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북 부트캠프 윈도우10 다운로드 설치 및 설치실패 오류

애플의 노트북 시리즈인 Mac Book 은 Mac OS X 운영체제를 지원하며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운영체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아이맥이나 맥북의 MacOS에 부트캠프를 통해 윈도우10 설치해서 사용해야 하며 그 외에도 몇가지 방법이 있지만 아직까지는 맥북 부트캠프 윈도우10 설치가 가장 추천하는 방식이며 간혹 부트캠프 설치실패 시 Windows 설치파일 복사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설치오류가 발생한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윈도우11 설치 업그레이드 가능한지 구형PC 확인 3

Mac OSx에 윈도우11, 윈도우10, 윈도우8.1, 윈도우7 등등 설치하기 위해서는 현재 지원하는 각각의 맥북 시리즈를 확인해야 합니다.

맥북 윈도우10 부트캠프 지원 모델

맥북에 부트캠프지원 업데이트가 포함된 버전인 최신 MacOSx 업데이트가 필요하며 부트캠프 설치를 위한 Mac 시동디스크의 저장 여유용량이 64gb 이상 있어야 합니다.

맥북 부트캠프 윈도우10 설치사양

  • Mac에 여유 저장 공간이 64GB만 있어도 되지만 128GB 이상일 때 최상의 환경을 제공하며 Windows 자동 업데이트에는 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많은 공간이 필요합니다.
  • 아이맥 프로 또는 맥북 프로에 128GB 이상의 메모리(RAM)가 있는 경우 시동 디스크에는 Mac에 있는 메모리 이상의 여유 저장 공간이 필요합니다

참고 : 윈도우11 다운로드 및 설치오류 설치실패 참고

MAC OS Bootcamp 부트캠프 설치 준비물

애플 아이맥 2021년 맥 프로 M1 탑재 다양한 컬러출시 3

맥북 & 맥북프로 & 아이맥 등 저장용량이 16gb 이상인 USB 메모리카드가 필요하다고 애플에서는 말하지만 8GB 메모리카드면 충분합니다.

부트캠프에 설치할 윈도우10.ISO 파일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합니다.

윈도우10 Iso 파일 다운로드 마이크로소프트 무료 설치

맥북 MacOSx 부트캠프 윈도우10 설치방법

부트캠프 BootCamp 지원을 사용하여 Windows 파티션 생성

MacOS 단축키 F4 부트캠프 실행
MacOS 단축키 F4 부트캠프 실행

응용 프로그램 폴더의 유틸리티 폴더에 있는 ‘Boot Camp 지원‘을 실행합니다..

맥 부트캠프 윈도우 설치방법 2
  • USB 드라이브를 넣으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면 Mac에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꽂습니다.
  • Boot Camp 지원이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Windows 설치에 필요한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를 생성합니다.
맥 부트캠프 윈도우 설치방법 7
운영체제 파티션 용량 설정
  • Boot Camp 지원에 Windows 파티션 크기를 설정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면 필요한 파티션 공간을 설정합니다.
  • 파티션 크기는 나중에 다시 변경할 수 없으므로 필요한 만큼 충분한 크기의 파티션을 설정합니다.

Windows (BOOTCAMP) 파티션 포맷하기

부트캠프 윈도우10 설치
맥북 시동디스크 부트캠프 윈도우10 설치

Boot Camp 지원이 작업을 마치면 Mac이 Windows 설치 프로그램으로 재시동됩니다.

윈도우 설치 프로그램에 Windows 설치 위치를 지정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면 BOOTCAMP 파티션을 선택하고 ‘포맷‘을 클릭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설치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BOOTCAMP 파티션을 선택하고 포맷합니다.

부트캠프 윈도우10 설치하기
윈도우10 2개 설치

설치 중에 필요하지 않은 외장 기기를 분리합니다. ‘다음‘을 클릭한 후 화면의 지침을 따라 Windows 설치를 시작합니다.

Windows에서 Boot Camp 설치 프로그램 사용하기
맥 부트캠프 윈도우 설치방법 8
부트캠프 부팅순서 변경
  1. Windows 설치가 완료되면 Mac이 Windows로 시동되고 ‘Boot Camp 설치 프로그램 사용을 환영합니다‘라고 표시된 윈도우가 열립니다.
  2. 화면의 지침에 따라 Boot Camp와 Windows 지원 소프트웨어(드라이버)를 설치합니다.
  3. 완료되면 재시동하라는 알림을 확인합니다.

만약 해당포스팅으로 이해가 안간다면 아래 포스팅이 조금더 자세히 포스팅 되어 있습니다.

MacBook Bootcamp USB 윈도우 운영체제 설치방법

이렇게 설치된 윈도우10 KMSAUTONET 이용해 정품인증을 진행합니다.

윈도우10 정품인증 라이센스 크랙 KMSAutoNET 다운로드

설치 후에는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최적화 기능을 통해 설정을 하는것을 추천합니다.

