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팅 없이 C드라이브 포맷할 수 있는 방법은? SSD HDD 정밀포맷 및 바이러스 모든것
요즘 PC 속도가 갑자기 느려지거나 저장장치의 반응이 둔해지는 경험을 해본 적 있다면, 단순한 삭제나 빠른 포맷만으로는 문제 해결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계실 겁니다. 특히 **하드디스크(HDD)**는 물론이고,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SSD조차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성능 저하를 겪기 마련입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정밀포맷(로우포맷)’입니다. 빠른 포맷은 파일 시스템만 초기화해 일시적으로 속도를 개선하는 수준이라면, 정밀포맷은 실제 저장 영역까지 깊게 초기화하여 읽기/쓰기 속도 개선과 잠재적 오류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최근에는 삼성, WD, Seagate 등 주요 제조사에서도 공식 툴을 통해 정밀 포맷 기능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고장 원인 진단 및 수명 확인 기능까지 함께 제공하고 있어 더욱 실용적입니다.
특히 SSD의 경우 빠른포맷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바이러스 감염이나 악성코드 의심이 있다면 정밀포맷이나 Secure Erase 기능을 권장하는 것이현재 기준에서도 전문가들의 공통된 입장입니다.
그 이유는 포맷창을 실행하기 위해 윈도우를 실행했을 때 이미 C드라이브가 사용 중이므로 해당 드라이브를 삭제시에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운영체제와 충돌이 일어나기 때문이며 실제로 C드라이브를 정밀 포맷하는 방법은 3가지방법 에 대해 알아보겠으며 포맷 전 주의사항을 참고하세요
주의사항 항목 | 설명 |
---|---|
중요 파일 백업 | C드라이브에 저장된 개인 문서, 사진, 작업 파일 등을 외장하드나 클라우드에 백업 |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 확인 | 재설치가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기록해두면 설치 후 빠르게 복원 가능 |
Windows 제품 키 확인 | 윈도우 재설치 시 정품 인증을 위해 제품 키 확인 필수 |
드라이버 백업 | 네트워크, 프린터 등 필수 드라이버를 미리 백업 |
부팅 디스크 또는 설치 USB 준비 | C드라이브 포맷 후 재설치를 위한 USB 또는 DVD 필수 준비 |
사용 중인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확인 | 포맷 후 재인증이 필요한 유료 프로그램의 라이선스 키 확인 |
클라우드 동기화 확인 | OneDrive, Google Drive 등 클라우드 서비스가 동기화됐는지 확인 |
이메일/브라우저 설정 백업 | Outlook 설정, 즐겨찾기, 비밀번호 등 브라우저 및 메일 백업 |
BIOS 부팅 순서 확인 | USB 부팅을 위해 BIOS에서 부팅 순서를 변경해야 할 수 있음 |
파티션 구조 확인 | 여러 개의 파티션이 있을 경우 포맷 대상 확인 필수 |
기본적으로 윈도우가 구동중인 주 파티션인 C드라이브 포맷은 불가능합니다.
C드라이브 포맷 삭제방법 3가지
방법 | 준비물 | 장점 | 단점 | 적합한 사용자 |
---|---|---|---|---|
하드디스크 & SSD 분리 후 다른 PC의 서브 HDD로 장착 후 포맷 | 별도 PC, SATA 케이블 또는 외장 어댑터 | 정밀 포맷 가능, 다른 디스크 영향 없음 | 하드웨어 지식 필요, 분해/장착 번거로움 | 여분의 PC가 있는 사용자, 고급 사용자 |
D드라이브에 윈도우 임시 설치 후 C드라이브 포맷 | 설치 USB, 여유 저장공간(D 드라이브) | 하나의 PC에서 가능, 물리 분해 필요 없음 | 임시 윈도우 설치 번거로움, 시간 소요 | 세컨드 드라이브 여유공간 있는 사용자 |
C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분리 후 다른 PC에 외장 케이스 등으로 연결 | 외장 HDD 케이스 또는 SATA to USB 케이블 | 휴대성과 연결 편리, 다른 OS에서도 포맷 가능 | 포맷 속도 다소 느릴 수 있음 | 노트북 사용자, 외장 장비 활용자 |
그렇기 때문에 C드라이브 포맷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모드에서는 불가능 하며 초보자도 쉽게 C드라이브의 파일 및 폴더 등 모든 데이터를 빠르게 삭제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분해 후 다른PC 서브 HDD 교체 후 포맷
윈도우가 설치되어 구동중인 C드라이브는 윈도우에서 포맷이 불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D드라이브 등 MS-DOS 설치해서 도스로 부팅 후 FORMAT C:/Q 눌러 C드라이브를 포맷할 수 있으며 이후 프리도스 상태의 컴퓨터에 USB 부팅디스크를 통해 새롭게 설치합니다.
