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sts 파일은 운영 체제에서 IP 주소와 호스트 이름을 매핑하는데 사용되는 텍스트 파일로서 이 파일은 로컬 시스템에서 DNS(Domain Name System) 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며,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해석하고,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지멘스의 팀센터와 같은 PLM 프로그램의 라이센스 및 네트워크 서버를 구축 및 TCIP / IP / DNS, 윈도우 폭시 변경ㅋ하는데 있어서 Hosts 파일에 IP주소를 추가하거나 삭제하고자 할 경우 해당파일을 실행하고 수정하는 방법과 함께 수정 시 파일변경에 대한 권한없음 및 수정 편집 권한부족으로 파일수정이 안되는 경우 윈도우10 윈도우11 Hosts 수정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OSTS 파일의 용도
인터넷에 연결된 개별 컴퓨터는 각자 고유한 IP 주소를 할당 받고 있습니다.
IPv4 주소 범위는 0.0.0.0에서 255.255.255.255까지로 정의되어 있으며, 모든 인터넷 통신은 이러한 IP 주소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일반 사용자가 웹 브라우징하는 동안 IP 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웹 사이트에 접속하지는 않습니다.
대신,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주소(예: google.com)를 입력하여 웹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 파일 위치 : C:WindowsSystem32driversetc
- 파일명 : hosts
- 파일 실행 권한 : 관리자 권한으로만 파일 수정 가능
도메인 주소는 우리가 쉽게 기억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나 실제로 인터넷 통신은 IP 주소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도메인 주소로 사이트에 접속할 때 컴퓨터는 해당 도메인 주소를 해당하는 IP 주소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런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바로 “도메인 네임 시스템” 또는 “DNS(Domain Name System)”입니다.
만약 DNS 서버가 작동하지 않거나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는 직접 “hosts” 파일에 도메인 주소와 해당하는 IP 주소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 파일은 모든 운영 체제에서 “hosts”라는 이름으로 존재하며, 사용자는 여기에 원하는 도메인과 IP 주소를 매핑함으로써 특정 웹 사이트에 직접 접속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1 Hosts 수정 메모장 관리자권한 실행
윈도우11 기준으로 진행되지만 윈도우10, 윈도우8.1, 윈도우7 등도 크게 다르지 않으며 Hosts 수정파일을 열기 위해서는 보통 메모장을 주로 사용합니다.
그리고 파일변경에 대한 권한이 없거나 수정 편집 권한부족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메모장을 실행 시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하느것을 권장합니다.
열기를 통해 수정하고자 하는 Hosts 파일을 지정합니다.
Hosts 파일위치 경로
C:\Windows\System32\drivers\etc
파일형식을 모든형식으로 변경 후 Hosts 파일을 열어 준 뒤 내용을 수정합니다.
이후 다른이름으로 저장을 통해 기존의 Hosts 파일을 선택 후 저장을 눌러줍니다.
저장 시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이 파일을 열 수 있는 권한이 없습니다. 사용 권한에 대해서는 파일의 소유자나 관리자에게 문의하십시오 라고 뜬다면 아래 방법을 참고하세요
윈도우11 Hosts 수정 파일위치 바탕화면 저장 후 교체
다른이름으로 저장을 통해 원본 호스트 파일이 저장되지 않는다면 바탕화면으로 HOSTS 파일을 저장합니다.
그리고 키보드 Shift + R을 눌러 실행창에서 Drivers 입력 후 확인을 누른 뒤 etc 폴더로 들어갑니다.
만약 현재 실행 중인 hosts 파일이 있다면 종료 후 바탕화면에 저장한 hosts 파일을 etc 폴더로 잘라내기 후 붙여넣기 후 대상 폴더의 파일 덮어쓰기를 합니다.
