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실시간보호 끄기 윈도우디펜더 비활성화

“MS”의 운영체제인 윈도우10은 현재 출시된 윈도우 시리즈중에서 가장 최신버전으로서 멀웨어 및 바이러스등을 체크하는 윈도우10 실시간보호기능 과 윈도우디펜더 기능이 가장 뛰어난 버전으로 항상 활성화시켜놓는것을 추천합니다.

하지만 강력한 방패가 반대로 불편한 경우가 발생하는데 윈도우디펜더나 실시간 보호기능 때문에 원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실행하는데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그런 경우 실시간보호 끄기 및 윈도우 디펜더 비활성화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윈도우보안 & 애플 MacOS 보안

이는 애플의 맥북이나 아이맥등 MacOS에서는 게이트키퍼란 기능과 유사합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 컴퓨터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쇼핑을 하고 결제를 진행하는등 개인정보유출을 막기위해서는 안전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실시간보호 및 윈도우디펜더 기능을 활성화 하느것이 좋습니다.

크랙 바이러스 설치 바이러스 검사

그렇다면 이러한 기능이 보호기능이 문제가 되는 윈도우10 정품인증이나 Adobe CC 2020 크랙등을 설치하고자 할때 해당 크랙파일을 바이러스로 인식해 파일 자체를 삭제해리는 문제로 인해 답답함을 겪는 분들을 위해 실시간보호를 잠시 차단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외부의 바이러스 및 프로그램의 가치를 위해서는 정품 프로그램을 구입하는것이 좋으며 실시간보호 및 윈도우디펜더는 컴퓨터 보안에 매우 중요한 기능이니 잠시 해제후에는 다시 활성화 시키는것이 좋습니다.

윈도우10 바이러스 및 위협방지

윈도우10 바이러스 및 위협방지
바이러스 웹 위험방지

윈도우 시작 -> 바이러스 및 위험방지를 실행합니다.

윈도우10 바이러스 방화벽

그럼 현재 윈도우의 보안상태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현재 계정 보호 및 장치 성능 및 상태 두가지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위험에 노출된 상태입니다.

윈도우10 실시간보호 끄기 윈도우디펜더 비활성화 8

해제 버튼을 눌러 모든 기능을 활성화시켜줍니다.

참고 : 윈도우디펜더 및 실시간보호 안켜질때 관리자권한 실행

윈도우10 실시간보호 끄기 및 비활성화

윈도우10 실시간보호 끄기 및 비활성화
윈도우10 실시간보호 끄기 설정

바이러스 및 위협방지의 “설정관리“를 선택합니다.

해당페이지에서는 바이러스 방지를 위한 업데이트 및 랜섬웨어 방지를 위한 윈도우디펜더 기능을 설정합니다.

참고 : 윈도우10 업데이트 설정 및 업데이트 끄기

  1. 윈도우10 실시간보호멀웨어를 찾고 디바이스에서 설치되거나 실행하는것을 방지합니다.
  2. 이 설정을 잠시 동안 끌수 있지만 자동으로 다시 켜집니다.
  3. 실시간 보호기능은 멀웨어 바이러스를 찾고 디바이스에 설치하거나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있는지 검사하는 항목입니다.
  4. 만약 설치 및 실행을 하고자 하는데 오류가 발생한다면 “잠시 실시간 보호“기능을 비활성화 하는것이 좋습니다.

윈도우10 윈도우디펜더 끄기

실시간보호는 멀웨어를 찾고 디바이스에서 설치되거나 실행하는것을 방지합니다. 이 설정을 잠시 동안 끌수 있지만 자동으로 다시 켜집니다.
윈도우10 실시간보호는 멀웨어를 찾고 디바이스에서 설치되거나 실행하는것을 방지합니다. 이 설정을 잠시 동안 끌수 있지만 자동으로 다시 켜집니다.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옵션으로 정기적인 위협에 노출될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실시간보호 끄기 윈도우디펜더 비활성화 4
윈도우10 주기적 검사

하단에 주기적 검사를 활성화해 윈도우디펜더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로컬그룹편집기 윈도우디펜더 강제 비활성화

기본적으로 윈도우보안을 통해 디펜더 및 방화벽등 서비스를 비활성화 할 수 있는데 제대로 기능이 꺼지지 않는다면 로컬그룹편집기를 통해 강제로 기능을 꺼줍니다.

