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환경변수 설정 및 삭제방법

이번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운영체제인 “윈도우10 환경변수 설정”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가 작업을 할때 알아보기 쉽도록 환경변수라는 이름을 정해서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실행할때 이해를 쉽게 하도록 하는 설정을 합니다.

이는 윈도우뿐만 아니라 MS-Dos,MAC OSX, 리눅스등 다양한 운영체제에 모두 존재하며 그 외에도 모든 프로그램에 존재합니다.

그리고 윈도우의 환경변수를 설정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항할때 실행파일을 임의로 지정하거나

자바 위치경로 및 프로그램의 라이센스 경로를 설정을 추가하거나 삭제 변경할때에도 환경변수를 사용합니다.

본 포스팅은 윈도우10 환경변수 설정을 진행하지만 윈도우8이나 윈도우7등에서도 모두 동일합니다.

윈도우10 환경변수 설정

윈도우10 환경변수 설정
윈도우10 환경변수 설정

우선 내컴퓨터를 실행합니다.

좌측에 보이는 내PC아이콘을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 “속성(R)을 선택합니다.

그럼 윈도우 운영체제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시스템종류,컴퓨터이름,윈도우 라이센스 정품인증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환경변수 설정을 위해서는 “설정변경“을 선택합니다.

윈도우10 사용자 변수 / 시스템 변수값
윈도우10 사용자 변수 / 시스템 변수값

시스템 속성이 실행되면 “고급“탭을 선택합니다.

환경변수를 시작합니다.

그럼 사용자 변수시스템 변수 두가지 변수값을 추가하거나 편집, 삭제할 수 있습니다.

환경변수 추가 및 삭제 편집방법

윈도우 환경변수 설정 및 삭제방법 3
  1. 기본적으로 TEMP 임시폴더의 값이 C:Windows라는 권한이 높은 경로에 있어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2. 이런경우에는 편집을 통해 임시폴더의 경로를 C:\TEMP나 D:\TEMP 등으로 변경합니다.

이때 실제로도 해당경로에 동일한 폴더를 미리생성해야 하며 이러한 방법으로 NX나 CATIA, JAVA등의 환경변수 및 라이센스 계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참고 : 윈도우10 갓모드 – 숨겨진 기능 God Mode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