다른방법은 C드라이브 파티션을 분리 후 다른 PC의 서브 하드디스크로 삽입해서 포맷을 한 뒤 다시 컴픂터에 장착하는 방법입니다.
윈도우10 초기화 C드라이브 삭제
여기서 기존에 기존 데이터를 삭제 하지 않으면서 윈도우10 초기화하는 방법이 아닌 기존에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는것으로 C드라이브 파티션을 삭제하면서 기존에 설치된 윈도우10 운영체제도 함께 제거합니다.
윈도우10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으로 들어갑니다.
왼쪽 업데이트 미및 보안 탭에서 “복구“를 선택합니다.
이 PC를 초기화를 선택하면 윈도우가 설치된 파티션을 포맷하면서 기존에 설치된 윈도우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옵션에는 2가지 선택지가 존재합니다.
- 내 파일 유지
- 앱이나 설정을 제거하지만 개인파일을 유지한채 삭제하는 방법
- 모든 항목 제거
- 개인 파일 및 앱 설정을 모두 제거하는 방법
여기서 2번째 “모든 항목 제거“를 선택합니다.
현재 설치된 PC를 초기화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아래 3가지 데이터가 모두 포맷됩니다.
- 이 PC의 모든 개인 파일 및 사용자 계정 삭제
- 이 PC와 함께 제공되지 않는 모든 앱 및 프로그램 삭제
- 설정에 대한 모든 변경사항 삭제
초기화 버튼을 눌러주면 컴퓨터가 재부팅되면서 윈도우가 설치된 C드라이브 포맷이 진행됩니다.
포맷이 진행 된 뒤로는 데이터 복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드라이브를 포맷하기전에 미리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하느것을 추천합니다.
윈도우10 USB 부팅디스크 C드라이브 삭제
윈도우 설치를 위한 USB 부팅디스크를 삽입한 채로 컴퓨터를 부팅합니다.
설치는 크게 두가지의 선택지가 있습니다.
- 기존 윈도우를 삭제하지 않고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 기존 윈도우를 삭제하고 새로 설치하는 사용자 지정
이때 C드라이브 포맷을 하고 싶다면 사용자 지정 : Winodws만 설치 (고급)을 선택합니다.
c드라이브 파티션을 선택하면 해당 파티션을 삭제하거나 포맷할 수 있으며 새롭게 파티션을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설치를 하지 않더라도 C드라이브 포맷 선택해도 됩니다.
- 윈도우를 설치할 드라이브를 선택 후 포맷(F) 버튼을 눌러 파티션 샂게할 수 있습니다.
- 윈도우를 설치할 주 파티션 / 시스템 파티션을 선택 후 포맷을 눌러주면 모든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 다음 하단의 다음버튼을 눌러 윈도우10을 설치합니다.
c드라이브 파티션을 삭제했다면 후 윈도우 설치를 진행합니다.
파티션에는 컴퓨터 제조업체의 중요한 파일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들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파티션을 포맷 하면 여기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가 손실됩니다. |
윈도우10 설치 후 설정방법
기존에 사용하던 윈도우10 삭제되고 새롭게 설치된 윈도우로 거주하는 국가 및 지역을 설정하고 로그인하고자 하는 윈도우10 사용자계정을 설정합니다.
추가로 로그인시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것으로 윈도우10 보안설정을 하느것을 추천합니다.
이것으로 기존에 윈도우10 삭제 및 c드라이브 포맷을 한 다음 새롭게 윈도우10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FAQ
포맷 전 반드시 해야 할 백업 리스트는 어떤 것이 있나요?
포맷 전에는 문서, 사진, 동영상 등의 개인 파일뿐만 아니라 브라우저 북마크, 이메일 계정 설정, 윈도우 제품 키, 드라이버 목록, 게임 세이브 파일 등도 백업해야 합니다. 특히 Google Drive, OneDrive, 외장 하드, 클라우드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중복 백업해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SSD도 자주 포맷하면 수명에 영향을 주나요?
네, SSD는 플래시 메모리 기반 저장장치로 쓰기 횟수에 수명이 제한됩니다. 자주 포맷하거나 대용량 파일을 반복 삭제·복사하면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가능한 한 포맷은 꼭 필요할 때만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는 걱정할 수준은 아닙니다.
포맷 후에도 복구 가능한가요? 완전히 삭제하는 법은?
