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오피스 FPP OEM DSP LTSC PKC ESD M365 차이가 뭘까?

1. MS 오피스 같은 제품인데 가격이 왜 다를까?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피스를 구매하려고 검색해보면 같은 제품인데도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어떤 곳에서는 몇만 원에 판매되는데, 공식 스토어나 대기업 온라인몰에서는 몇십만 원을 호가하기도 하죠.

이런 가격 차이는 단순히 “싸게 파는 곳”과 “비싸게 파는 곳”의 차이가 아니라 라이선스 종류에 따른 차이입니다. MS 오피스는 사용 목적과 계약 방식에 따라 다양한 라이선스 형태로 판매되며, 각 라이선스마다 이전 설치 가능 여부, 정품 인증 방식, 가격 차이, 사용 기기 수 제한 등이 다릅니다.

MS 오피스365 학생 교육용 무료 다운로드 설치방법 5

오늘은 FPP, OEM, DSP, LTSC, PKC, ESD, M365 등 MS 오피스의 다양한 버전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어떤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지를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MS 오피스 라이선스 종류별 차이점 비교

MS 오피스는 크게 영구 사용 가능 라이선스구독형 라이선스로 나뉩니다.

라이선스 유형특징설치 가능 기기이전 설치 가능 여부정품인증 방식가격추천 대상
FPP (Full Package Product)실물 패키지(USB/DVD) 포함1대O (제한 없음)제품 키 인증비쌈개인, 기업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PC에 기본 설치된 버전1대X (해당 PC에서만 사용)자동 인증저렴PC 구매자
DSP (Delivery Service Pack)OEM과 유사, PC 변경 불가1대X자동 인증저렴특정 PC 전용
LTSC (Long-Term Servicing Channel)기업용 볼륨 라이선스여러 대 가능OKMS 또는 MAK 인증비쌈기업, 기관
PKC (Product Key Card)제품 키만 포함된 박스 형태1대O (제한 있음)MS 계정 인증중간개인, 학생
ESD (Electronic Software Distribution)이메일로 제품 키 전송1대O (제한 있음)MS 계정 인증저렴개인
M365 (Microsoft 365, 구독형)월/연 단위 구독, 최신 버전 사용 가능최대 5대 (플랜별 차이 있음)O계정 로그인 인증비쌈지속 업데이트 필요한 사용자

각 라이선스별 특징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3. MS 오피스 라이선스 상세 비교

1) FPP (Full Package Product) – 정품 패키지 제품

FPP는 가장 전통적인 방식의 라이선스로, 실물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보통 DVD 또는 USB 형태의 설치 미디어와 제품 키가 함께 들어 있습니다.

🔹 특징

  • 자유로운 이전 설치 가능 (PC 변경 시에도 재설치 가능)
  • 정품 패키지로 안정성이 높음
  • 분실 시 재발급 불가

🔹 추천 대상

  • PC를 자주 교체하는 사용자
  • 안정적인 정품 보증을 원하는 개인 및 기업

🔹 단점

  • 가격이 비쌈
  • 패키지 자체를 분실하면 제품 키도 함께 분실됨

2)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 PC 번들 라이선스

OEM 버전은 주로 노트북이나 PC를 새로 구매할 때 함께 제공되는 오피스 라이선스입니다.

🔹 특징

  • PC 제조업체에서 사전 설치하여 제공
  • 특정 PC에서만 사용 가능, 다른 PC로 이전 불가
  • 하드웨어 변경(메인보드 교체 등) 시 정품 인증 불가

🔹 추천 대상

  • PC와 함께 오피스를 저렴하게 구매하려는 사용자
  • 장기적으로 같은 PC를 사용할 예정인 경우

🔹 단점

  • PC 변경 시 라이선스 이전 불가
  • 하드웨어 변경 시에도 다시 구매해야 함

3) DSP (Delivery Service Pack) – OEM과 유사한 버전

DSP는 OEM과 비슷하지만, 별도로 구매 가능한 버전입니다.

