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D vs SSD 성능차이와 병행 사용 시 최적 설정법
사진, 영상, 업무 자료처럼 대용량 파일을 다루는 일이 일상화되면서 기존 저장 공간만으로는 부족함을 느끼는 사용자들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4TB 이상의 고용량 하드디스크가 저렴해지면서, 데스크탑이나 외장 저장용으로 새로운 HDD를 추가하려는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드디스크를 장착한 뒤 바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들은 당황하기 쉽습니다. 이는 대부분 초기화되지 않은 새 디스크에 파티션이 설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간단한 디스크 관리 작업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워 서플라이 전력 부족, SATA 케이블 문제, BIOS 설정 누락 등으로 인해 물리적 장착은 완료했지만 시스템에서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도 종종 발생합니다.
씨게이트 바라쿠다 ST4000DM004와 같은 대용량 HDD르 예시로, 하드디스크 설치 방법부터 인식 오류 해결, GPT 파티션 설정, 속도 비교, 고장 증상 및 수리비용까지 실사용자 관점에서 하나하나 정리해보겠습니다.
처음 하드디스크를 장착하는 분부터, 성능 개선이나 교체를 고민 중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씨게이트 바라쿠라 ST4000DM004 스펙
스펙 | 세부 내용 |
---|---|
용량 | 4TB (테라바이트) |
인터페이스 | SATA 6Gb/s |
RPM (회전 속도) | 5,900 RPM |
캐시 (버퍼) 용량 | 256MB |
폼 팩터 | 3.5인치 |
전력 소비 | 작동 중: 평균 5.3W, 슬립 모드: 0.94W |
평균 읽기/쓰기 속도 | 190MB/s (메모리 버퍼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노이즈 레벨 | 작동 중: 2.8벨, 대기 중: 2.5벨 |
가격 대비 용량 | 경제적인 대용량 저장 공간 제공 |
- 대용량 저장 공간: 씨게이트 바라쿠다 ST4000DM004는 4TB의 용량을 제공하므로,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 이상적입니다. 고해상도 사진, 비디오 파일, 음악 컬렉션 및 기타 큰 파일을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 경제적 가격: 이 하드디스크는 대용량 스토리지를 저렴한 가격에 제공합니다. 4TB 용량을 가진 하드디스크 중에서도 경제적인 선택 중 하나로 고려됩니다.
- 캐시 용량: 256MB의 큰 캐시 버퍼를 갖춘 이 하드디스크는 데이터 액세스 속도를 향상시키며 빠른 파일 전송 및 로딩을 지원합니다.
- 신뢰성: 씨게이트는 오랜 역사와 높은 신뢰성으로 유명한 브랜드입니다. 이 모델 역시 신뢰성과 내구성을 고려하여 제작되었습니다.
- 에너지 효율성: 씨게이트 바라쿠다 ST4000DM004는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전력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이 하드디스크는 대용량 저장 공간과 경제적인 가격을 제공하며 높은 신뢰성을 가진 제품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선택입니다.
하드디스크 장착 및 새 하드디스크 인식 설정방법
하드디스크 장착 설치과정
제가 이번에 구입한 하드디스크는 씨게이트 바라쿠라 ST4000DM004로 2년간 보증기간을 제공합니다.
하드디스크는 기존의 케이블과 동일한 방식으로 그냥 꼽아서 연결해 주는것만으로 새 하드디스크 장착됩니다.
이때 컴퓨터 1대에 하드디스크나 SSD를 3.4개 이상 장착하느것은 추천하지 않으며 이 경우 전력손실이 크거나 발열 및 진동등이 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장착이 완료되었다면 컴퓨터 전원을 눌러 부팅을 해줍니다.
하드디스크 장착 후 인식안됨 파티션 설정
그럼 하드디스크가 정상적으로표시되지 않는것을 볼수 있는데요 그 이유는 새 하드디스크는 파티션 설정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좌측 하단의 윈도우 마크 -> 마우스 우클릭 하면 디스크 관리 선택합니다.
그럼 새 하드디스크이기 때문에 자동으로 디스크 초기화실행됩니다.
새 하드디스크를 선택 후 파티션 형식을 MBR (마스터 부트 레코드) or GPT (GUID 파티션 테이블)중 선택하라고 나오는데 GPT 로 선택 후 확인을 눌러줍니다.
파티션 활성화 인식설정 초기화
다음 디스크관리에서 할당되지 않은 하드디스크를 마우스 우클릭 후 새 단순 볼륨을 선택합니다.