대부분 파일변경에 대한 관리자계정 권한없음 오류가 없다면 이 방법으로 호스트파일 변경이 되는데 안된다고 하면 아래 방법을 참고하세요
HOSTS 폴더 및 파일 수정권한 읽기쓰기 수정변경
이후에도 파일변경이 권한부족으로 안된다면 HOSTS 파일에 대한 읽기쓰기 수정권한을 변경합니다.
HOSTS 선택 후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보안탭으로 들어간 뒤 사용권한을 편집합니다.
그리고 현재 사용중인 윈도우 사용자 계정에 권한을 보면 수정권한이 없습니다.
해당파일에 읽기 및 실행, 쓰기, 수정권한의 모든권한을 추가합니다.
Hosts 수정 파일변경 권한부족 시 위 내용을 참고하세요
윈도우 실시간보호 파일변경 감지해제
앞서 말한것과 같이 호스트파일 변경은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차단하는 경우 바이러스 및 위협방지에서 파일변경 감지를 위한 실시간감시기능을 잠시 비활성화합니다.
이러한 윈도우 실시간보호 및 랜섬웨어 감지등 외에도 알약이나 V3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다면 백신 프로그램 꺼주느것이 좋습니다.
특히 보안프로그램인 nProtect 자동설치되는 경우 etc에서 업데이트 차단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127.0.0.1 updates.nprotect.net
윈도우 관리자계정 및 안전모드 부팅
이후에도 HOSTS 파일변경에 권한이 부족한다면 상위권한인 관리자계정으로 로그인하거나 안전모드로 부팅하게 되면 HOSTS 파일변경 시 권한부족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안전모드 부팅 방법은 윈도우 다시시작 버튼을 Shift 키를 누른채로 눌러주면 안전모드로 부팅됩니다.
이후 파일삭제가 되지않거나 파일변경이 되지 않는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FAQ
HOSTS 파일이 갑자기 초기화되거나 설정이 사라졌어요. 왜 그런가요?
윈도우의 보안 정책이나 백신 프로그램이 실시간 보호 기능을 통해 HOSTS 파일의 수정을 원천 차단하거나 변경된 내용을 복원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윈도우 디펜더의 제한된 폴더 접근 기능, 알약, V3, nProtect 같은 보안 프로그램들이 감지 후 파일을 자동으로 원래 상태로 되돌리기도 하므로 설정 후에도 변경 내용을 지켜주는 예외 설정이 필요합니다.
HOSTS 파일이 열리긴 하는데 저장이 되지 않아요. 해결 방법은?
가장 흔한 문제는 권한 문제입니다.
메모장을 반드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하며, 수정 후 저장이 안 된다면 바탕화면 등에 저장한 뒤 원본 파일 위치로 덮어씌우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마저도 실패한다면 보안 탭에서 쓰기 권한을 명시적으로 부여하거나 안전모드 부팅 후 파일 교체를 시도해보세요.
HOSTS 파일을 수정해도 반영되지 않아요. 이유가 뭔가요?
HOSTS 파일 수정 후에도 변경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는 크게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 수정한 줄 앞에 # 주석 기호가 남아있어 비활성 상태인 경우
- 파일을 저장했지만 확장자가
.txt
로 저장된 경우 (hosts.txt가 아닌지 확인) - 브라우저나 시스템이 이전 DNS 결과를 캐싱하고 있어 반영되지 않는 경우
이럴 땐 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 /flushdns
명령어를 입력해 DNS 캐시를 지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HOSTS 파일 수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수정한 IP와 도메인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하려면
- 명령 프롬프트에서
ping [도메인명]
입력 후 내가 설정한 IP로 응답이 오는지 확인 - 웹 브라우저로 직접 해당 도메인 접속 시 HOSTS 파일에 등록한 IP로 리디렉션되는지 확인
이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페이지가 뜬다면 캐시를 삭제하거나 브라우저를 새로 고침(F5)하거나 Ctrl+F5 강력 새로고침을 시도해보세요.
HOSTS 파일을 여러 개 관리할 수 있나요? 환경에 따라 구분해서 쓰고 싶어요.