🔹 특징

  • 특정 PC에서만 사용 가능 (이전 설치 불가)
  • 가격이 저렴함

🔹 추천 대상

  • 특정 PC에만 설치할 예정인 사용자
  • 비용을 절약하려는 개인 및 기업

🔹 단점

  • 다른 PC에서 사용할 수 없음
  • 하드웨어 변경 시 인증 불가

4) LTSC (Long-Term Servicing Channel) – 기업용 볼륨 라이선스

LTSC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많이 사용하는 라이선스입니다.

🔹 특징

  • 다수의 PC에서 사용 가능
  • 기업용 볼륨 라이선스로 관리가 편리
  • 영구 사용 가능

🔹 추천 대상

  • 기업, 학교, 공공기관 등 여러 대의 PC에서 오피스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 단점

  • 일반 소비자는 구매 불가
  • 가격이 비쌈

5) PKC (Product Key Card) – 제품 키 카드 형태

PKC는 실물 패키지가 있지만, 설치 미디어(USB, DVD)가 포함되지 않은 제품입니다.

🔹 특징

  • 제품 키와 다운로드 링크만 제공됨
  • PC 변경 가능하지만, 인증 제한 있음

🔹 추천 대상

  • 간단한 방법으로 정품을 구매하려는 사용자
  •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오피스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

🔹 단점

  • 이메일 인증 필수 (이메일 분실 시 사용 불가)

6) ESD (Electronic Software Distribution) – 다운로드 전용

ESD는 인터넷을 통해 제품 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가장 빠르고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라이선스입니다.

🔹 특징

  • 실물 없이 제품 키만 이메일로 제공
  • 가격이 저렴한 편
  • 라이선스 관리가 어려움

🔹 추천 대상

  • 저렴한 가격으로 정품을 사용하려는 개인
  • 빠르게 설치가 필요한 경우

🔹 단점

  • 분실 시 재발급 불가
  • 불법 판매 제품이 많아 주의 필요

7) M365 (Microsoft 365) – 구독형 오피스

M365는 월간 또는 연간 요금을 내고 최신 오피스를 사용할 수 있는 구독형 서비스입니다.

🔹 특징

  • 최신 버전으로 자동 업데이트됨
  • 여러 기기에서 동시 사용 가능 (최대 5대)
  • OneDrive 클라우드 저장소 제공

🔹 추천 대상

  • 최신 기능을 계속 사용하고 싶은 사용자
  • 여러 기기에서 오피스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 단점

  • 지속적으로 요금을 지불해야 함

4. 결론 – 어떤 버전을 선택해야 할까?

  • PC를 자주 바꾼다면? → FPP, M365
  • 가장 저렴하게 오피스를 사용하고 싶다면? → OEM, DSP, ESD
  • 기업에서 여러 대의 PC에서 사용해야 한다면? → LTSC
  • 최신 버전을 계속 사용하고 싶다면? → M365

💡 MS 오피스 구매 시 너무 저렴한 제품은 불법일 가능성이 높으니, 반드시 정품 인증이 가능한 제품을 구매하세요!

참고 : 윈도우11 라이센스 FPP, ESD, DSP OEM, RETAIL 특징

MS 오피스 라이선스 차이 Q&A

Q1. OEM과 DSP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윈도우11 라이센스 FPP ESD DSP OEM RETAIL 특징 1

OEM과 DSP는 거의 동일한 라이선스 형태입니다.

  • OEM은 PC 제조사가 설치해서 제공하는 형태이며, 해당 PC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 DSP는 별도로 구매할 수 있지만, 한 번 설치한 PC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OEM과 동일합니다.

📌 공통점: PC 변경 불가, 특정 PC에 종속됨
📌 차이점: OEM은 PC 제조사가 제공하는 버전, DSP는 개인이 직접 구매 가능

Q2. PKC와 ESD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PKC(Product Key Card)와 ESD(Electronic Software Distribution)는 모두 다운로드 방식이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 PKC는 실물 패키지(박스) 안에 제품 키가 포함된 형태로, 오프라인에서도 구매할 수 있습니다.
  • ESD는 이메일로 제품 키를 전송받는 형태이며, 실물이 없습니다.

📌 공통점: 둘 다 다운로드 방식, 제품 키 입력 후 설치 가능
📌 차이점:

  • PKC: 실물 패키지 제공, 제품 키 카드 포함
  • ESD: 이메일로 제품 키 전송, 실물 없음

Q3. MS 오피스 2021과 Microsoft 365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MS 오피스 2021은 영구 라이선스, Microsoft 365는 구독형 라이선스입니다.

