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의 성능은 이전보다 훨씬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분들이 소음 문제로 불편을 겪고 계십니다. 특히 오래된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을 사용하다 보면, 점점 귀에 거슬리는 팬 소리나 하드디스크 회전음이 크게 들리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소음은 단순히 귀찮은 문제를 넘어서 내부 부품의 발열, 마모, 냉각 성능 저하와 직결되는 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컴퓨터 내부에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은 바로 회전하는 부품들입니다.
대표적으로는 CPU 쿨러, 케이스 팬, 하드디스크(HDD)가 있으며, 이들은 컴퓨터가 동작하는 동안 끊임없이 회전하며 열을 식히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처음 구매했을 당시에는 윤활 상태도 양호하고 부품 간 유격도 적기 때문에 매우 조용하게 작동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구리스가 마르고 회전축에 미세한 마모가 생기면서 소음이 점차 커지게 됩니다.
특히 윤활제가 말라붙거나 팬 축이 산화되면 팬이 헛돌거나 삐걱거리는 듯한 거친 소리를 내며 불필요한 진동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한 ‘노후화’로 끝나는 문제가 아니라, 컴퓨터 성능 저하와 시스템 오류로 이어질 가능성도 큽니다.
예를 들어 CPU 쿨러 성능이 떨어지면 발열이 제대로 해소되지 못해 컴퓨터가 느려지거나 갑자기 꺼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하드디스크에서 나는 규칙적인 ‘윙~’ 소리나 ‘딸깍’ 소리는 저장 장치의 수명 경고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시려면 단순히 청소만 하는 것이 아니라, 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필요 시 써멀 구리스를 재도포하거나 쿨러를 교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또한 컴퓨터 케이스 내부 공기 흐름을 개선하고, 고성능이면서도 정숙한 팬을 사용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되는데 이와 같은 조치를 취하면 컴퓨터 내부의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되며,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과 수명이 모두 향상됩니다.
소음 유형 | 발생 위치 | 원인 | 대표 증상 | 해결 방법 | 난이도 |
---|---|---|---|---|---|
윙―윙― 지속적 회전음 | CPU 팬, 케이스 팬 | 팬 RPM 과다 또는 먼지 축적 | 팬 소리 커지고 일정 이상 줄어들지 않음 | 먼지 청소, PWM 팬 속도 조절, 팬 교체 | ★★☆☆☆ |
찌르르, 진동음 | 하드디스크 (HDD) | 베어링 마모 또는 진동 간섭 | 책상에 울림 전달, 고주파 진동 소리 | 고정 위치 변경, 고무 패드 부착, SSD 교체 고려 | ★★☆☆☆ |
삐익/찢어지는 마찰음 | CPU 쿨러, 그래픽카드 팬 | 팬 날개 간섭, 중심축 마모 | 불규칙하고 날카로운 마찰음 | 팬 제거 후 윤활, 팬 교체 | ★★★☆☆ |
딸깍딸깍, 짧은 클릭음 | HDD, 파워 서플라이 | 하드 헤드 충돌 또는 릴레이 노이즈 | 데이터 읽기 중 소리 증가, 멈칫거림 | 백업 후 HDD 상태 점검, PSU 교체 검토 | ★★★☆☆ |
