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운영체제인 “윈도우10 환경변수 설정”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가 작업을 할때 알아보기 쉽도록 환경변수라는 이름을 정해서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실행할때 이해를 쉽게 하도록 하는 설정을 합니다.
이는 윈도우뿐만 아니라 MS-Dos,MAC OSX, 리눅스등 다양한 운영체제에 모두 존재하며 그 외에도 모든 프로그램에 존재합니다.
그리고 윈도우의 환경변수를 설정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항할때 실행파일을 임의로 지정하거나
자바 위치경로 및 프로그램의 라이센스 경로를 설정을 추가하거나 삭제 변경할때에도 환경변수를 사용합니다.
- 환경변수 예 : UG NX 환경변수 설정방법 및 변수값 총정리
- 자바 설치 예 : UG NX12 JAVA 설치 및 라이센스 변경방법
본 포스팅은 윈도우10 환경변수 설정을 진행하지만 윈도우8이나 윈도우7등에서도 모두 동일합니다.
윈도우10 환경변수 설정
노랗 목차

우선 내컴퓨터를 실행합니다.
좌측에 보이는 내PC아이콘을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 “속성(R)을 선택합니다.
그럼 윈도우 운영체제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시스템종류,컴퓨터이름,윈도우 라이센스 정품인증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환경변수 설정을 위해서는 “설정변경“을 선택합니다.

시스템 속성이 실행되면 “고급“탭을 선택합니다.
- 성능 : 시각 효과 및 프로세서 일정 메모리 사용 및 가상메모리 설정
- 사용자 프로필 : 사용자 로그인에 관련된 바탕화면 설정
- 시작 및 복구 : 시스템 시작 및 오류 및 디버깅 정보 설정
환경변수를 시작합니다.
그럼 사용자 변수와 시스템 변수 두가지 변수값을 추가하거나 편집, 삭제할 수 있습니다.
환경변수 추가 및 삭제 편집방법

- 기본적으로 TEMP 임시폴더의 값이 C:Windows라는 권한이 높은 경로에 있어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 이런경우에는 편집을 통해 임시폴더의 경로를 C:\TEMP나 D:\TEMP 등으로 변경합니다.
이때 실제로도 해당경로에 동일한 폴더를 미리생성해야 하며 이러한 방법으로 NX나 CATIA, JAVA등의 환경변수 및 라이센스 계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