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가정과 기업에서는 하나의 공유기를 기반으로 여러 대의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해 인터넷을 사용하고, 파일이나 프린터, 라이선스 서버를 효율적으로 공유하는 환경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윈도우10 운영체제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 공유 기능이 기본적으로 제공되며, 사내망이나 홈네트워크에서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어 실무와 일상 모두에서 널리 활용됩니다.
하지만 공유 네트워크가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거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IP 주소 확인, 핑(PING) 명령어를 통한 연결 점검, 그리고 CMD를 활용한 네트워크 정보 분석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점검 과정을 통해 단순한 파일 공유 문제부터 방화벽 또는 설정 오류까지 빠르게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럼 윈도우10 환경을 기준으로 IP 주소 확인 방법,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결 확인, 컴퓨터 간 통신 상태를 점검하는 구체적인 절차를 소개합니다. 네트워크 공유 설정 전 필수로 점검해야 할 내용이니 실무, 가정 어느 곳에서도 적용 가능한 내용으로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윈도우10 네트워크 연결 장점
하나의 인터넷 공유기를 통해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컴퓨터 간에 데이터 공유 폴더를 설정하거나 프린터,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등 다양한 네트워크 활용이 가능합니다.
- 인터넷 공유기 하나로 다수의 컴퓨터에 인터넷 연결
- 컴퓨터와 컴퓨터끼리 데이터 공유폴더 사용
- 프린터나 프로그램 라이센스를 공용으로 사용가능
이처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사내 네트워크 환경은 효율적이지만, 때때로 공유 연결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연결 상태가 불확실할 때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상대방 컴퓨터의 IP 주소를 확인하고, 해당 주소로 데이터 패킷이 제대로 전송되고 응답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네트워크 공유 상태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먼저 상대방 컴퓨터의 IP 주소를 어떻게 확인하는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10 네트워크 IP주소 확인
본 포스팅은 윈도우10 운영체제 기준으로 진행되지만 윈도우8이나 윈도우7등 모두 동일합니다.
IP주소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CMD를 실행합니다.
CMD는 일부 윈도우에서는 “명령 프롬프트“라고도 표시됩니다.
그럼 작은 MS-DOS창이 실행됩니다.
이후 IPCONFIG 라고 입력합니다.
명령어 | 설명 | 사용 예시 | 주요 활용 목적 |
---|---|---|---|
ipconfig | 기본 IP 정보 조회 (IPv4, 게이트웨이 등) | ipconfig | 내 컴퓨터의 IP 주소 확인 |
ipconfig /all | MAC 주소, DNS, DHCP 등 모든 네트워크 정보 조회 | ipconfig /all | 물리 주소(MAC), DNS 설정까지 확인 |
ping [IP주소] | 대상 컴퓨터와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 | ping 192.168.0.12 |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
netstat -an | 현재 열려있는 포트와 연결 상태 확인 | netstat -an | 네트워크 포트 감시 및 외부 연결 점검 |
netstat -e | 네트워크 송수신 패킷 통계 확인 | netstat -e | 전송된 바이트 수, 오류 수 확인 |
net use | 현재 연결된 공유 드라이브 확인 | net use | 어떤 공유 폴더에 연결 중인지 확인 |
net share | 내 컴퓨터에서 공유 중인 폴더 목록 확인 | net share | 어떤 폴더를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지 점검 |
tracert [도메인/IP] |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경로 확인 | tracert google.com | 연결 지연/차단 구간 확인 |
nslookup [도메인] | 특정 도메인의 IP 주소 확인 (DNS 조회) | nslookup naver.com | DNS 서버 작동 여부 확인 |
Get-NetConnectionProfile | (PowerShell) 현재 네트워크의 프로필 상태 확인 | Get-NetConnectionProfile | 현재 네트워크가 공용/개인인지 확인 |
netsh wlan show interfaces | 무선 네트워크 신호 세기 및 연결 정보 확인 | netsh wlan show interfaces | 와이파이 상태 점검 |
msdt.exe /id NetworkDiagnosticsNetworkAdapter | 네트워크 어댑터 문제 해결 도구 실행 | 위 명령 그대로 실행 | 어댑터 문제 자동 진단 |
그리고 더 많은 기능을 보고 싶다면 IPCONFIG /ALL 이라고 입력합니다.