고주파 ‘삑’ 혹은 ‘찌잉’ 소리 |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파워 | 코일 노이즈 (코일 와인) | 조용한 환경에서만 들림, 작업 시 더 커짐 | BIOS 전력 설정 조정, 고주파 잡는 팬 장착, 고급 PSU 교체 | ★★☆☆☆ |
팬이 돌다 멈추다 반복 | GPU, CPU 팬 | 온도센서 세팅값 이상, PWM 불안정 | 부팅 시 팬이 갑자기 정지하거나 재시작 | BIOS 팬 곡선 조정, 센서값 초기화 | ★★☆☆☆ |
시끄럽게 돌다 갑자기 조용해짐 | CPU 팬 | 오버클럭 상태, 열 해소 지연 | 급격한 소음 후 조용해짐 반복 | 오버클럭 해제, 써멀 재도포 | ★★★☆☆ |
부팅 시 ‘삐삐삑’ 경고음 | 메인보드 스피커 | 메모리 접촉 불량, 배터리 부족 | 부팅 불가, 팬은 돌지만 화면 출력 없음 | 메모리 재장착, CR2032 배터리 교체 | ★☆☆☆☆ |
컴퓨터 소음은 생각보다 사용자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소음이 줄어들고 발열이 안정되면, 장시간 작업을 하거나 영상을 감상할 때도 훨씬 쾌적하고 집중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CPU & GPU 발열 원인 · 증상 · 해결 방법 비교 표
CPU 발열 원인 및 해결방법
CPU 발열 | 주요 원인 | 대표 증상 | 해결 방법 | 참고 사항 |
---|---|---|---|---|
과부하 | 무거운 작업 지속 (예: 영상 렌더링, 멀티코어 앱 사용) | 팬 풀가동, 소음 증가, 온도 85℃ 이상 | 작업 분산, 백그라운드 앱 종료 | CPU 성능 대비 작업 과다 |
써멀 구리스 마모 | 오래된 구리스가 마르거나 경화됨 | CPU 온도 급상승 (70~90℃), 프리징, 발열 후 꺼짐 | 써멀 구리스 재도포 | 2~3년에 한 번 교체 권장 |
쿨러 불량 또는 장착 미흡 | 팬 작동 불량, 히트싱크 미접촉 | 팬은 돌지만 온도 지속 상승 | 쿨러 재장착, 교체 | 쿨러 고정 클립 확인 필수 |
먼지 및 통풍 불량 | 히트싱크에 먼지 쌓임, 공기 흐름 막힘 | 쿨러는 도는데 열 빠지지 않음 | 내부 청소, 팬 방향 조정 | 6개월에 한 번 청소 권장 |
오버클럭 | 전압·클럭 무리하게 상승 | 온도 90℃ 이상, 재부팅 또는 블루스크린 | 오버클럭 해제, 전압 낮춤 | 전력 효율 저하 가능 |
BIOS 설정 이상 | 팬 속도 고정, 저속 세팅됨 | 아이들 시에도 발열 높음 | BIOS 팬 곡선 조정 | Fan Curve 직접 설정 가능 |
GPU 발열 원인 및 해결방법
GPU | 주요 원인 | 대표 증상 | 해결 방법 | 참고 사항 |
---|---|---|---|---|
과도한 그래픽 작업 | 게임, 3D 모델링, 채굴 등 지속 부하 | 그래픽카드 팬 소음 증가, 프레임 드랍 | 해상도 조절, 제한 FPS 설정 | 옵션 타협으로 안정화 |
팬 고장 또는 먼지 | 팬 회전 불량, 이물질 끼임 | GPU 온도 85~95℃, 화면 깜빡임 | 팬 교체 또는 분해 청소 | 팬 RPM 수동 조절 가능 |
구형 그래픽카드 | 연식 오래돼 열제어 성능 저하 | 부팅 시 GPU 팬 100% 회전, 소음 | 히트싱크 청소 또는 구리스 재도포 | GPU 쿨링 패드 점검도 병행 |
드라이버 충돌 | 잘못된 드라이버로 GPU 사용률 비정상 | 온도 변동 심하고, 전력 급증 | 최신 드라이버 재설치 또는 클린설치 | DDU 툴 사용 추천 |
내부 배기 불량 | 케이스 구조상 GPU 주변 온기 정체 | GPU 쿨링팬만 열심히 돌고 온도 안 내려감 | 배기팬 추가, 수직 장착 고려 | 케이스 내 온도 분산 중요 |
그래픽카드 위치 불량 | SSD, 파워 등과 너무 가까움 | 열 전도 간섭으로 온도 5~10도 상승 | 슬롯 재배치, 라이저 케이블 사용 | ITX 구조일수록 민감함 |
컴퓨터 소음 CPU 쿨러 교체 및 발열 낮추는 방법 7가지
방법 | 핵심 조치 | 상세 설명 | 기대 효과 | 비용 | 난이도 |
