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맷 없이 FAT32 에서 NTFS 변환 방법

파일 시스템에는 FAT32 와 NTFS 외에도 많은 형식이 존재하며 FAT16, FAT32, exFAT, REFS, ext2, ext3, ext4, HFS+등 매우 많은 방식이 존재하는데요 이는 컴퓨터의 운영체제나 용도에 따라 파티션 형식이 달라지며 주로 윈도우를 사용하는 우리들에게는 FAT32와 NTFS 2가지 파티션 포맷을 제일 많이 사용합니다.

참고 : 윈도우10 외장하드 USB 포맷 NTFS FAT32 변경방법

그 외에 exFATReFS도 존재합니다.

FAT32와 NTFS의 장점 및 차이점

FAT32의 경우 윈도우95시절에 처음 선보인 방식으로 File Allocation Table 32 의 약자로서 보통 용량이 작은 USB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단점으로는 4G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으며 파일의 갯수 또한 16,384개 이상을 저장할수 없지만 빠른 속도가 장점입니다.

NTFS 파티션의 경우 윈도우NT에서 처음 적용되었는데 초기에 보안 및 암호화 그리고 디스크 할당량 지정등이 가능하고 4GB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요즘같이 대용량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용량이 큰 USB 4GB 이상의 데이터를 넣을려고 할때  FAT32 방식이라 전송이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경우 포맷 기능을 이용하면 쉽게 FAST32 에서 NTFS 로 변환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포맷으로 인해 안에 있는 데이터가 삭제되는 단점이 있는데요 이번에는 포맷없이 NTFS로  변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파티션 FAT32 -> NTFS 변환방법

포맷 없이 FAT32 에서 NTFS 변환 방법

시작버튼에서 CMD를 입력해 실행해 명령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포맷 없이 FAT32 에서 NTFS 변환 방법

그리고 보는것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Convert g : / fs : ntfs

여기서 g:는 변경하고자 하는 드라이브를 말합니다.

파티션 G드라이브를 컨버팅 하는대 이때 NTFS로 변경합니다.

포맷 없이 FAT32 에서 NTFS 변환 방법

이렇게 입력후에 정상적으로 fat32 에서 ntfs로 변환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NTFS 파티션을 FAT32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반대로 입력합니다.

Convert g : / fs : fat32

파티션 변경 시 문제가 발생한다면 파티션 초기화로 파티션삭제 후 진행 해야하며 이 경우 데이터 포맷 되니 백업 후 진행 하느것을 추천하며 이후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면 정밀포맷 “로우포맷”을 통해 배드섹터와 함께 공장초기화를 진행해보느것을 추천합니다.

포맷 참고 포스팅

2 Responses

  1. 2022년 6월 2일

    […] 참고 : 포맷 없이 FAT32 에서 NTFS 변환 방법 […]

  2. 2022년 6월 28일

    […] 때문에 맥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대부분 NTFS 포맷을 위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 있는데 해당방법으로 MacOS NTFS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