그럼 IPv4주소와 IPv6주소 그리고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서브넷 마스크 주소가 표시됩니다.
정보 항목 | 설명 |
---|---|
호스트 이름 (Host Name) | 컴퓨터의 호스트 이름을 나타냅니다. |
기본 DNS 접미사 (Primary DNS Suffix) | 컴퓨터의 기본 DNS 도메인 접미사를 나타냅니다. |
노드 유형 (Node Type) | 컴퓨터의 네트워크 노드 유형을 나타냅니다. 주로 “혼합” 또는 “하이브리드”가 사용됩니다. |
IP 라우팅 활성화 여부 (IP Routing Enabled) | IP 라우팅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
WINS 프록시 활성화 여부 (WINS Proxy Enabled) | WINS (Windows Internet Name Service) 프록시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
이더넷 어댑터 정보 (Ethernet Adapter Information) | 이더넷 어댑터(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정보를 포함합니다. |
IP 주소 (IP Address) | 컴퓨터의 IPv4 주소를 나타냅니다. |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 IPv4 서브넷 마스크를 나타냅니다. |
기본 게이트웨이 (Default Gateway) | 네트워크 트래픽을 라우팅하기 위한 기본 게이트웨이(라우터)의 주소를 나타냅니다. |
DHCP 서버 (DHCP Server) |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의 주소를 나타냅니다. |
DNS 서버 (DNS Servers) |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DNS 서버의 IP 주소를 나타냅니다. |
주요 WINS 서버 (Primary WINS Server) | 주요 WINS 서버의 IP 주소를 나타냅니다. |
보조 WINS 서버 (Secondary WINS Server) | 보조 WINS 서버의 IP 주소를 나타냅니다. |
이더넷 어댑터 상태 (Ethernet Adapter Status) | 이더넷 어댑터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
DNS Suffix 검색 목록 (DNS Suffix Search List) | DNS Suffix 검색 목록을 나타냅니다. |
보다 다양한 주소를 확인하고 싶다면 “IPCONFIG /ALL“이라고 입력합니다.
그럼 물리적주소 “MAC Address“와 DNS “도메인 이름 서버“등이 나옵니다.
이렇게 컴퓨터의 IP주소가 무엇인지 확인했다면 해당 주소가 다른 컴퓨터에 전상적으로 공유되고 있는지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기본적으로 기본게이트웨이는 공유기에서 사용되는 주소로 아이피타임공유기의 경우 “192.168.0.1“과 같이 공유기 설정 주소가 표시됩니다.
윈도우10 네트워크 공유 연결 중 인지 확인
해당 ip주소가 다른 컴퓨터로 네트워크 전송값이 전송되는지 컴퓨터 끼리 연결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핑 명령어를 사용하니다.
명령어는 “PING IP주소”입니다.
아이피주소가 123.456.7.8 라면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PING 123.456.7.8
그럼 해당 컴퓨터의 주소로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패킷을 보내고 받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서로 컴퓨터간의 공유가 제대로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화면이 표시되지 않으니 참고하세요
컴퓨터끼리 네트워크로 공유가 되어 있다면 네트워크 공유폴더를 설정해서 서로 파일 및 폴더등의 공유할 수 있습니다.
FAQ
컴퓨터끼리 네트워크 공유가 되지 않을 때 가장 먼저 확인할 설정은?
- 양쪽 PC 모두 ‘네트워크 검색’과 ‘파일 및 프린터 공유’가 활성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경로: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고급 공유 설정
→ ‘네트워크 검색 켜기’,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에 체크합니다.
네트워크가 같은 공유기인데도 핑(PING) 응답이 없을 때는?
- 상대방 PC의 방화벽이 ICMP(핑 요청)를 차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Windows Defender 방화벽 > 고급 설정 > 인바운드 규칙’에서
→ ‘파일 및 프린터 공유(에코 요청 – ICMPv4-In)’ 항목을 허용으로 설정하세요.
IP 주소가 계속 바뀌는 경우 고정 IP 설정 방법은?
- IP가 DHCP에 의해 자동으로 할당되는 경우 매번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 어댑터 설정 변경 > 로컬 영역 연결
→ 속성 > IPv4 선택 후 → 수동으로 IP,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입력
네트워크 연결은 되었지만 공유폴더가 보이지 않을 때?