마법사에 맞게 새 하드디스크의 볼륨 이름등을 설정을 해주면 아까 인식이 되지 않던 하드디스크가 활성화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4TB의 유효 용량은 3.63TB입니다.
씨게이트 바라쿠라 ST4000DM004 성능 비교
현재 장착된 하드디스크와 SSD의 읽기 및 쓰기 속도를 비교해보겠습니다.
먼저, 삼성 SSD 850 PRO는 SSD로서 매우 빠른 읽기 및 쓰기 속도를 제공합니다. SSD는 하드디스크에 비해 데이터 액세스 속도가 훨씬 빠르며, 삼성 SSD 850 PRO는 이러한 장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WDC WD10EURX와 SAMSUNG HD103SJ 모델은 오래된 하드디스크 모델이며, 7200 RPM의 회전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모델들은 현대 SSD나 최신 하드디스크 모델과 비교하면 읽기 및 쓰기 속도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주로 기술적인 발전과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로 인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5400 RPM 모델인 씨게이트 바라쿠라 ST4000DM004와 비교하면, 이 하드디스크 모델은 회전 속도에서도 뒤쳐지지 않으면서 더 빠른 읽기 및 쓰기 속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데이터 액세스 속도와 성능 면에서 우수한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삼성 SSD 850 PRO는 매우 빠른 읽기 및 쓰기 속도를 제공하며, 오래된 하드디스크 모델인 WDC WD10EURX와 SAMSUNG HD103SJ는 최신 기술에 비해 속도에서 뒤처집니다. 그러나 씨게이트 바라쿠라 ST4000DM004는 회전 속도와 빠른 데이터 액세스 속도를 조화롭게 갖춘 모델로, 성능 면에서 양호한 선택입니다.
참고 : 외장하드 하드디스크 로우포맷 vs 빠른포맷 속도비교 및 장 단점
디스크 읽기쓰기 속도측정 및 느려짐 개선방법
FAQ – 하드디스크 설치 및 설정 관련
하드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할 때 BIOS에서 확인해야 할 항목은?
하드디스크가 디스크 관리에서도 표시되지 않는다면, 먼저 BIOS(UEFI)에 진입해 SATA 포트가 사용(Enabled) 상태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일부 메인보드는 SATA 포트 비활성화 또는 절전모드 설정이 기본값일 수 있어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GPT와 MBR 중 어떤 파티션 형식이 더 좋나요?
GPT는 MBR보다 더 많은 파티션을 지원하고 2TB 이상의 디스크도 인식할 수 있어, 대용량 하드디스크(2TB 이상) 사용 시에는 GPT로 설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윈도우 10/11 사용자라면 기본값으로 GPT를 사용하는 것이 안정적입니다.
하드디스크 장착 후 전원이 인식되지 않을 경우는?
전원 공급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거나, SATA 전원 커넥터가 헐거운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파워서플라이 전력 부족도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3개 이상의 저장 장치를 장착 시 파워 용량 확인이 필요합니다.
3.5인치 하드디스크를 외장으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3.5인치 HDD는 외장 사용을 위해 전용 외장하드 케이스(별도 전원 포함)가 필요합니다.
노트북용 2.5인치 HDD/SSD와 달리 USB 전원만으로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전원 어댑터가 포함된 외장 케이스를 선택해야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기존 SSD와 HDD를 병행 사용 시 우선순위는 어떻게 설정하나요?
SSD는 운영체제(윈도우 등) 설치용, HDD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합니다.
BIOS에서 부팅 우선순위를 SSD로 설정하고, HDD는 추가 저장 장치로 구성하면 효율적입니다.
하드디스크 용량이 4TB인데 2TB만 인식되는 경우 해결 방법은?
이는 보통 MBR 파티션 제한 때문입니다. MBR은 최대 2TB까지만 지원하므로, 디스크 초기화 시 GPT(GUID 파티션 테이블)로 설정하면 4TB 전체 용량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하드디스크가 윈도우 설치 시 안 보이는 경우 해결법은?
윈도우 설치 중 드라이브가 보이지 않는다면
- 드라이버 문제: 최신 SATA 컨트롤러 드라이버 필요
- 파티션 문제: 디스크가 초기화되지 않은 상태
- USB 설치 미디어 문제: 부팅 디스크가 손상되었을 수 있음
해결을 위해 디스크 관리자에서 GPT 초기화 후 설치를 재시도하세요.
하드디스크 성능이 느려졌을 때 개선 방법은?