기본적으로 윈도우는 하나의 HOSTS 파일만 인식합니다. 하지만 환경별 설정을 바꾸고 싶다면 HOSTS 파일을 여러 개로 백업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수동으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또는 외부 프로그램(예: HostsMan, SwitchHosts!)을 사용하면 환경 설정을 편리하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
HOSTS 파일이 어디에 사용되나요? PLM 시스템 외에도?
HOSTS 파일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됩니다.
- 특정 웹사이트를 차단할 때 (예:
127.0.0.1 www.blocksite.com
) - 사내 테스트 서버로의 도메인 리디렉션
- DNS 서버가 불안정할 때 임시 대체 방법으로
- 라이선스 서버, 로컬 네트워크 장비(PLC, NAS 등)의 도메인 매핑
즉, 기업 내부 시스템, 개발 테스트 환경, 보안 설정 등 다방면에 활용되며, 특히 PLM이나 ERP 시스템 같은 고정된 서버 기반 프로그램에선 HOSTS 설정이 필수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HOSTS 파일 수정이 위험할 수도 있나요?
의도적으로 HOSTS 파일을 수정해 피싱 사이트로 연결되게 하거나, 정상적인 사이트를 차단해버리는 악성코드가 존재합니다.
갑자기 HOSTS 파일이 변경되었다는 알림이 계속 떠요. 복원해도 재부팅하면 또 떠요. 바이러스일까요?
이런 증상은 대부분 보안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 보호 기능이 HOSTS 파일의 변경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들어 V3, 알약, 윈도우 디펜더 등이 HOSTS 파일 변경 시 자동 감지를 하도록 기본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본인이 직접 변경했더라도 이를 ‘의심스러운 변경’으로 간주해 복구하겠냐는 메시지를 반복해서 띄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순히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반복될 수 있습니다.
- HOSTS 파일이 직접 수정되었고, 보안 프로그램이 이를 감지 후 자동 복원
- HOSTS 파일이 보호 폴더(System32 하위)에 있어서, 시스템 감시 기능이 작동
- 백신 프로그램이 설정된 예외 정책 없이 HOSTS 파일을 지속적으로 감시 중
해결 방법
- 실제 감염 여부 점검
우선 걱정이 된다면 전체 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잘 하신 거예요. 추가로 의심되는 프로세스가 있는지 TCPView와 Process Explorer 프로그램을 통해 점검해볼 수 있습니다. - 이 도구들은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유틸리티로,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Sysinternals Utilities – Microsoft
- 실행 중인 포트와 프로세스 확인
TCPView
: 포트 12753 등에서 동작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실시간으로 확인Process Explorer
: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 확인 가능- 상단 메뉴 >
Options
에서Verify Image Signatures
및Check VirusTotal.com
체크 - 각 프로세스가 바이러스 토탈 기준으로 안전한지(파란색), 의심스러운지(빨간색) 확인 가능
- 반복되는 HOSTS 변경 알림 차단하기
- 보안 프로그램(V3, 알약 등)의 설정에서 HOSTS 감시 기능을 예외 처리하거나, 변경된 HOSTS 파일을 신뢰 목록에 추가
- 윈도우 디펜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 > 실시간 보호
항목을 일시적으로 해제하고 변경한 뒤 다시 켜는 것도 방법 - 변경한 HOSTS 파일을 백업해두고, 계속 복원되는 경우 복사-덮어쓰기 방식으로 재적용
참고로…
알림창이 반복해서 뜨더라도, HOSTS 파일 변경 내용이 단순히 광고 차단 주소 추가 또는 내부 테스트용 매핑이라면 보안상 큰 문제는 되지 않습니다.
의심되는 주소가 있더라도 IP나 도메인을 확인해봤을 때 정상적인 경로라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정체불명의 IP로 연결되어 있다면 위 도구들을 통해 원인을 확인하고 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HOSTS 파일은 반드시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가 직접 수정해야 하며, 수시로 정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회사 시스템이라면 보안 담당자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권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