부트캠프 설치실패 Windows 설치파일을 복사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위 방법을 통해 맥북이나 아이맥 등 Apple 제품의 MacOS에 윈도우11, 윈도우10 등을 설치 시 부트캠프 설치실패가 되는 경우 “Windows 설치파일을 복사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라는 오류가 발생하는것에 대해 문제해결방법을 알아봅니다.

부트캠프 설치실패 Windows 설치파일을 복사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우선 윈도우 설치실패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설치파일 복사를 하지 못하는 가장 대표적인 이유로는 MacOS의 파티션과 윈도우 파티션 포맷의 차이가 있습니다.

토렌트나 커스텀된 윈도우를 다운로드 받으면 보통 4GB 이상 보통 6기가 ~ 8GB 정도의 용량을 차지하는데 문제는 MACOS에서는 FAT32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4GB 이상의 가상설치 파일을 읽거나 복사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파티션 포맷 FTA32 ExFat 확장저널링 차이

MacOS 파티션 포맷 후 GUID 파티션 변경
MacOS 파티션 포맷 후 GUID 파티션 변경

FAT32 (File Allocation Table 32)

FAT32는 아주 오래된 파일 시스템으로써, Windows 95에서 FAT16을 대체하기 위해 나온 파일 시스템입니다. 오래된 만큼 macOS를 비롯한 거의 대부분의 기기에서 호환이 되며, 사용이 자유롭습니다. 다만, 단일 전송 파일 용량이 4GB로 제한되기 때문에, 한번에 큰 파일을 전송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호환 : 모든 버전의 Windows, mac, Linux, 게임 콘솔 그리고 USB port가 있는 대부분의 기기
  • 제한 : 4GB 전송 용량 제한, 8TB 최대 파티션 크기 제한

ExFAT

2006년에 나온 파일 시스템으로써 Windows XP와 Vista에 적용되었던 파일 시스템입니다. flash drive에 최적화되게 디자인 되었으며, FAT32보다 파일 용량 제한에 있어 자유로우나 호환성은 줄어든 편입니다. 큰 용량의 파일 전송이 필요하거나 NTFS 포맷보다 더 높은 호환성이 필요할 때 사용하면 유용합니다. 만약, 사용중인 모든 기기들이 exFAT를 지원한다면, FAT32보다 exFAT를 선택하는 편이 더 편리합니다.

  • 호환 : 모든 버전의 Windows, OS X 이상, 추가적인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Linux.
  • 제한 : 없음

macOS Extended (확장 저널링)

최근 High Sierra에 적용된 APFS 파일 시스템 이전의 파일 시스템으로써 OS X의 기본 파일 시스템입니다. 맥 운영체제와의 상호 호환이 매우 뛰어나며, Startup 디스크로도 셋업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입니다. 파일 전송 사이즈에 제한이 없습니다. 하지만, Windows를 구동중인 PC에서는 읽기 작업만 할 수 있으며, 쓰기 작업을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맥에서 Windows로 파일을 이동할 때는 큰 문제가 없지만, Windows에서 맥으로 파일을 전송하고자 한다면 문제가 됩니다. 사용중인 기기 중 맥이 아닌 운영체제를 구동중이라면, 위의 ExFAT나 FAT32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FAT32 File Allocation Table 32 2

가장 먼저 윈도우 설치 시 파티션이 NTFS 및 FTA32로 나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용량이 4GB 이상인 윈도우 설치 시 FTA32 파티션의 경우 4GB 이상 데이터를 읽어들일 수 없기 때문에 윈도우 설치시 파일복사 및 이동 생성등이 불가능해서 오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Windows 설치파일을 복사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윈도우 설치파일을 4GB 이하로 구한다.
  • 맥북 / 아이맥 파티션 포맷을 FAT32 방식이 아닌 NTFS 방식으로 포맷한다.

우선 가장 쉬운건 윈도우 설치파일을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받으면 순정의 경우 4GB 이하를 차지하는걸 받을 수 있습니다.

You may also like...

5 Responses

  1. 2022년 4월 27일

    […] 맥북 부트캠프 윈도우10 다운로드 설치방법 […]

  2. 2022년 6월 7일

    […] 참고 : 맥북 부트캠프 윈도우10 다운로드 설치방법 […]

  3. 2022년 11월 1일

    […] 및 그 이하버전윈도우 서버 모든버전Apple Silicon. M1 Mac에서의 Boot Camp.VMWare, Remote Desktop, Parallels를 비롯한 가상화 시스템LinuxMicrosoft SQ® 1 및 2를 […]

  4. 2022년 11월 20일

    […] 맥북 부트캠프 윈도우10 다운로드 설치방법 […]

  5. 2022년 11월 20일

    […] 맥북 부트캠프 윈도우10 다운로드 설치방법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