---|---|---|---|---|---|
1 | CPU 쿨러 교체 | 오래된 기본 쿨러 대신 정숙하고 고성능의 공랭 또는 수냉 쿨러로 교체 | 팬 소음 감소, 발열 빠르게 해소, 프리징 현상 방지 | 약 7,000원~40,000원 (공랭 기준) | 중 (쿨러 탈착 필요) |
2 | 써멀 구리스 재도포 | CPU 히트스프레더와 쿨러 사이에 써멀 구리스를 새로 얇게 도포 | 열전도 효율 개선, CPU 온도 5~15도↓ | 약 3,000원~10,000원 | 중 (분해 및 청소 필요) |
3 | 케이스 내부 청소 | 먼지 쌓인 팬·히트싱크 청소, 공기 흐름 개선 | 열 배출 원활, 팬 속도 감소로 소음↓ | 0원 (청소도구만 있으면 가능) | 하 |
4 | 케이스 팬 추가 및 교체 | 전면/후면 흡기·배기 팬 구성. 저소음 팬으로 업그레이드 | 케이스 내 공기 흐름 최적화, 전체 발열 제어 | 1만원 ~ 2만원 (팬 1~2개 기준) | 중 |
5 | 파워 관리 설정 최적화 | 제어판 → 전원 옵션에서 고성능 → 균형 조절 또는 CPU 최대 상태 조정 | 발열·소음 감소, 전력 효율 향상 | 0원 | 하 |
6 | 오버클럭 해제 | BIOS/UEFI에서 수동 오버클럭 해제, 기본 클럭 복원 | 발열·소음 즉각 감소, 시스템 안정성 향상 | 0원 | 중 |
7 | 저전력 CPU 업그레이드 | 기존 고발열 CPU → TDP 낮은 저전력 모델로 교체 (예: 35W, 65W 모델) | 발열 및 전력 소비↓, 팬 소음 자연 감소 | 10만원 이상 (CPU 교체 시) | 상 |
보통 컴퓨터를 오래사용하게 되면 첫번째 증상으로 소음이 증가하며 두번째 증상으로는 컴퓨터 프리징 (멈춤 및 재부팅) 및 블루스크린이 발생합니다.
보통 이런경우 컴퓨터 온도가 올라가 발열이 발생하는게 주된 원인이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쿨러나 써멀구리스를 발라 열전도율을 높이는게 좋으며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에 5년이상 사용한 컴퓨터라면 한번 구입해서 작업해보느것을 추천합니다.
컴퓨터 소음 CPU 쿨러 교체방법
CPU 쿨러는 대략 2만원미만으로 저렴하게는 1만원 미만대 제품도 있습니다.
쿨러 종류 | 냉각 방식 | 주요 특징 | 장점 | 단점 | 호환 소켓 (Intel) | 호환 소켓 (AMD) |
---|---|---|---|---|---|---|
타워형 공랭 | 공기 (히트파이프 + 팬) | 세로형 구조, 히트싱크+팬 결합형 | 쿨링 성능 우수, 가격 합리적 | 높이가 높아 작은 케이스와 간섭 가능 | LGA 115x, 1200, 1700, 2066 | AM4, AM5, FM2+, AM3+ |
저프로파일형 | 공기 (히트싱크 일체형) | 낮은 높이, 팬이 히트싱크 바로 위에 위치 | ITX 등 소형 케이스에 최적 | 냉각 성능 한계 있음 | LGA 115x, 1200, 1700 | AM4, AM5, AM1, FM2 |
탑플로우형 | 공기 (수평형 팬) | 팬이 아래로 바람을 불어줌 | 주변 메모리 냉각 가능 | 고성능 CPU에는 부족할 수 있음 | LGA 115x, 1200, 1366, 1700 | AM4, AM5, FM2+, AM3+ |
일체형 수랭 (AIO) | 액체 순환 + 라디에이터 | 펌프와 라디에이터가 결합된 일체형 구조 | 쿨링 성능 매우 높음, 깔끔한 외관 | 가격 높고 설치 난이도 있음 | LGA 1200, 1700, 2066, 2011 | AM4, AM5, TR4 (어댑터 필요) |
커스텀 수랭 | 사용자가 조립한 수랭 키트 | 튜브·워터블럭·라디에이터 등 구성품 조립형 | 외형 자유도 높고 성능 매우 우수 | 고비용, 유지보수 필요, 누수 우려 | 모든 소켓 (브라켓 조합 가능) | 모든 소켓 (브라켓 조합 가능) |
기본적으로 오래된 컴퓨터에 순정 쿨러를 사용한다면 1만원 미만대 제품을 구입해도 충분히 컴퓨터 소음 및 발열, 그리고 자주멈춤 현상등이 해결될 수 있습니다.