윈도우7 윈도우디펜더 Windows Defender 끄기 실행 삭제 방법 3
실행 – GPEDIT.MSC 입력

단축키 윈도우키 + R실행창에 : GPEDIT.MSC 라고 입력후 확인을 눌러줍니다.

참고 : 윈도우 홈 로컬그룹 정책편집기 실행 설치방법 – Gpedit.msc

로컬그룹정책 편집기는 윈도우 홈 버전에서는 실행이 불가능하며 실행이 안된다면 위 내용을 참고하세요
윈도우7 윈도우디펜더 Windows Defender 끄기 실행 삭제 방법 4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실행되면 아래 경로로 이동합니다.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요성 – Windows Defender – Windows Defender 해제]

참고로 저와 조금 이름이 다를 분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이런식으로 이름이 조금 다를순 있지만 근본적인 위치는 위와 같으니 비슷한 이름으로 찾으시면 됩니다.  

윈도우방화벽이나 윈도우미디어플레이어, 윈도우업데이트 등의 기능도 여기서 비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7 윈도우디펜더 Windows Defender 끄기 실행 삭제 방법 5
윈도우디펜더 삭제 강제 비활성화
윈도우디펜더는 실시간 보호를 해제하며 추가 검색이 예약되지 않습니다.   이 정책 설정을 사용할 경우 Windows Defender가 실행되지 않으며 스파이웨어나 사용자 동의 없이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컴퓨터에서 검색하지 않습니다.
이 정책 설정이 사용되지 않거나 구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 기본적으로 Windows Defender가 실행되고 스파이웨어나 사용자 동의없이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컴퓨터에서 검색합니다.

Windows Defender 해제를 더블클릭하면 기본적으로 구성되지 않음 으로 체크가 되어 있는데 설명이 좀 예매하기 때문에 제목을 잘 읽어봐야합니다.

디펜더 사용이 아닌 윈도우디펜더 해제 이므로 해제를 사용으로 눌러야 윈도우디펜더를 사용하지 않게되며 윈도우디펜더 삭제는 불가능하지만 아예 기능을 사용하지 않도록 꺼주는것은 가능합니다.

윈도우방화벽 비활성화 및 특정 앱 활성화

일부 프로그램은 방화벽설정으로 라이센스를 제대로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NX 라이센스 에러 Lmtools 방화벽 해결방법

그런 경우 해당 파일만 방화벽을 해제해서 라이센스 오류가 발생하는것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방화벽 및 네트워크 보호
윈도우10 방화벽 설정

방화벽 및 네트워크 해결을 선택하면 현재 도메인 및 개인 네트워크,공용 네트워크의 방화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니다.

여기서 일부 프로그램만 방화벽을 허용하고 싶다면 “방화벽에서 앱 허용“을 선택해서 원하는 프로그램만 선택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이상 “윈도우10 보안 및 바이러스 방지를 위한 윈도우10 실시간보호 및 윈도우디펜더,방화벽“기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윈도우10을 통해 인터넷 사이트 접속 및 프로그램을 설치할때 컴퓨터에 잘 알지 못한다면 사용자계정 컨트롤 설정을 통해 알림설정을 받느것을 추천합니다.

참고 : 윈도우디펜더 사용중지 오류 활성화 및 끄기방법 5가지

You may also like...

9 Responses

  1. 2022년 5월 4일

    […] 참고 : 윈도우10 보안 실시간보호 및 윈도우디펜더 활성화방법 […]

  2. 2022년 5월 25일

    […] 포토샵 최근파일에도 단점이 있으니 혼자 사용하는 PC가 아니라면 작업한 데이터가 노출되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그런분들은 파일명 노출을 제한하기 위해서라도 […]

  3. 2022년 6월 23일

    […] 참고 : 윈도우10 실시간보호 끄기 윈도우디펜더 비활성화 […]

  4. 2022년 7월 19일

    […] 윈도우10 실시간보호 끄기 윈도우디펜더 비활성화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