빠른 포맷은 데이터를 논리적으로만 삭제하기 때문에 복구 프로그램으로 일부 복원이 가능합니다.
완전히 삭제하고 싶다면 SSD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Secure Erase 기능이나 디스크 덮어쓰기(제로필, DoD 방식) 를 지원하는 전문 툴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Windows 설치 없이도 포맷이 가능한가요?
네, Windows 설치 USB, 리눅스 Live USB, diskpart 명령어, 또는 서드파티 파티션 관리 도구 (ex. GParted, EaseUS) 를 이용하면 윈도우 설치 없이도 포맷이 가능합니다.
포맷만 필요한 경우는 설치 진행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정밀포맷과 빠른포맷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정밀포맷은 섹터 단위의 배드섹터 검사와 초기화까지 수행해 물리적인 오류 점검이 가능합니다.
빠른포맷은 파일 테이블만 초기화하는 방식으로 빠르지만, 실제 데이터는 남아 있습니다. 성능 회복이나 문제 해결이 목적이라면 정밀포맷이 적합합니다.
포맷하면 바이러스도 삭제되나요?
대부분의 경우 포맷은 바이러스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다만, 일부 바이러스나 루트킷은 MBR, EFI 파티션, 펌웨어 영역에 숨어있을 수 있어 완전 삭제를 위해서는 디스크 전체 초기화(Secure Erase) 를 권장합니다.
부팅디스크 없이 C드라이브만 포맷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부팅디스크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C드라이브는 OS가 작동 중이기 때문에 현재 부팅된 시스템에서 자기 자신을 포맷할 수 없습니다.
방법 | 설명 | 장점 | 단점 |
---|---|---|---|
1. 윈도우10 초기화 (모든 항목 제거) |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복구 > 이 PC 초기화 에서 “모든 항목 제거” 선택 | 포맷과 유사한 수준으로 사용자 파일/앱 제거 | 시스템 파티션은 삭제되지 않음 |
2. 명령 프롬프트 (재설치 없이 파티션 삭제 시도) | Shift + 재시작 후 고급 옵션 > 명령 프롬프트에서 diskpart 실행 | 파티션 삭제 가능 | 일부 시스템 영역은 삭제 제한 |
3. 다른 PC에 C드라이브 SSD 연결 후 포맷 | 해당 SSD를 다른 PC에 연결해 포맷 수행 | 완전한 포맷 가능 | 다른 PC 필요, 약간 번거로움 |
꼭 USB 설치 디스크나 다른 OS로 부팅해야 포맷이 가능합니다.
포맷한 드라이브에 윈도우 설치가 안될 때 해결법은?
포맷 후에도 설치 오류가 난다면, 다음 항목을 점검해보세요.
- BIOS 설정에서 부팅 순서 확인
- 드라이브를 GPT 또는 MBR 형식으로 초기화
- 설치 도중 “드라이브를 찾을 수 없음” 메시지 → SATA 모드 변경 (AHCI/IDE)
- 다른 USB 포트 또는 USB 2.0으로 변경
윈도우 설치 후 속도가 빨라졌는데 이유가 뭔가요?
포맷과 재설치를 통해 불필요한 프로그램, 드라이버 충돌, 레지스트리 오류, 백그라운드 작업 등이 모두 제거되기 때문에 속도가 빨라지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SSD는 특히 초기화 후 성능이 눈에 띄게 좋아질 수 있습니다.
정밀포맷 도중 멈추거나 오류가 날 경우 어떻게 하나요?
정밀포맷 도중 멈춘다면 디스크에 물리적 손상이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제조사 | 진단 툴 & 다운로드 | 주요 기능 및 사용법 | 국내 데이터 복구 평균비용※ |
---|---|---|---|
삼성 | Samsung Magician | • S.M.A.R.T 상태 진단 • 벤치마크, 펌웨어 업데이트 • Secure Erase (공장 초기화) 사용법: 설치 후 GUI 실행 → ‘진단’, ‘성능’, ‘Secure Erase’ 메뉴에서 기능 선택 | 소프트웨어 무료 / 논리 복구 약 20만 – 40만원 물리 복구 없음 (외부 업체 이용) |
WD | WD Data Lifeguard Diagnostic | • HDD/SSD S.M.A.R.T 검사 • 배드 섹터 스캔 및 수리 사용법: 설치 후 ‘Quick Test’ 또는 ‘Extended Test’ 실행 | 소프트웨어 무료 / 논리 복구 약 20만 ~ 40만원 물리 복구 약 40만 – 90만원 |
Seagate | SeaTools | • Windows용 GUI 및 USB 부팅 진단 • S.M.A.R.T 확인, Long Test, Full Erase 사용법: Windows 버전 설치 또는 Bootable USB로 부팅 후 도구 실행 | 소프트웨어 무료 / 논리 복구 약 20만 – 40만원 물리 복구 약 40만 – 90만원 |
※국내 기준, 논리(파일 시스템 문제 등) 및 물리(헤드·미디어 손상) 복구 비용은 평균치입니다. 실제 비용은 업체 및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제조사 진단 도구(Samsung Magician, WD Lifeguard, Seagate Tools 등)로 점검하고, 심각한 경우 교체를 고려해야 합니다.