쿨러 이름 | 방식 | 메인보드 호환성 (예시) | 가격대 |
---|---|---|---|
Noctua NH-U12S | 타워형 공랭 | Intel 115x/1200/1700, AMD AM4 | 약 80,000원 |
Cooler Master G400P | 저프로파일 공랭 | ITX용, Intel/AMD 모두 호환 | 약 35,000원 |
DeepCool AK620 | 듀얼 타워 공랭 | 대부분 메인보드 호환 | 약 75,000원 |
NZXT Kraken X63 | AIO 수랭 | Intel 1200/1700, AMD AM4 | 약 180,000원 |
EKWB Custom Kit | 커스텀 수랭 | 모든 소켓, 고급 설정 가능 | 40만 원 이상 |
이러한 문제는 컴퓨터 자체의 소프트웨어 검사 및 하드디스크의 배드섹터 치료로 어느정도 해결 할 수 있지만 오래된 PC로 컴퓨터를 포맷을 해도 이러한 문제가 계속 발생한다면 CPU 쿨러를 교체하는것으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제가 구입한 쿨러는 CNPS80 이라는 모델로 잘만 쿨러로 가격은 7천원정도로 구입시 써멀구리스도 포함되어 있고 평이 좋은 제품으로 쿨러를 교체하기 위해 컴퓨터를 개봉합니다.
쿨러는 CPU 위에 붙어있는 제품으로 저는 AMD 데네브 945 모델을 사용중입니다.
기존에 쿨러는 오래 사용하다보니 플라스틱 파트가 이미 너덜너덜해져 있으며 십자 드라이버를 이용해 간단하게 분리합니다.
오래된 CPU를 분해해 보면 회색으로 말라붙은 구리스가 표면에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종류 | 주성분 | 열전도율 (W/m·K) | 전기 전도성 | 장점 | 단점 | 권장 사용환경 |
---|---|---|---|---|---|---|
실리콘 기반 | 실리콘 오일 + 산화금속 | 0.7 ~ 4.5 | 없음 | 저렴하고 사용이 쉬움 | 장기간 사용 시 건조/경화 | 일반 데스크탑, 저발열 시스템 |
세라믹 기반 |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 | 4.0 ~ 8.5 | 없음 | 전기 안전성 높고 안정적 | 금속 기반 대비 열전도율 낮음 | 범용 CPU/GPU, 오버클럭 X |
금속 기반 | 은, 구리 등 | 8.5 ~ 13.0 | 있음 | 높은 열전도율, 발열 제어 우수 | 전도성·부식 위험, 초보자 비추천 | 고성능 시스템, 오버클럭 |
액체 금속 | 갈륨 합금 등 | ~73 | 있음 | 업계 최고 수준 열전도율 | 적용 난이도 높고 부식 가능성 있음 | 전문가, 고출력 환경 |
이럴 때는 새로운 써멀 구리스를 바르기 전에 CPU 표면을 깨끗하게 닦아주는 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구리스가 오래돼 굳거나 마르면 열전도 효율이 급격히 떨어져 발열 해소에 큰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이죠.
제품명 | 열전도율 (W/m·K) | 전기 전도성 | 장점 | 단점 | 가격 (대략) | 적합 대상 |
---|---|---|---|---|---|---|
Thermal Grizzly Conductonaut | ~73 | 있음 | 최고 성능, 극한 발열 해소 가능 | 전도성·부식 위험, 설치 난이도 높음 | 약 72,000원 | 전문가, 수냉·하이엔드 시스템 |
Thermalright TF7 | 12.8 | 없음 | 고성능, 가성비 우수 | 바르기 어려움, 소량 패키지 | 약 10,000원 | 고성능 공랭/수냉 유저 |
ARCTIC MX-4 | 8.5 | 없음 | 작업 쉬움, 가성비 최고, 전기 안전 | 최고 성능은 아님 | 약 5,700원 | 일반 데스크탑 사용자 |
일반적으로 CPU나 히트싱크를 구매하면 간단한 써멀 구리스가 동봉돼 있는 경우도 있고, 어떤 제품은 미리 발라진 상태로 제공되기도 합니다. 써멀 구리스는 CPU와 쿨러 사이의 미세한 틈을 채워줘서 열을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도포 방식 | 도포 형태 | 장점 | 단점 | 권장 상황 | 난이도 | 발열 효율 |
---|---|---|---|---|---|---|
점 도포법 (Central Dot) | CPU 중앙에 동전 크기의 한 방울 | 바르기 매우 쉬움, 초보자 추천 | 퍼짐이 불균일할 수 있음 (특히 대형 CPU) | 일반 데스크탑 CPU, 인텔/AMD 모두 가능 | ★☆☆☆☆ | ★★★☆☆ |
X자 도포법 (X-Shape) | X자 형태로 교차 도포 | 넓은 면적에 균일하게 퍼짐 | 바르기 어렵고 양 조절 어려움 | 라이젠 멀티칩(MCM), IHS 면적 큰 CPU | ★★★★☆ | ★★★★★ |
