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세 납부증명서 인터넷 발급 및 조회

재산세 납부는 자신의 주택분에 대산 재산으로서 1년을 절반으로 나눠 7월과 9월 각각 1번씩 두번 납부해야 하는데 납부할 재산세 조회를 통해 납부 후 납부확인을 위한 재산세 납부증명서를 인터넷을 통해 발급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재산세 납부기한은 납부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을 경우 연체료를 추가로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납부기한 내에 납부하느것이 좋으며 납부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재산세 납부증명서 발급 및 납부방법

  • 납부고지서를 가지고 은행에 가져가 납부하기
  • 인터넷 Etax로 접속해서 납부하기
  • 스마트폰을 이용한 재산세 모바일 납부하기

여기서 재산세 납부고지서를 분실한 경우 은행에 가서 납부하느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직접 방문해서 납부할려는 분들은 납부고지서를 잃어버리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재산세 납부기간

  • 재산세 1분기 납부기간
    • 2021년 7월16일 ~ 2021년 7월30일까지
  • 재산세 2분기 납부기간
    • 2021년 9월16일 ~ 2021년 10월5일까지

그리고 인터넷으로 납부를 하더라도 전자납부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는 자신의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면 납부번호를 잃어버렸다고 하더라도 납부하는것이 납부하느것이 가능합니다.

우선 인터넷을 통한 Etax를 통해 납부번호 조회 및 납부방법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참고 : 인터넷을 통한 재산세 납부방법

모바일 앱 재산세 번호 조회

재산세를 스마트폰으로 납부하기 위해서는 2가지 앱이 있습니다.

  1. 스마트 위택스
  2. 서울시 세금납부

여기서 스마트위택스를 설치하면 전자납부를 입력하거나 QR코드를 촬영해 재산세 조회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납부번호를 모른다면 자신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해 로그인해서 조회하면 납부할 전자납부번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저는 공인인증서를 이용해 로그인했으며 이미 등록된 회원으로 “인증서 재등록“을 했습니다.

납부번호를 모르더라도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시 납부해야할 재산세가 조회됩니다.

그에 따른 전자납부번호와 납세번호가 조회되며 그외에도 세목,과세대상,관활자치단체,납세자,납세일등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재산세 납부증명서 인터넷 발급 및 조회

하지만 서울시에 대한 납부건은 해당앱으로 불가능하고 STAX 앱을 통해 진행하라고 합니다.

서울시 STAX 재산세 조회 및 납부방법

서울시 재산세에 대한 주택분을 납부하기 위해 2번째 있던 STAX 앱을 설치합니다.

서울시 STAX 재산세 조회 및 납부방법 1 1
재산세 납부증명서 핸드폰 발급 Stax

서울시 STAX는 서울시 모바일 세금납부 시스템입니다.

서울시 STAX 재산세 조회 및 납부방법 2 1
지방세 납부번호 입력 후 재산세 납부

여기서도 납부번호를 입력해서 조회하거나 QR코드를 이용해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조회결과 재산세 주택으로 납부해야 하는 금액이 조회되며 납부기한은 2021년 10월 31일까지입니다.

재산세 산출내역은 재산세 주택,도시지역분,지역자원시설세,지방교육세 4가지이며 금액이 납부고지서와 동일하다면 납부를 진행합니다.

재산세 모바일 납부를 위해 결제를 진행하더라도 3가지 납부방법이 있습니다.

  • 은행납부
  • 신용카드 납부
  • 간편결제

은행을 선택 후 예금주 주민번호를 입력하면 3가지 인증수당을 걸쳐 납부가 가능합니다.

  1. 문자인증
  2. PASS앱 인증
  3. 공인인증서 인증

이상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재산세 납부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납부한 재산세의 납부내역을 프린터로 출력하거나 PDF로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참고하세요

You may also like...

1 Response

  1. 2022년 11월 3일

    […] 9월: 재산세(토지분) / 환경개선부담금 (경유차) / 교통유발분담금(상업시설)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