C드라이브 포맷은 내가 한 건지, 다른 컴퓨터에서 포맷한 건지 어떻게 구분하나요?
C드라이브를 직접 포맷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컴퓨터에 서브 디스크(보조 디스크)로 연결해 포맷한 것인지는 사용자가 작업한 환경과 포맷 방식에 따라 다릅니다.
가장 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포맷 당시 부팅 방식입니다.
- 내 PC에서 포맷: 부팅디스크를 이용해 직접 C드라이브를 포맷.
- 다른 PC에서 포맷: C드라이브를 보조 디스크로 연결 후 포맷.
다른 PC에서 포맷하면 해당 드라이브는 ‘C드라이브’가 아니라 D, E 등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구분이 가능합니다.
바이러스 걸린 C드라이브는 정밀포맷이 꼭 필요한가요?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인 바이러스 감염은 포맷 또는 OS 재설치만으로 제거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라면 정밀포맷(제로필/섹터 초기화) 이 권장됩니다:
- 감염 범위가 전체 디스크로 퍼졌을 경우
- 루트킷 또는 부트 섹터 바이러스가 의심될 때
- 기업용 보안 수준이 요구될 경우
- 중고 판매 전 완전 삭제 목적
일반적인 가정 사용자라면 USB 부팅 후 C드라이브 빠른포맷 + 새 윈도우 설치만으로도 대부분 해결됩니다.
바이러스 걸린 SSD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면 전염될 수 있나요?
일반적인 경우에는 운영체제가 해당 디스크에서 자동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감염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과 같은 경우 감염 가능성이 있습니다.
- SSD에 자동 실행되는 악성코드(AutoRun.inf) 가 있는 경우
- 연결 후 사용자가 무심코 실행 파일을 실행했을 경우
- 디스크에 있던 감염된 백업 파일을 새 PC로 복사한 경우
따라서, 다른 PC에 연결하기 전 반드시 백신 프로그램으로 전체 검사를 권장합니다.
정밀포맷과 빠른포맷 중 바이러스 제거에 더 효과적인 방식은?
- 빠른포맷: 파일 테이블만 지우며 데이터는 남아 있음 → 일부 바이러스 흔적이 남을 수 있음
- 정밀포맷: 전체 섹터를 초기화 → 바이러스, 루트킷까지 완전 삭제 가능
특히 MBR(부트 영역)에 숨어 있는 부트 바이러스의 경우, 정밀포맷이나 Secure Erase 기능이 필요합니다.
SSD는 정밀포맷이 불가능하다는데 정말인가요?
맞습니다. SSD는 플래터 구조가 아닌 플래시 메모리 기반이기 때문에, 로우레벨 포맷(Low Level Format)은 불가능하며 잘못 사용 시 수명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대신 SSD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Secure Erase 기능이나 TRIM 명령어를 사용해 불필요한 데이터를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 삼성: Samsung Magician
- 마이크론/Crucial: Storage Executive
- WD/SanDisk: Dashboard
- 킹스톤: SSD Manager
포맷 후에도 재감염되는 경우가 있나요?
예,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포맷 후에도 재감염될 수 있습니다.
- 포맷한 드라이브 외의 다른 드라이브에 바이러스가 남아있을 때
- 백업 파일에 감염된 파일이 포함되어 있을 때
- 포맷 후 설치한 프로그램 설치 파일이나 드라이버에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있을 때
- 네트워크를 통해 악성코드가 다시 유입될 때
항상 포맷 후에는 백신 프로그램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의심 파일은 열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포맷 전 감염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윈도우 디펜더 전체 검사
- 카스퍼스키, ESET, Bitdefender 같은 외부 백신 활용
- 멀웨어바이트(Malwarebytes) 를 통한 고급 악성코드 탐지
- 부팅 가능한 백신 USB로 안전 부팅 후 검사
정밀 검사가 끝난 후 포맷을 하면 복구 불가한 악성코드 문제를 사전에 막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