줄 도포법 (Line Method) | 중앙에 수직 또는 수평의 선 | 열 분산에 효과적, 퍼짐 좋음 | 너무 얇거나 짧게 바르면 커버 안됨 | LGA 1700 등 긴 직사각형 CPU | ★★☆☆☆ | ★★★★☆ |
도포 후 면펴기 (Spread Method) | 카드나 손가락으로 고르게 펴 바름 | 가장 균일하게 발림, 공기층 최소화 | 과도한 접촉으로 오염·버블 유입 가능 | 전문가용, 고성능 작업용 시스템 | ★★★★★ | ★★★★★ |
나선형(Spiral) / 원형 도포 | 나선 또는 원 모양 | 대형 쿨러 히트싱크에 적합 | 퍼짐 불균형 가능, 과도할 경우 넘침 | 고출력 워크스테이션, 수냉쿨러 | ★★★☆☆ | ★★★★☆ |
써멀 구리스를 바르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각각의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초보자에게는 중앙에 한 방울만 떨어뜨리는 ‘점 도포법’이 간단하고 실수도 적습니다. 반면에 Ryzen처럼 다이 면적이 넓은 CPU에는 ‘X자 도포법’이나 ‘줄 도포법’이 더 고르게 열을 퍼뜨릴 수 있어 적합합니다. 전문가용 시스템에는 카드를 이용해 고르게 펴 바르는 방식도 많이 쓰입니다.
한편, 과거에는 써멀 패드가 동봉된 CPU도 있었는데요. 이 패드는 상온에서는 반고체 상태로 유지되다가, CPU가 가열되면 녹아 열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다루기 쉽고 별도의 도포 과정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열전도율이 낮고 장시간 사용하면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특히 고사양 작업을 자주 한다면 써멀 구리스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CPU와 히트싱크는 열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데, 패드는 이러한 변화에 취약해서 틈이 생기거나 공기가 유입되기 쉬운 반면, 써멀 구리스는 그런 변형에도 잘 밀착되어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해줍니다.
즉 정확한 도포와 적절한 구리스 선택만으로도 발열을 줄이고 시스템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니, 정비 시 꼭 점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실제로 CPU 제거하여 써멀구리스를 발라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보는것과 같이 CPU 쿨러를 제거하고 칩셋 위에 써멀구리스를 발라주면 되느데 이때 원하는 방식에 맞게 초보자라면 중앙에서 점 도포법이 무난하고 실수가 적으며 멀티 다이 구조의 라이젠의 경우 X자나 면펴기 방식이 좋습니다.
참고로 너무 많은 구리스를 바르면 흘러내려서 쇼트가 발생할 수 잇으니 쌀알 크기 이하로 시작하여 발라주는것이 포인트이며 써멀구리스 도포 후 쿨러를 장착할 때에도 자동으로 퍼지는것을 감안해서 일부러 넣게 바를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새로 구입한 gnps 80f 잘만 쿨러에 붙어있는 스티커를 제거하고 CPU 쿨러를 그대로 부착합니다.
다음 쿨러에 보면 보는것과 같은 전원케이블이 있습니다.
이걸 꼽아야 쿨러가 회전되며 열을 시켜줍니다.
메인보드 배터리교체 및 CPU 온도체크
컴퓨터를 오래 쓰다 보면 눈에 잘 띄지 않지만 꼭 챙겨야 하는 부분이 바로 메인보드 건전지입니다. 보통 5년에 한 번 정도는 교체해주는 게 좋은데, 이걸 너무 오래 방치하면 부팅할 때 ‘삐삐빅’ 하는 경고음이 울리거나 아예 부팅이 안 될 수도 있어요.
메인보드에 들어가는 건전지는 대부분 CR2032 타입이라 다이소나나 온라인 쇼핑몰등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이걸 새 걸로 바꿔주면 날짜나 시간이 리셋되는 일도 없고, BIOS 설정도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건전지를 교체한 김에 CPU 온도도 같이 점검해보면 좋아요. 평소보다 온도가 높았던 경우, 건전지를 갈고 나서 온도가 눈에 띄게 내려가는 걸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대체로 30도 후반~40도 초반이면 적정 온도예요.