- 디스크 조각 모음 또는 최적화
- SATA 케이블 교체
- 디스크 수명 점검 (CrystalDiskInfo 활용)
- 불필요한 백그라운드 작업 종료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HDD에 비해 SSD를 쓰면 실제 속도 차이가 얼마나 나나요?
보통 HDD(5400 / 7200RPM)의 읽기/쓰기 속도는 100 – 200MB/s, SSD는 5003500MB/s까지 가능합니다.
파일 복사, 게임 로딩, 윈도우 부팅 속도에서 210배 이상 차이가 나므로 SSD는 속도 개선에 필수입니다.
파티션 설정 시 “새 단순 볼륨”이 비활성화되는 경우는?
해당 디스크가 GPT로 초기화되지 않았거나, 예약 파티션이 잘못 생성된 경우입니다. 모든 파티션을 삭제한 뒤 디스크를 재초기화하여 새 단순 볼륨 설정을 다시 시도하세요.
하드디스크에서 ‘딸깍딸깍’ 소리가 나는 경우는?
이는 하드디스크 내부 헤드가 손상되었거나, 모터 구동에 문제가 생긴 물리적 고장일 가능성이 큽니다. 전원을 즉시 차단하고 사용을 멈춰야 하며, 데이터 복구 전문 업체를 통한 물리 복구가 필요합니다.
- 예상 복구 비용: 경미한 손상 약 10만~30만 원 / 심각한 손상 50만 원 이상
하드디스크가 윈도우에서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현상은?
- SATA 포트 불량 또는 케이블 접촉 불량
- 전원 공급 불안정
- SMART 오류로 인한 임박한 디스크 고장
CrystalDiskInfo로 상태 점검 후, 이상이 있다면 백업 후 교체를 권장합니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RAW 파일 시스템’으로 표시될 때는?
파일 시스템이 손상된 경우입니다. 이 경우 윈도우에서 접근이 불가능하며, **디스크 초기화 또는 데이터 복구 소프트웨어(예: Recuva, R-Studio)**를 통해 복원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복구 소프트웨어 비용: 무료 ~ 10만 원
- 전문 복구 업체 의뢰 시: 20만 원 이상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 파라미터가 잘못되었습니다’ 오류가 뜰 때는?
디스크 파티션 테이블 또는 MFT 손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chkdsk /f /r
명령으로 복구 시도- 실패 시 파티션 복구 프로그램(예: MiniTool Partition Wizard) 사용
- 물리 손상 여부는 SMART로 점검
하드디스크가 BIOS에서는 보이는데 윈도우에서는 안 보이는 경우?
BIOS에서 인식되지만 윈도우에서는 안 보인다면, 파티션 설정이 없거나 파일 시스템이 손상된 경우입니다.
- 디스크 관리에서 파티션 초기화, GPT 설정
- GPT로도 안 될 경우 ‘디스크 클린’ 명령어로 초기화 후 재설정
디스크 조각 모음 도중 시스템이 멈추는 경우는?
디스크 자체에 불량 섹터(Bad Sector)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CHKDSK 유틸리티로 섹터 검사
- 반복적으로 멈춘다면 디스크 교체가 필요합니다.
- 불량 섹터 복구는 한계가 있어 중요 자료는 빠르게 백업 후 교체 권장
하드디스크 수명이 다 되었는지 확인하려면?
- CrystalDiskInfo로 SMART 상태 확인 (경고, 위험 표시 여부)
- Bad Sector 검사 도구(예: HD Tune) 활용
- 평균적으로 HDD는 3~5년, 10TB 이상 고용량 제품은 2~3년이 권장 사용 기간입니다.
하드디스크 수리보다 교체가 나은 경우는?
- SMART에서 ‘Reallocated Sector Count’ 또는 ‘Pending Sector Count’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경우
- 전원이 들어와도 소리가 안 나거나, 진동이 없을 경우 모터 고장 가능성
- 기본 SATA HDD 4TB 교체 비용: 약 9만~12만 원 (2025년 온라인 기준)
하드디스크가 너무 뜨거워지는 경우 어떻게 하나요?
- 연속 작업 또는 케이스 내 열 배출 불량
- HDD 온도가 55°C 이상이면 수명 단축 위험
- 쿨링 팬 추가, 위치 변경, 케이스 청소 등을 통해 온도를 낮춰야 합니다.
하드디스크 복구 후에도 속도가 너무 느릴 때는?
- 복구 과정에서 배드 섹터가 논리적으로만 복구되어 실질적인 속도 저하가 발생
- 이 경우, 포맷 후 속도 비교하거나 새 디스크로 데이터만 이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