  • MS 오피스 2021: 한 번 구매하면 평생 사용 가능, 업데이트 없음
  • Microsoft 365 (M365): 월 또는 연 단위 구독, 최신 버전 지속 업데이트 가능

📌 공통점: 오피스 기본 앱(Word, Excel, PowerPoint 등) 포함
📌 차이점:

  • MS 오피스 2021: 영구 사용 가능, 기능 업데이트 없음
  • M365: 지속적인 기능 업데이트, OneDrive 클라우드 제공, 여러 기기에서 사용 가능

Q4. 볼륨 라이선스(LTSC)와 일반 오피스(FPP, ESD) 차이는?

LTSC(Long-Term Servicing Channel)는 기업 및 기관용 라이선스로, 다수의 PC에서 사용 가능하며 장기적인 지원을 제공합니다.

📌 공통점: 기본적인 오피스 기능 제공
📌 차이점:

  • LTSC: 기업, 학교, 기관에서 다량 구매 가능, 기능 업데이트 없음, 영구 라이선스
  • FPP/ESD: 개인용 라이선스, 최신 업데이트 적용 가능

Q5. 너무 저렴한 MS 오피스는 정품인가요?

대부분 불법 라이선스일 가능성이 큽니다.

인터넷에서 정상 가격보다 지나치게 저렴한 ESD나 PKC 라이선스는 불법으로 유통되는 제품 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의할 점

  • 저가 제품은 불법 볼륨 라이선스를 개별 판매하는 경우가 많음
  • 구매 후 몇 개월 뒤 정품 인증이 취소될 가능성이 있음
  • 공식 판매처(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대형 유통업체)에서 구매하는 것이 안전함

Q6. 정품 인증 방법이 다른가요?

라이선스별 정품 인증 방식이 다릅니다.

라이선스 유형정품 인증 방식
FPP, PKC, ESDMS 계정 로그인 후 제품 키 인증
OEM, DSPWindows 자동 인증 (초기 설치 PC에서만 가능)
LTSC (볼륨 라이선스)KMS 또는 MAK 인증
M365계정 로그인 후 클라우드 인증

🔹 KMS (Key Management Service): 기업 내부 서버를 통해 정품 인증
🔹 MAK (Multiple Activation Key): 인터넷 또는 전화로 인증

Q7. MS 오피스를 여러 대의 PC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

라이선스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 1PC에서만 사용 가능: FPP, ESD, PKC, OEM, DSP
  • 여러 대 사용 가능: M365(최대 5대), LTSC(볼륨 라이선스)

📌 가정에서 여러 대의 PC에서 사용하려면?
👉 M365 Family (최대 6명, 최대 5대 동시 사용 가능)

📌 기업에서 여러 PC에서 사용하려면?
👉 LTSC 볼륨 라이선스

Q8. 기업에서 FPP나 ESD를 사용해도 되나요?

기업에서는 원칙적으로 볼륨 라이선스(LTSC)를 사용해야 합니다.
개인용 오피스(FPP, ESD)를 기업에서 사용하면 MS의 라이선스 정책을 위반하는 것이므로, 반드시 Open License나 LTSC를 구매해야 합니다.

Q9. M365(구독형)와 일반 영구 라이선스 중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요?

필요한 기능과 예산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M365 추천 대상

  • 최신 기능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싶은 경우
  • 여러 기기에서 동시 사용해야 하는 경우
  • 클라우드 저장소(OneDrive 1TB)가 필요한 경우

MS 오피스 2021 (영구 버전) 추천 대상

  • 한 번 구매 후 추가 비용 없이 사용하고 싶은 경우
  • 최신 업데이트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Q10. M365 Personal과 Family의 차이는?

M365 Personal은 개인용, Family는 가족용(최대 6명)입니다.

버전사용자 수설치 가능 기기 수가격
M365 Personal1명5대저렴
M365 Family최대 6명각 사용자당 5대비쌈

📌 가족이 함께 사용한다면 M365 Family가 가성비가 더 좋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