결국 이런 작은 점검과 정비가 컴퓨터의 성능을 유지하고 수명을 늘리는 데 큰 역할을 하니까, 이번 기회에 쿨러나 써멀구리스 정비와 함께 건전지도 한번 꼭 확인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고장 나기 전에 챙기는 게 가장 저렴하고 확실한 방법이니까요.
FAQ
오래된 하드디스크에서 나는 ‘윙~’ 소리는 고장 신호인가요?
하드디스크에서 반복적인 회전음이나 ‘윙~’, ‘삐익’ 소리가 들리는 경우 베어링 마모, 헤드 이동 불량, 또는 전원 공급 이상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데이터 백업을 우선 진행한 뒤, CrystalDiskInfo를 통해 ‘주의’ 또는 ‘나쁨’ 상태인지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소음이 점차 심해질 경우, 예방 차원에서 교체를 고려해야 합니다.
써멀 구리스는 얼마나 자주 교체해야 하나요?
일반적인 써멀 구리스는 2~3년마다 재도포가 권장됩니다. 구리스가 마르면 CPU 온도가 10도 이상 상승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팬 소음이 커지고 성능 저하가 발생합니다. 특히 5년 이상 된 PC는 구리스 상태를 점검한 후 재도포하는 것이 좋습니다.
CPU 팬만 교체하면 모든 소음이 해결되나요?
CPU 팬 교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지만, 파워 서플라이 팬, 그래픽카드 팬, 케이스 팬도 소음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소음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한 후 필요한 부품만 교체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이때 손으로 팬을 잠깐 멈춰보는 것으로 진원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냉식 쿨러는 소음이 더 조용한가요?
수냉식 쿨러는 일반적으로 공랭보다 정숙하지만, 펌프 진동, 냉각수 소리, 라디에이터 팬 소음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저가형 수냉 쿨러는 공랭보다 오히려 시끄러운 경우도 있으므로, 브랜드와 후기 확인이 필요합니다.
CPU 쿨러를 바꿔도 부팅 시 삐삐 소리가 납니다. 원인은?
CPU 쿨러 이상과는 별개로 메인보드 배터리(CR2032) 부족, RAM 접촉 불량, 그래픽카드 미장착, CMOS 설정 문제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삐소리의 횟수와 패턴을 통해 원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보통은 배터리 교체 후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형 PC에도 최신 쿨러 장착이 가능한가요?
대부분의 저가형 쿨러는 AMD(AM3, AM4), Intel(LGA 115x, 1200 등) 규격을 모두 지원합니다. 다만 메인보드 형태나 램 간섭 여부에 따라 설치 공간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쿨러 높이 및 장착 방향을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CPU 팬이 갑자기 멈췄다가 다시 도는 증상은 왜 발생하나요?
BIOS 또는 UEFI에서 설정된 팬 동작 조건(예: 50도 이상 시 회전)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는 저소음 모드를 위한 정상적인 동작일 수 있으나, 팬이 전혀 돌지 않거나 끊기듯이 작동하면 PWM 제어 오류나 팬 커넥터 접촉불량일 수 있으므로 점검이 필요합니다.
쿨러 교체 시 팬 속도 조절은 어떻게 하나요?
메인보드 BIOS 또는 Windows용 팬 제어 프로그램(예: Fan Control, ASUS Q-Fan 등)을 이용해 RPM 곡선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정숙하게 만들고 싶다면 저소음 프로파일을 설정하거나 PWM 기반 팬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팬 소음이 크지만 온도는 정상입니다. 이럴 땐 어떻게 하나요?
온도는 정상인데 팬이 과하게 도는 경우는 팬 RPM 설정 문제일 수 있습니다. BIOS 설정에서 팬 회전 기준 온도나 최저 RPM을 조정해 보세요. 특히 ‘Always Full Speed’ 모드가 켜져 있다면 소음이 심할 수 있습니다.
팬 교체 비용과 공임은 얼마인가요?
기본 공랭 쿨러는 제품 자체가 7,000원 ~ 20,000원 사이이며, 직접 교체하면 공임은 0원입니다. 하지만 PC방이나 매장에 맡기는 경우 약 2~3만원의 공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써멀 구리스 포함 여부도 확인하세요.
메인보드 및 CPU 참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