리 가능중간~높음쉬움모바일에서 파일 조회/업로드, 스트리밍 등QuickConnect 또는 DDNS 필요

각각의 방법은 보안 수준과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놀로지 NAS SSH 및 시스템 오류 FAQ

SSH 접속 시 “Connection refused” 또는 “Connection timed out” 에러가 나요

이 에러는 대부분 SSH 서비스가 비활성화되어 있거나 포트가 열려 있지 않은 경우입니다.

제어판 → 터미널 및 SNMP → SSH 서비스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고, 방화벽 설정 또는 공유기 포트포워딩이 올바르게 되어 있는지 점검하세요.

간혹 DSM 업데이트 후 설정이 초기화되는 경우도 있으니 이 부분도 체크가 필요합니다.

“Permission denied” 에러가 발생해 접속이 안 됩니다

비밀번호 입력이 정확한데도 Permission denied가 뜬다면, 해당 계정이 SSH 접속 권한이 없거나 계정이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습니다.

DSM에서 사용자 권한 설정을 다시 확인하고, 관리자 계정 또는 sudo 권한이 부여된 계정을 사용하세요.

SSH로 접속은 되지만 sudo 명령 실행 시 오류가 납니다

sudo 명령이 동작하지 않는다면 해당 계정에 관리자 권한이 없거나 sudoers 파일 설정이 잘못되었을 수 있습니다.

관리자 권한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하거나, SSH로 sudo visudo 명령어를 통해 설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잘못 수정 시 SSH 차단 위험이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NAS가 갑자기 부팅되지 않거나 DSM이 열리지 않아요

이 경우는 하드웨어 이상, 전원 불량, DSM 시스템 파일 손상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우선 NAS를 재부팅해보되, 부팅음(BEEP)이 들리지 않거나 LED가 정상적으로 점등되지 않으면 내부 하드디스크 분리 후 단독 부팅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DSM 복구 모드(Reset 버튼 4초/10초)로 초기화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수리 예상 비용 (공식 서비스 기준)

증상원인수리비용(대략)비고
부팅 불가메인보드 고장15만 ~ 30만원모델에 따라 상이
디스크 인식 안됨SATA 포트 불량5만 ~ 10만원부품 교체 필요 시 추가
DSM 로그인 불가펌웨어 손상무상 또는 5만원 내외보증기간 여부 따라 다름
팬 소음 심함냉각팬 고장2만 ~ 5만원자가 교체 가능

SSH 접속은 되는데 내부 파일이 보이지 않아요

이 문제는 계정 권한 부족 또는 특정 볼륨 마운트 오류 때문일 수 있습니다.

ls -l /volume* 명령어로 마운트 상태를 확인하고, /etc/fstab 설정을 점검하거나 재마운트(mount -a)를 시도해보세요.

볼륨이 아예 사라졌다면 파일시스템 손상일 수 있으므로 데이터 복구 전문 프로그램이나 Synology 지원에 문의가 필요합니다.

SSH 설정 중 실수로 NAS 접속이 완전히 차단되었어요

SSH 접속 설정 중 방화벽을 잘못 건드리거나 루트 접근을 차단한 경우, 웹 UI마저 접속이 안 된다면 NAS 후면 리셋 버튼을 4초간 눌러 IP 및 관리자 패스워드 초기화를 시도하세요.

그래도 안 된다면 10초 리셋으로 완전 초기화하거나, 시놀로지 USB 설치 복구툴(지원센터에서 제공)을 이용한 수동 복구가 필요합니다.

NAS 내부 하드디스크에서 이상 소음이 들립니다

“딱딱”거리는 소음이 규칙적으로 들릴 경우, 하드디스크의 헤드 또는 모터에 물리적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큽니다.

곧바로 전원 차단 후 디스크를 분리해 복구 업체에 문의하세요. 데이터 복구 비용은 드라이브 1개 기준 20만 원~80만 원 이상까지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중백업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DSM 업데이트 이후 SSH 설정이 초기화됐어요

DSM은 주기적으로 메이저 업데이트 시 SSH, SNMP, 사용자 계정 관련 설정을 초기화하거나 기본값으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특히 DSM 7.1 이후부터는 보안 강화를 위해 일부 고급 기능의 접근 권한이 제한되어 있으니, 업데이트 후 터미널 및 SNMP 메뉴에서 SSH 설정을 재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나스 참고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