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애드센스 미국 세금정보 납세자 식별번호 TNI

유튜브 애드센스 수익에 대해서 올해 말 2021년 6월부터 구글에서 의무적으로 미국 외 지역 크리에이터의 애드센스 수익에 대한 미국세금을 공제한다고 합니다. 내용을 정리하면 미국 외 유튜브 크리에이터의 지급액에서 미국 애드센스 세금신고을 공제하는데 적용 대상인 크리에이터들은 애드센스 세금정보 납세자 식별번호 TNI를 제출해야 합니다.

만약 제출을 하지 않는다면 구글에서 전 세계 애드센스 수익의 최대 24%를 공제해야 하기 때문에 유튜브 광고수익이 미국 내에서 이루어지지 않더라고 꼭 등록하느것이 좋습니다.

유튜브 애드센스  30% 세금 부과

구글 애드센스 유튜브 국내 미국세금 30 부과 12

여기서 등록시에 미국 세금정보에 대해 납세자 식별번호 TNI 등을 입력하라고 나오는데 과연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 애드센스 유튜브 미국 세금신고 30% 부과

유튜브 납세자 식별번호 TNI

구글 애드센스 유튜브 국내 미국세금 30 부과 1

납세자 식별번호는 쉽게말하면 개인사업자의 경우 사업자 번호를 발급받게 되는데 해당 사업자 번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구글 애드센스 유튜브 국내 미국세금 30 부과 2

간혹 주민등록번호나 여권번호등을 입력하는 경우가 있는데 개인사업자의 경우 신청 시 5분도 걸리지 않기 때문에 개인사업자등록을 통해 사업자번호를 발급받아 등록하느것이 좋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유튜브 국내 미국세금 30 부과 3

사업자등록증이 없는 개인의 경우 -> 국세청 홈택스에서 간이과세로 개인사업자 등록 신청 -> 미국 세금정보 제출 시 TIN에 사업자등록번호 입력합니다.

  • 사업자등록증이 있는 개인 -> TIN에 사업자등록번호 입력
  • 법인 사업자 -> TIN에 사업자등록번호 입력

세금양식 W-88EN W-ECI 선택 방법

구글 애드센스 유튜브 국내 미국세금 30 부과 4
  • W-88EN : 개인사업자
  • W-ECI : 법인사업자

유튜브 원천징수 공제비율

  • 세금 양식 제출을 하지 않는 경우 : 유튜브 광고 수익금 전체의 24%를 공제
  • 제출했으나 TIN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미국 내 유튜브 광고수익 중 30%를 공제
  • 제출했고 TIN을 입력한 경우, 미국내 유튜브 광고수익 중 10% 공제

구글 애드센스 유튜버 미국 세금정보 등록

구글 애드센스 유튜브 국내 미국세금 30 부과 5

애드센스 홈페이지로 접속하면 세금정보 관리 알림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미국 세금정보에 대해 개인과 법인 중 선택합니다.

미국 시민인지 거주하고 있는지 선택합니다.

W-8 세금 양식을 선택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유튜브 국내 미국세금 30 부과 7
  • W-88EN : 개인사업자
  • W-ECI : 법인사업자
구글 애드센스 유튜브 국내 미국세금 30 부과 8

세금 ID에 대한 개인 이름과 상호 시민권, 외국인 TIN 등을 입력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유튜브 국내 미국세금 30 부과 9

만약 개인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아 사업자번호가 없거나 상호가 없는 경우는 입력하지 않고 넘어갑니다.

조세조약에 따라 원천징수 세율을 신청 유무를 체크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유튜브 국내 미국세금 30 부과 10

이렇게 작성된 개인사업자  W-88EN의 기본 양식을 확인하고 문제가 없다면 완료합니다.

최종 서명으로 실명을 입력 후 본인 확인을 체크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유튜브 국내 미국세금 30 부과 11

이것으로 미국 세금정보 등록에 대해 승인이 완료되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