- 공유된 폴더가 공유 설정은 되었지만 네트워크 위치가 ‘공용’으로 되어 있을 경우 발생합니다.
제어판 > 네트워크 상태 보기 > ‘네트워크’ 클릭 → ‘개인 네트워크’로 변경 후 재시도
네트워크 이름이 ‘네트워크 2’처럼 계속 바뀌는 이유는?
- 네트워크 어댑터가 새롭게 인식될 때마다 윈도우가 이를 새 네트워크로 간주하기 때문입니다.
→ 이 이름은 기능에 직접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고정 IP 설정 시 혼동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외에 MAC 주소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 CMD에서
ipconfig /all
입력 시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 항목이 MAC 주소입니다.
또는 ‘네트워크 어댑터 속성 > 상세 정보’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에서 상대방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뜨지 않는 경우 해결 방법은?
상대방 PC가 네트워크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 가장 흔한 원인은 ‘공유 탐색’ 설정이 꺼져 있거나, 네트워크 위치가 공용으로 되어 있어서입니다.
- 해결 방법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고급 공유 설정
→ ‘네트워크 검색 켜기’와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를 모두 활성화
→ 현재 네트워크가 **‘개인 네트워크’**로 설정돼 있는지도 확인하세요.
특정 IP로 핑은 되는데 파일 공유가 되지 않을 때?
- 윈도우 방화벽이 SMB 파일 공유 포트(445번) 또는 **NetBIOS 포트(137~139)**를 차단하고 있는 경우입니다.
- 해결 방법:
Windows Defender 고급 설정 → 인바운드 규칙
→ ‘파일 및 프린터 공유(SMB-In)’, ‘파일 및 프린터 공유(NetBIOS-In)’ 항목을 허용으로 설정
또는 명령어로 방화벽 예외 추가도 가능합니다.
netsh advfirewall firewall set rule group="파일 및 프린터 공유" new enable=Yes
현재 사용 중인 네트워크가 ‘개인’인지 ‘공용’인지 CMD로 확인하는 방법?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 명령어 입력합니다.
netsh wlan show interfaces
또는
Get-NetConnectionProfile
PowerShell에서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의 이름, 유형(공용/개인), IPv4/IPv6 정보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대방 PC가 꺼져 있어도 PING 응답이 되는 경우가 있나요?
일반적으로는 불가능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 예외적으로 반응할 수 있습니다.
- Wake-on-LAN 기능이 켜져 있을 경우
- 공유기 또는 라우터가 PING 응답을 대신 전송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 VPN 또는 포트포워딩된 장비가 해당 IP에 응답할 경우
사무실처럼 고정 IP가 필요한 경우, 수동 IP 설정 시 주의할 점은?
-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IP 주소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자가 지정한 대역 외 사용 금지
- 예: 공유기 주소가 192.168.0.1일 경우, 고정 IP는 보통 192.168.0.100~200 사이에서 사용
- DNS는 일반적으로 공유기의 주소 또는 Google DNS(8.8.8.8, 1.1.1.1)를 설정
설정 경로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 어댑터 설정 변경 > 로컬 영역 연결 > 속성 > IPv4 > 수동 입력
네트워크 트래픽 상태나 실시간 사용량을 CMD로 확인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통해 현재 네트워크 상태, 송수신 속도, 접속된 포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netstat -e
netstat -ano
또는 리소스 모니터에서 ‘네트워크’ 탭으로 실시간 송수신 트래픽 확인 가능:
Ctrl + Shift + Esc → 성능 → 리소스 모니터
공유된 폴더 경로가 기억나지 않을 때 목록을 보는 명령어는?
net share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공유 중인 폴더의 이름, 경로, 설명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현재 내 컴퓨터가 연결한 공유 드라이브는 다음 명령어로 확인:
net use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자동으로 진단해주는 명령어는?
Windows에는 기본적인 네트워크 문제를 자동으로 진단하고 고치는 명령어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msdt.exe /id NetworkDiagnosticsNetworkAdapter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네트워크 어댑터 문제 해결사’가 실행되어 드라이버 상태, 어댑터 비활성화 여부 등을 자동으로 검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